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말이지 밥 먹기 힘듭니다.
도(道)가 차 한 잔에 있듯이,
선의 비밀은 우리가 밥을 제대로 먹게 되는 날,
자연히 얻어질 것입니다.
“에이, 그거야 아무나 하는 것 아닙니까?
도 닦는 게 그런 거라면,
아무나 도를 닦고 있다고 하겠군요.”
“그렇지 않아, 그들은 밥 먹을 때 밥은 안 먹고 이런 저런 잡생각을 하고 있고,
잠잘 때 잠은 안 자고 이런 저런 걱정에 시달리고 있지.”
몸의 소리에 귀를 기울여야
도가 밥 먹는데 있으니,
우리는 밥 먹는 법을 적극적으로 ‘배우고 훈련해야’ 합니다.
그런데 아무도 그것을 가르쳐 주는 사람은 없고,
그것을 배우는 학원이나 도장은 없는 듯합니다.
물론, 밥을 젓가락으로 깨작거리지 말라거나,
반찬을 수석거리지 말고,
소리 내서 씹지 말라는 식탁의 매너는 가르치지만,
정작 그보다 더 중요하고 근본적인 ‘음식의 도(食道)’는 가르치는 것 같지 않단 말씀입니다.
제가 권하는 비결은 간단한데,
‘음식’보다 ‘몸’에 관심을 가지고,
그것을 존중하는 것 그것 하나입니다.
이 말에 보충 설명이 필요할 듯합니다.
역설적으로 들릴지 모르겠는데,
우리는 우리 몸을 잘 모릅니다.
마찬가지로,
우리가 우리 몸에 대해 알고 있는 것들의 대부분이 착각이나 잘못된 정보로 인한 세뇌일 수도 있습니다.
그런 소문은 그만 제쳐두고,
이제 깊은 주의력으로 자신의 몸을 살피고 이해하려는 노력을 하십시오.
다시 유혹하자면,
다이어트의 효과도 뛰어나고 근본적입니다.
이 길은 먹고 싶은 음식을 참아야 하는 고통도 없고,
싫은 운동을 늘 해야 하는 강제도 없습니다.
편하고 쉽게 날씬해지고 건강한 몸매를 유지할 것이니,
다들 솔깃하지 않습니까.
음식을 바꾸고 양을 줄이는 대신에, “음식을 느끼십시오!”
음식의 맛을 느낄 수 있다면 다이어트는 틀림없이 성공합니다.
그 ‘자연의 지혜’를 마음이 가로막고 혼란시키고 있습니다.
싸움에는 소모가 따르고, 쉬 피로해지며, 그래서는 오래 지속될 수 없고,
다시 본래의 관성대로 돌아오고 맙니다.
몸은 음식을 이미 알고 있습니다
그러니 몸에 전적인 통제권을 주십시오.
예를 들자면, 김치를 밥이나 접시 위에 집어놓고,
그걸 까마득히 잊고는 다시 다른 김치를 젓가락으로 집어온 경험이 있을 것입니다.
바쁜 다른 일이 있거나,
고민해야 할 일이 신경 쓰이거나,
선을 보는 자리거나,
상사나 어려운 분들과 함께 하는 자리에서 음식 맛을 느끼기 힘듭니다.
유교 경전인 <대학(大學)>에도 그런 경구가 있습니다.
예컨대 가십에 열중하거나, 남을 비난하거나, 두고 온 일을 걱정하거나,
쓸데없는 논쟁에 마음을 빼앗기면 한 순간 이 자각의 끈은 어둠 속으로 홀연히 사라지고 맙니다.
그래서는 음식을 느낄 수 없고,
마음 또한 그에 따라 혼란하고 탁해집니다.
우리는 나날이 먹는 음식으로부터 ‘소외’되어 있습니다.
이 분리를 넘어 음식맛과 조우할 때,
그때가 우리가 우리 자신과 만나는 순간입니다.
이 자각과 유념의 끈을 붙들고 있으면,
몸은 자연스럽게 자신이 필요로 하는 이상으로 음식을 탐하지 않게 됩니다.
배가 고픈 것을 알게 되는 행복을 맛볼 수 있게 되고,
일주일 정도면 뱃살이 줄어들고 몸이 가벼워 자연스럽게 기지개를 켜거나,
권투 선수처럼 주먹을 슉슉 뻗고 싶은 충동을 느끼게 될 것입니다.
음식 맛을 느낄 수 있으면 도 또한 멀지 않습니다.
“도는 밥 먹는데 있다.”
밥을 먹기 위한 준비
두 번째 장애는 그것을 믿는다 하여도 거기 도달하기가 또한 쉽지 않다는 것입니다.
여기 또 의심이 가로막습니다.
그 동안 마음은 채우는 것이지,
비우는 것이 아니라고 배워왔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온갖 정보를 머리에 쓸어 넣고,
상대방의 의도를 거꾸로 재며,
제 욕심을 채우려 잔머리를 굴립니다.
그러나 사정은 정반대입니다.
마음을 비울 때 심신은 가뜬하고,
지각은 더 민감해지며,
지식에 대한 흡수력도 훨씬 증강됩니다.
마음을 비우면,
밖에서 오는 사물의 영향력이 줄어들어 스트레스를 견디기가 훨씬 수월해지며,
지금 만나는 사람들을 훨씬 느긋하게 대할 수 있고,
그로부터 받은 심리적 상처에도 훨씬 관용적이게 되어 인간관계도 좋아집니다.
노자가 말했듯이,
“진실은 늘 상식과 어긋나 보이는 법(正言若反)”이고,
“진정 똑똑한 사람은 어리석어 보이는 법(大巧若拙)”입니다.
문제는 어떻게 마음을 비우느냐인데….
다른 것은 그만 두고,
위에서 적은 것 하나만 기억해주기를 바랍니다.
요컨대 밥을 제대로 먹을 것,
몸이 밥을 느끼도록 해 줄 것,
그것 하나입니다.
'經典 > 금강경(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형조교수/37강/법(法)도 또한 공(空)하다 (0) | 2008.08.18 |
---|---|
한형조교수/36강/이름을 만나거든 이름을 베고 (0) | 2008.08.18 |
한형조교수/34강/다이어트에 성공하는 법 (0) | 2008.08.16 |
한형조교수/33강/차나 한잔 들지 (0) | 2008.08.16 |
한형조교수/32강/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자유롭게 본다는 것 (0) | 2008.08.1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