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편의 명구·무비스님

생사는 영원히 지속된다

通達無我法者 2008. 8. 5. 16:41

 

 

생사는 영원히 지속된다

몇 번이나 태어났으며 몇 번이나 죽었는가.

태어나고 죽는 일이 멀고 멀어서 멈추지 않는다.

幾回生  幾回死  生死悠悠無定止

기회생  기회사  생사유유무정지

- 증도가

 

 

   사람들이 어떤 사물을 보고 그것을 느끼고 알고 판단하는 일은 사람마다 다 다르다. 한 사람도 같은 사람은 없다. 혹 말로 표현할 때는 같다고 하더라도 마음으로 이해하는 각도와 넓이와 깊이를 세밀히 분석해보면 크게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보통의 사물을 이해하는 것도 그와 같은데 만약 삶과 죽음의 문제라면 이 일은 사람마다 느끼고 아는 차이는 엄청나게 다를 수밖에 없다. 세상에 태어나 삶과 죽음의 문제에 대하여 스스로도 아무런 깨달음이 없고 누구에게 들은 바도 없다면 이 문제를 어떻게 알고 있을까. 물론 그것도 사람마다 같을 수는 없지만 큰 차이가 있을 것이다.

   예부터 세존께서는 생사의 문제를 풀기 위해서 세상사를 버리고 출가 수행하셨다. 그러므로 세존이 깨달음을 얻은 것은 이 생사문제를 깨달았다는 것이며, 결국 생사로부터 해탈하였다는 것이다. 불교의 역사는 세존의 수행을 통한 깨달음과 그 가르침으로부터 출발하였다. 가르침의 모든 내용은 결국 삶과 죽음의 내용으로 귀착될 수밖에 없다. 오랜 세월을 내려오면서 수많은 제자들이 역시 그의 사상과 가르침을 계승한 것이다.

   이 시를 지은 영가 스님도 마찬가지다. 생사의 문제를 깨달으신 안목으로 생사의 일면을 멋지게 표현하였다. 물론 불교의 공부가 깊지 아니한 사람들에게는 이해가 안 되며 믿어지지도 않는 말씀이다.

   생과 사는 단순히 한 번뿐의 일이 아니다. 수많은 생사를 거듭하면서 또 지금 이렇게 다시 태어났다. 그 끝은 없다. 영원히 지속한다. 하루에도 수많은 생각과 일들이 일어나고 사라지면서 삶은 계속되듯이, 영원한 생사도 한 생이 그 하루의 일과 생각처럼 일어나고 또 사라지고 하면서 영원히 지속된다.

   깨달음을 이루신 분들은 생사가 영원히 지속된다는 사실을 철저히 깨달았기 때문에, 온 생애를 다 바쳐서 이 문제를 깨우쳐 주려고 노력하신 것이다. 안목이 짧고 단순한 사람들은 이해할 수 없겠지만 생사문제의 전문가들은 간단히 이해할 수 있는 일이다. 무슨 분야든지 전문가의 안목은 비전문가의 안목과는 엄청난 차이가 있다. 세상에서 가장 높고 가장 깊은 이 생사문제에 있어서는 더 말할 나위가 없다. 

'100편의 명구·무비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심(信心)  (0) 2008.08.06
오온도 본래 공한 것이다  (0) 2008.08.06
악한 말도 선지식이다  (0) 2008.08.05
도는 가난하지 않다  (0) 2008.08.05
무엇을 하랴  (0) 2008.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