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典/금강경(金剛經)

한형조교수/7강/만공 스님의 음담패설 법문

通達無我法者 2008. 8. 15. 21:02
7강/만공 스님의 음담패설 법문

“불성안에 지혜 공장(工匠) 있다”

불성이란 말에 겁먹지 마시기 바랍니다.
불성이란 바로 지금 역력한 ‘생명’의 불가사의를 가리키는 말입니다.
그것은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불행과 고통 속에서도 빛나고 있는 단순한, 그러면서도 신비한 사태입니다.
우리가 ‘그렇게 살아있다’는 것은 누구에게나 알려져 있는 사태이므로, 하등 새로울 것이 없습니다.
너무나 뻔한 사태인데, 그런데, 우리는 이 ‘살아있음의 기적과 그 의미’를 모르고 삽니다.
그렇지 않을까요.

불성은 내 생명의 등불
제가 불성이라는 위대하고 초월적인 물건을 지금 턱없이 뻔한 일상의 수준으로 끌어내리고 있다고 화를 내시는 분이 많을 것입니다.
우리가 익히 듣기로는 견성(見性), 즉 ‘불성을 본다’는 것은,

수억겁에 걸친 윤회를 거치며 수행을 하거나,

또 아니면 수십년을 토굴에서 화두를 들고서야 겨우 열리는 희귀한 소식이었는데 말입니다.
그런데 분명히 기억하셔야 할 것은,

돈교(頓敎)는 이런 타성적 ‘엄숙주의’에 대한,
그리고 이런 ‘점진주의’에 대한 벽력같은 고함소리로 출발했습니다.

돈교는 지금 우리가 서 있는 자리 너머에,
깨달음이니, 구원이니, 법계니, 정토니가 결코 없다는 사자후입니다.

돈교는 지금 있는 그대로,

여러분 자신이 바로 ‘절대’임을 그토록 간절히,
친절하게 일깨워 주려 합니다.

그래서 입만 열면 왈, “깨달을 바도, 얻을 바도, 설할 바도 없다”고 했습니다.

다만, 눈을 들어 ‘쳐다보라’고만 했습니다.
그런데, 이 ‘사태’가 너무 심심한 나머지,
우리는 ‘그 밖에’ 더 크고 위대한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라고 목을 길게 뺍니다.

여기 함정이 있습니다.
왜 반야와 화엄과 기신, 그리고 선사들의 ‘한결같은’ 말씀을,
그 고구정녕의 지시(指示)를 곧이 들으려 하지 않는지, 저는 그것이 안타깝습니다.

선사 조주가 “차 한잔 들게”라고 한 말에는 아무런 신비나, 형이상학이나, 배면에 숨긴 함축이 없습니다.
그것은 그야말로 액면 그대로입니다.
우리 모두 차를 끓이고, 따르고 마십니다.

그게 ‘있어야 할’ 전부입니다.
그게 전부라면,

우리는 따로 ‘의도적으로’ 할 일도 없고,
따라서 ‘성취할 일’도 없을 것입니다.

남도 또한 ‘이 모두’를 이미 갖고 있으니,
새삼 설파해 줄 것도 없습니다.( 不可知, 不可得, 不可說)!

저 산 딱따구리는 생나무 구멍도 잘 뚫는데
너무 앞질러 가는 느낌이 있습니다.

보다 상세한 이야기는 다음 ‘반야’를 다루는 강의에서 하겠습니다.
그러나, 지금 떠오르는 얘기 한 자락은 해 놓고 가려 합니다.
현대불교신문에 제가 제일 좋아하는 코너는 조태호씨의 ‘주장자따라’라는 만화입니다.
어느날 여기 음담패설이 하나 실렸습니다.

드물게 스크랩해둔 컷인데요,
만공스님(1871~1946)의 일화입니다.

때는 한말에서 일제 초기, 몰락한 궁중의 상궁 나인들이 스님을 찾아와 법문을 청했습니다.
스님은 법문은 않고 뜬금없이, 노래 한 자락을 읊었습니다.
“저 산 딱따구리는 생나무 구멍도 잘도 뚫는데….

우리집 멍텅구리는 뚫린 구멍도 못 뚫는구나.”
어허, 이런 해괴한….

상상이 가실 것입니다.
자리에 앉아있던 여인네들이 구석구석에서 킥킥거리고 쑥덕거렸습니다.
여러분도 같이 웃고 계십니까.
저는 아직 이처럼 기가 막힌 절창, 독창적인 법문을 들어본 적이 없습니다.

