제5편 조사어록/제4장 참선에 대한 경책/9. 화두로 병을 물리쳐라.
내 나이 스물에 이 일 있음을 알고 서른둘에 이르도록 열일곱 여떫 분의 장로(학덕이 높고 나이 많은
스님)를 찾아가 법문을 듣고 정진했으나 도무지 확실한 뜻을 알지 못했었다.
후에 완산 장로를 뵈오니 '무(無) '(조주의 무자 화두. 어떤 스님이 조주 스님에게 묻기를 "개에도
불성이 있습니까?" 하니 "무(없다)"라고 했다. �님 말씀에는 꿈틀거리는 벌레까지도 불성이 있다고
했는데 어째서 개에는 불성이 없다는 것일까)자를 참구하라 하시며 이렇게 말씀하셨다.
"스물네 시간 동안 생생한 정신으로 정진하되, 고양이가 쥐를 잡을 때와 같이 하고 닮이 알을 안듯이
하여 끊임없이 하라. 투철히 깨치지 못했다면 쥐가 나무궤를 쏠 듯이 결코 화두를 바꾸지 말고
꾸준히 정진하라. 이와 같이 하면 반드시 밝혀 낼 시절이 있을 것이다."
그로부터 밤낮을 가리지 않고 부지런히 참구하였더니 십팔 일이 지나서 한번은 차를 마시다가 문득
부처님이 꽃을 들어 보이심에 카샤파가 미소한 도리를 깨치고 환희를 이기지 못했었다. 서너 명의
장로를 찾아 결택(決擇 : 바르게 일러 줌)을 구했으나 아무도 말씀이 없더니 어떤 스님이 말하기를
"다만 해인삼매로 일관하고 다른 것은 모두 상관하지 마라."하시기에 이 말을 그대로 믿고 두 해를
보냈다. 경전 오년 유월에 사천 중경에서 극심한 이질병에 걸려 죽을 지경에 바졌으나 아무 의지할
힘도 없고 해인삼매도 소용없었다. 종전에 좀 알았다는 것도 아무 쓸데가 없어, 입도 달싹 할 수 없고
손도 꼼짝할 수 없으니 남은 길은 오직 죽음 뿐이었다.
업연의 경계가 일시에 나타나 두렵고 떨려 갈팡질팡할 뿐 어찌할 도리가 업고 온갖 고통이 한꺼번에
닥쳐왔었따. 그때 내 억지로 정신을 가다듬어 가족(이때는 몽산 스님이 출가하기 전)에게 후사를
말하고 향로를 차려 놓고 좌복을 높이 고이고 간신히 일어나 좌정하고 삼보와 천신에게 빌었다.
'이제까지의 모든 착하지 못한 짓을 진심으로 참회 합니다. 바라건대 이 몸이 이제 수명이
다하였거든 반야의 힘을 입어 바른 생각대로 태어나 일찍이 출가하여지이다. 혹 병이 낫게 되거든
곧 출가 수행하여 크게 깨쳐서 널리 후학을 제도케 하여지이다.'
이와 같이 하고 '무'자를 들어 마음을 돌이켜 스스로를 비추고 있으니 얼마 아니하여 장부가 서너번
꿈틀거렸다. 그대로 두었더니 또 얼마 있다가는 몸이 없는듯 보이지 않고 오직 화두만이 끊이지
않았다. 밤늦게서야 자리에서 일어나니 병이 반은 물러간 듯했다. 다시 앉아 삼경 사점에 이르니
모든 병이 씻은 듯이 없어지고 심신이 평안하여 아주 가볍게 되었다.
[蒙山 法語 : 몽산 법어]
※몽산(蒙山) : 원나라 스님. 그의 법어는 조선 세조때 번역되어 우리에게는 널리 알려졌다.
'불교성전(佛敎聖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5편 조사어록/제4장 참선에 대한 경책/11. 파도가 곧 물이로다. (0) | 2007.11.14 |
---|---|
제5편 조사어록/제4장 참선에 대한 경책/10. 물에 비친 달처럼 (0) | 2007.11.14 |
제5편 조사어록/제4장 참선에 대한 경책/8. 깨치기를 기다리면 깨치지 못한 (0) | 2007.11.14 |
제5편 조사어록/제4장 참선에 대한 경책/7. 간절한 마음으로 정진하라. (0) | 2007.11.14 |
제5편 조사어록/제4장 참선에 대한 경책/6. 문자나 말에 팔리지 말라. (0) | 2007.11.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