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수행법 강의·남회근 선생

차례

通達無我法者 2007. 11. 30. 11:50

차례

제 1 강

어떻게 이 강의가 시작되었나

석가모니는 무엇을 깨달았을까

참고경전

해탈과 오도(悟道)

견지(見地)-수증(修證)-행원(行願)

인(因)을 과(果)로 잘못 알다

사가행(四加行)

 

제 2 강

위경(僞經)이라는 주장에 대한 변론

[능엄경]의 밀인(密因)

마음과 연(緣)

칠처징심(七處徵心)

팔환변견(八還辨見)

50종 음마(陰魔)

색음(色陰)

 

제 3 강

주화입마(走火入魔)

수음(受陰)

상음(想陰)

행음(行陰)

식음(識陰)

 

제 4 강

물가의 늙은 학

식음(識陰)

오음(五陰)과 그 영역

망상은 원래 공(空)이다

사대(四大)로부터의 해탈

염화시중의 미소

부처님이 [법화경]을 설하다

 

제 5 강

[법화경]과 [장자]의 우언(寓言)

오천 비구가 자리를 뜨다

분단생사(分段生死)와 변역생사(變易生死)

손가락 한 번 퉁기는 사이에 팔만 사천 겁이 지나다

비유품(譬喩品)

신해품(信解品)

약초유품(藥草喩品)

화성유품(化城喩品)

 

제 6 강

[법화경]과 한산(寒山)

옷 속의 보물

소욕(少欲과 무욕(無欲)

불법과 황제

영원히 불변하는 진리

의사 중의 의사

다보여래와 장상영(張商英)

용녀(龍女)의 성불

 

제 7 강

십념(十念)법문

안반(安般), 지관(止觀), 연기(煉氣)

안반품(安般品)

정의(正意), 정신(正身), 정언(正言)

출식(出息)과 입식(入息)

기(氣)와 두 다리

라운(羅雲)이 안반(安般)을 염(念)하다

 

제 8 강

과위의 증득(證得)

초선(初禪)에서 사선(四禪)까지

결사(結使)와 대아라한(大阿羅漢)

염신(念身)과 백골관(白骨觀)

염불(念佛)과 정토종

염법(念法)과 이론의 실천

염승(念僧), 염성현승(念聖賢僧)

염계念戒), 수계(守戒)

염시(念施), 염사(念舍)

염천(念天) 및 천당(天堂)

 

제 9 강

맹자의 호연지기(浩然之氣)

견사혹(見思惑)과 결사(結使)

[능엄경]에 나오는 10종의 선인(仙人)

육욕천도(六欲天道)
욕구의 단절과 연기(煉氣) 조식(調息)

요가와 밀종(密宗)의 수행법

 

제 10 강

청식(聽息), 수식(數息)의 문제

정(精)-기(氣)-신(神) ㅡ 락(樂)-명(明)-무념(無念) ㅡ 삼계(三界)

공(空)-가(假)-중(中)의 삼지(三止) 삼관(三觀)

밀종과 수기(修氣)

수맥(修脈)

생명과 우주법칙

 

제 11 강

달마의 이입(理入)과 행입(行入)

이조(二祖) 혜가(慧可)의 안심(安心)

사조(四祖) 도신(道信)과 각 종파

오조(五祖) 홍인(弘忍)의 시대

육조(六祖) 혜능(慧能)의 시대

심즉시불(心卽是佛)의 폐단

작은 석가모니 앙산(仰山)

임제(臨濟)의 사료간(四料簡)

 

제 12 강

화두(話頭)를 참구(參究)하다

관심(觀心)법문

삼제탁공(三際托空)

임제(臨濟) 사료간(四料簡)에 대한 재설명

영가(永嘉)가 삼신(三身)을 말하다

선(禪)과 [지월록(指月錄)]

생사의 문제

위산(?山)과 앙산(仰山)의 문답

협산(夾山)이 도를 깨치다

 

제 13 강

생각의 흐름

삼제탁공(三際托空)과 현재의 마음

사료간(四料簡)과 화후(火候)

군사작전과 선(禪)

협산(夾山)이 낙포(洛浦)를 제도하다

[종경록(宗鏡錄)]의 오도(悟道)에 대한 열 가지 물음

낙포(洛浦)의 삼관(三關)

임제(臨濟)를 말하다

조동(曹洞)을 말하다

 

제 14 강

불이법문(不二法門)과 자연외도(自然外道)

진공(眞空), 완공(頑空)

진유(眞有), 가유(假有)

일체유심(一切唯心)과 심신(心身)
동산(洞山)을 말하다

[주역]의 괘(卦)와 오위군신(五位君臣)

세 종류의 삼루(渗漏)

조산(曹山)을 말하다

여래선(如來禪)과 조사선(祖師禪)

오대(五代)의 인재

 