그분은 간절한 마음으로 진리의 조갯살을 열어보여 주셨는데,

그런데 여인네들은 안타깝게도 그것을,
늙은 스님이 하시는 아슬아슬한 음담패설로 들었던 것입니다.
그렇습니다.

우리는 생나무를 따로 다시, 힘겹게 뚫을 필요가 없습니다.
그저 있는 구멍에 맞추기만(?) 하면 되는 일입니다.
너무 쉽겠지요.
그런데 정말이지, 이게 어렵습니다.
왜 눈 앞에 역력(歷歷)한 이 단순한 ‘생명’의 적나라(赤裸裸)를 바로 보기 어려울까요.
그 장애는 밖이 아니라 바로 안에 있습니다.
불교란 다름 아니라, 바로 이 ‘안의 적’을 대적하고 물리쳐 실제(實際)를 만나게 해 주려는 방법적 장치들이자, 그들을 가득 쌓아 둔 곳간(藏)입니다!
여기서 ‘안의 적’이란 바로 ‘번뇌’와 ‘무지’를 가리킵니다.
이 장애를 부수는 것이 반야인데, 반야를 말하기 전에 이들의 본색을 알아야겠지요.

지금부터 몇 회에 걸쳐 이 문제를 본격 다루겠습니다.

철광을 제련하여 순금을 얻는다
앞에서 영양각으로 비유된 바 있듯이,

이 장애물들은 인간 속에 완강히,

그리고 단단히 박혀 있습니다.

얼마나 뿌리 깊은지,
금강이란 바로 이 장애물의 견고함을 가리킨다고 해석하는 사람까지 있을 정도입니다.

불교 중에서도,

이 번뇌와 무지의 성격과 특성,
그리고 그 형성과 작동의 메카니즘을 본격 다루는 학파가 아비달마와 유식입니다.

반야 중관은 이 문제를 꼼꼼히 분석적으로 다루려 하지 않지요.
아무래도 ‘부수어야 할 물건’을 따지느라고 힘을 소모할 필요가 없다는 판단이었을 것입니다.
원효는 아비달마와 유식이, “세우느라 부수지 못한(立而不破)” 폐단이 있다고 진단했습니다.
다시 말하면, ‘오염된 마음’의 분석과 분류에 치중하느라 ‘번뇌와 무지의 소멸’이라는 본래의 목적을 놓치고 말았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저는 이 문제를 피해가서는 안된다고 봅니다.

그래서 대강의 얼개는 <대승기신론>에 의지하고,
그리고 그 실상을 지금 우리들의 일상적 경험에서 확인하는 절차를 거치겠습니다.

대체 ‘번뇌’와 ‘무지’의 실상을 알아야, ‘반야’의 역할과 기능을 분명히 알 수 있지 않겠습니까.

요컨대 불교의 기획은 ‘불성’과 ‘번뇌’, 그리고 ‘반야’의 삼각 구도를 갖고 있습니다.
육조 혜능은 이 관계에 대해 다시 한번 비유로 설명해 주고 있습니다.

“금은 산중에 있다.
그러나 산은 제 속에 이런 보물이 있는 줄을 모른다.
보물도 이게 산인 줄 모른다.
왜냐. 불성(佛性)이 없기 때문이다!
사람은 불성이 있어, 그 보물을 이용한다.
금의 전문가를 만나 산을 뚫고 깨서, 광석을 캐내, 그것을 제련하여, 순금을 얻어, 이것을 자유롭게 처분하여 가난과 궁상을 면한다.
사대(四大)로 된 우리 몸 안에 있는 ‘불성’ 또한 그러하다.

여기 ‘몸(身)’은 세계(世界)에, 인아(人我)는 산(山)에,

번뇌는 광석찌끼에, 불성은 금에, 지혜는 제련공(工匠)에,
정진용맹은 (그 광석을) 뚫고 깨는 일에 비유된다.

몸(身)의 세계 (世界) 가운데 인아(人我)의 산(山)이 있고, 인아의 산 가운데 번뇌의 광석이 있다.
번뇌의 광석 가운데 불성의 보물이 있고, ‘불성의 보물 가운데 지혜의 제련공(智慧工匠)이 있다!’
지혜의 제련공을 써서, 인아의 산을 깨고 뚫어, 거기서 번뇌 광석을 보고, 이를 깨달음의 불로 제련하여, 거기 금강불성(金剛佛性)이 분명히 명정(明淨)하게 있는 것을 본다.
그래서 이 경(經)의 이름을 금강에 빗대어 짓게 되었다.”

 

 

-출처:붓다뉴스 http://news.buddhapia.com/

 

 

<SCRIPT language=javascript type=text/javascript> // </SCRI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