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식30송(唯識三十頌)

유식30송-10/혜거스님

通達無我法者 2007. 9. 21. 18:30
제 10 송



初遍行觸等 次別境謂欲  초변행촉등 차별경위욕
勝解念定慧 所緣事不同  승해념정혜 소연사부동

먼저 제6의식인 3능변과 상응하는 것은 변행심소인 촉(觸)·작의(作意)·수(受)·상(想)·사(思) 등이요. 다음은 별경오심소 즉 욕(欲)·승해·념(念)·정(定)·혜(慧)니 이 다섯 심소는 반연하는 일이 부동하다.

(해 설)

앞에서의 제8송에서 3능변식인 6종식의 성상(性相)을 이미 설명하였고 제9송에서 심소법을 총괄하여 설명하였고 지금 이 송과 이하의 4송에서는 상응하는 심소의 명칭을 설명하고 있다.

변행(遍行) 

5변행심소를 말한 것으로 촉·작의·수·상·사이다. 촉은 6근, 6경, 6식의 3법이 화합하여 감각을 일으켜 분별함을 말하고, 작의는 반응의 뜻이니 곧 근·경·연(根·境·緣)이 3화(三和)를 이루어 분별하고 반응을 일으켜 변역함을 말하고, 수(受)는 수용의 뜻이니 순경과 역경 비순비역(非順非逆)의 경계를 수용한다는 의미이다.

좋은 경계에 대해서는 즐거움을 일으키고 나쁜 경계에 대해서는 증오를 일으키며 비순비역, 곧 좋지도 않고 나쁘지도 않은 경계에 대해서는 담담함을 일으킨다. 상(想)은 면전의 경계를 헤아려서 각종 이름을 붙여 개념을 존재하게 함을 말하고 사(思)는 마음으로 하여금 동념(動念) 작위를 조작하게 하는 성질로서 행동 이전의 사상이라 할 수 있다.

별경(別境) 

별경이란 5별경심소를 말한 것으로 욕·승해·념·정·혜를 말한다. 이 다섯 심소는 반연하는 사물이 부동하기 때문에 별경이라 한다. 5별경심소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욕(欲)

욕은 희망하고 원구(願求)하는 마음이니 선·악 2종이 있다. 선(善)은 선을 행하고자 하는 마음이니 수도하여 성불하고자 하는 마음, 충신 효자가 되고자 하는 마음, 보시하여 남을 이롭게 하려는 마음 등이며, 악은 명리를 구하는 마음, 성색(聲色)에 빠지거나 음(淫)·도(盜) 등을 행하는 마음 등이다.

승해(勝解) 

승해는 인간관계에 의해 유혹되거나 환경에 의해 흔들리지 않음을 말한다. 다시 말해서 바른 인식과 바른 사고방식이니 곧 정지견(正知見)과 정신(正信)의 의미이다. 인간은 누구에게나 이러한 승해심이 있으나 욕(欲)의 악심소에 의해 묻히게 된다.

념(念)

념은 과거의 경계에 대해서 분명하게 기억하여 잊어버리지 않음을 의미한 말이다. 생각하고 사고하는 것은 상(想)이나 사(思)를 쓰고 기억해서 잊어버리지 않을 때는 념을 쓴다. 념은 곧 염기(念記)의 뜻으로 이해하면 된다.

정(定)

정은 일종의 지관으로 하나의 일에 몰입함을 뜻한다. 또 정(定)은 능관의 마음을 어떤 한 곳에 집중하는 것으로 선정삼매, 염불삼매 등이 여기에 해당된다. 그러나 능관의 념이기 때문에 유주에 해당되고 무주는 아니다. 여기서 유주라 함은 머무름이 있다는 뜻이니 곧 초탈이 아니라는 말이다.

혜(慧) 

혜는 현전의 경계에 대하여 이해하고 추구하며 선택하는 것으로 남이 하는 대로 하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 간택할 수 있는 것을 말한다.

소연사부동(所緣事不同)

소연사는 5변행, 5별경의 심소가 반연하는 일이요, 부동은 이 심소가 각기 개별적인 경계를 반연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부동이라 한다.

'유식30송(唯識三十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식30송-12/혜거스님  (0) 2007.09.21
유식30송-11/혜거스님  (0) 2007.09.21
유식30송-9/혜거스님  (0) 2007.09.21
유식30송-8/혜거스님  (0) 2007.09.21
유식30송-7/혜거스님  (0) 2007.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