제 15 강

어떻게 신견(身見)응 없애는가

조비식(鳥飛式)

다시 수기(修氣)를 말하다

목주(睦州)의 짚신

운문(雲門)을 말하다

삼평게(三平偈)

법신(法身)의 두 가지 병

진상서(陳尙書)가 운문(雲門)을 대접하다

 

제 16 강

고(顧), 감(鑒), 이(口+夷)

법안종(法眼宗)

복숭아꽃을 보고 도를 깨치다

에워싸서 치는 교육법

사선(四禪), 사대(四大)와 삼대겁(三大劫)

심신(心身)의 건강과 수도(修道)

성종(性宗)과 상종(相宗)

오변행(五변行)과 오음(五陰)

의식과 여력(餘力)

 

제 17 강

원오근(圓悟勤) 선사를 말하다

문(聞), 사(思), 수(修)란 무엇인가

믿음의 어려움

정(定)을 말하다

혼침정(昏沈定)과 세간정(世間定)

수정(修定)

수공(修空)과 고선(枯禪)

수유(修有)와 긴장

색신(色身)의 조정

 

제 18 강

수(水)-화(火)-풍(風)의 삼겁(三劫)

삼계(三界)의 천인(天人)
우주의 재난

인류 자신의 재난

심법(心法)과 색법(色法)

인체의 삼계(三界)

머물지 않고, 집착하지 않으며, 바라지도 않는다

심체(心體)와 그 작용

심(心), 의(意), 식(識)

기질의 변화

 

제 19 강

첫 장애 ㅡ 신견(身見)

색신(色身)의 전환

시간은 절대적인 것이 아니다

삼재(三災)와 수행

사대(四大)의 종자와 색법(色法)

상속심(相續心)

사선팔정(四禪八定)과 정기신(精氣神)

선인(善人)의 범부선(凡夫禪)

경안(輕安), 정(定), 비정(非定)

 

제 20 강

정(定)의 경계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작의(作意)의 전일(專一)함

세간정(世間定)과 비세간정(非世間定)

유심지(有心地)와 무심지(無心地)

생기(生起)와 원만(圓滿)

육위(六位)의 무심지(無心地)

유여의(有餘依)열반과 무여의(無餘依)열반

 

제 21 강

불법(佛法)은 세간(世間)에 있다

[선종직지대사인연(禪宗直旨大事因緣)]

설암흠(雪巖欽) 공안(公案)

고봉묘(高峰妙) 공안(公案)

수정(修定)의 선교(善巧)

 

제 22 강

명심견성(明心見性)과 삼신(三身)

여순양(呂純陽)과 황룡남(黃龍南)

득정(得定)을 할 수 없는 것과 출정(出定)

중요한 자량(資糧)

정(定)의 경계에서 물러섬

현관(現觀)과 성교량(聖敎量)

 

제 23 강

환상(幻相)과 안통(眼通)

사가행위(四加行位)

성문승(聲聞乘)의 사가행(四加行)

독각승(獨覺乘)의 사가행(四加行)

팔만 사천의 대치(對治)

습기(習氣)를 차례로 끊다

대반야(大般若), 대화거(大火炬)

대승의 삼유(三有)와 열반

행온(行蘊)의 파악

 

제 24 강

도솔천에 왕생하다

제일의(第一義)

사정단(四正斷)

아직 생겨나지 않은 불선(不善)은 생겨나지 않게 한다

보살도의 가행(加行)

둔근(둔根)의 보살

46종의 마(魔)

육도(六度) 보살행

4종류의 마경(魔境)

 

제 25 강

이장자(李長者)의 [合論]

망념(忘念)과 정(情)

성(性)과 정(情)

제전(濟顚)스님과 임주선(林酒仙)

색온(色蘊)

수온(受蘊)

상온(想蘊)

행온(行蘊)

 

제 26 강

감각의 경계에 갇히다

습관을 변화시키는 사(思)

다시 행음 (行陰)을 말하다

마음이 서로 응하지 않는 행법

식음(識陰) ㅡ 융통망상과 전도망상

심행(心行)의 오음해탈

타좌의 3단계

 

제 27 강

일지(一知)와 색신(色身)

일지(一知)와 사(思)

수행의 첫 걸음

작의(作意), 가관(假觀), 소연(所緣)

가상(假想)이 만든 마경

영명(靈明)과 청정(淸淨)을 지킴

루(漏)

임맥(任脈)의 변화

 

제 28 강

행원(行願)만이 있을 뿐

삼천의 선행, 수천의 공덕

마음의 결사(結社)를 풀어내다

정(情)의 자비와 지(智)의 자비

심행(心行)의 동요

어떻게 기질을 변화시킬까

사중(四重)의 은혜와 삼도(三塗)의 고통

행하고 행하며 다시 행하고 행하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