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典/금강경(金剛經)

한형조교수/2부/59강/무위복승분 제 11, 존중정교분 제 12

通達無我法者 2008. 8. 23. 17:34

 

 

인문학의 정신에 투철한 지식

11장으로 들어선다. 어조가 바뀐다. “토대에 의존하지 않고 세상을 건너라”는 충고 끝에, 이 장은 그 취지를 벼락처럼 일깨워주는 이 경전의 한량없는 가치에 대해서 말하기 시작한다.

이 경전을 수지하고 전파하는 공덕
- “수보리야, 갠지스 강의 모래 말이다. 그 모래 수 만큼의 갠지스 강들, 거기 있는 모래들, 어떻게 생각하느냐. 합치면 굉장히 많겠지?” 수보리가 대답했다. “아주 많겠지요. 모래 알같은 갠지스 강만 해도 엄청날텐데, 더구나 그 속에 있는 모래들을 전부 합친다니 말입니다.” “수보리야, 내 진정 네게 이르노니, 어떤 선남자 선여인이 있어, 그 갠지스강들의 모래수만큼의 삼천대천세계를 칠보로 가득 채워 보시한다면, 그 공덕이 아주 많겠지.” “아주 많을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붓다가 다시 말했다. “만일 선남자 선여인이 이 경전 중에 있는 사구게 하나라도 수지(受持)하고, 그것을 남을 위해 설해준다면, 그 복덕이 앞의 그 엄청난 칠보 보시보다도 더욱 크나니라.”
須菩提, 如恒河中所有沙數,如是沙等恒河,於意云何. 是諸恒河沙,寧爲多不. 須菩提言, 甚多世尊. 但諸恒河,尙多無數,何況其沙. 須菩提, 我今實言告汝,若有善男子善女人,以七寶滿爾所恒河沙數三千大千世界,以用布施,得福多不. 須菩提言, 甚多世尊. 佛告須菩提, 若善男子 善女人,於此經中,乃至受持四句偈等,爲他人說,而此福德,勝前福德.
혜능이 어째서 사구게 수지전파 복덕이 더 위대한지 짚어준다. “칠보로 보시하면 삼계의 부귀로 보상받을 것이다. 대승경전은 그러나 듣는 사람으로 하여금, 대 지혜를 내게 하고, 더없는 도를 성취하게 하니, 마땅히 알라. (이 경을) 수지하는 복덕이 저 칠보 복덕보다 비교가 되지 않는다는 것을….”
무어, 애매한 구석은 없다. 다만, 사람들이 이 말을 믿지 않을 뿐이다. 작금 도하 매스컴에 인문학의 언필칭 ‘위기’를 훤전(喧傳)하고 있다. 돌이켜보면, 그만큼 한심한 학문이 다시 없다. 학부모들은 자식들이 문학이나 철학을 하겠다면 펄쩍 뛴다. 도대체가 돈을 잘 버는 법을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기업이 필요로 하는 지식이나, 생산에 필요한 기술을 가르치는 것도 아니지 않은가. 아까운 시간과 노력을 거기 들이다간 밥을 굶기 딱이다. 지금은 사정이 더 열악해졌다.
그런데도 인문학은 중요하댄다. 왜? 그것은 다름 아닌 ‘삶에 필요한 기술’을 가르치기 때문이다. 라틴어로 아르스 비타에(ars vitae)’라고 불리는 이것만큼 중요한 기술이 없다. 인간이 가장 먼저 배워야할 것이고, 자신과 타자와 관계하는 한, 절대로 빠트릴 수 없는 지식이다. 우리는 삶을 돌아볼 때쯤 이 학문의 중요성에 눈뜬다. 그런 점에서 인문학은 노년의 학문인지 모른다.
아무러나, 그동안 대학은 이 인문학의 목표에 걸맞는 정신과 커리큘럼에 철저하지 못했다. 객관성의 이름 아래, 과학의 이름 아래, 서구적 지식의 독점 아래, 이 근본 기술의 ‘실용적 측면’을 간과해온 탓이다. 그것이 작금 드러난 인문학의 위기, 그 진원이다.
과학자나 샐러리맨, 주부와 학생에게 동시에 필요한 ‘태도의 형성’을 목적으로 하는 지식인 점에서, 인문학은 포괄적으로 ‘교양’을 지향한다. 키케로는 주관을 갖고, 사람을 설득하고 일을 처리하는 덕목적 기술을 인문학이라고 지칭했다. 삶에 꼭 필요하지만, 그러나 돈을 벌게 해주지는 않는다는 점에서 인문학은 과시 무용지용(無用之用)의 지식이고 기술이다.
불교, 인문학의 전형이다. 지금 듣지 않는가. “수백 수천억개의 은하계에 흩어진 별들을 다이아몬드 금궤로 덮는다 해도, 지금 불교가 제시하는 삶의 태도, 이것 하나 배우는 것의 중요성에 비하면, 발톱의 때만도 못하다!”고. 이것은 전형적이고 철저한 인문학의 태도이다.
각설, 이 말은 앞의 8장 “부처를 낳은 법(依法出生分)”에서 한 바 있다. 6장에서 “내가 설하는 설법은 뗏목같은 것”이라고 했고, 7장에서는 이어 “나는 아무 것도 설한 것이 없다”는 다짐을 받은 후, 8장은 이 역설을 알리는 가르침이 얼마나 고귀한지를 비유로 파격해 준 바 있다. 그 어투가 지금 11장을 꼭 빼닮았다. 다시 읽어본다.
- “수보리야, 네 생각에 어떠냐. 사람들이 삼천대천세계의 칠보를 보시로 기부한다면, 이 사람의 공덕은 엄청나겠지.” 수보리가 대답했다 “대단히 클 것입니다, 세존이시여.” “어째서겠느냐. 이 공덕은 공덕의 성질을 갖고 있지 않은 바, 그래서 여래께서 매우 큰 공덕이라고 말씀하시는 것이다.”
須菩提, 於意云何. 若人滿三千大千世界七寶以用布施, 是人所得福德, 寧爲多不. 須菩提言, 甚多世尊. 何以故. 是福德卽非福德性, 是故如來說福德多.
- “만약, 누가 있어 이 경전을 받아들이고, 지닌다면…. 나아가 이 경전의 핵심 몇 구절을 다른 사람에게 전해준다면, 그 복덕은 (저기 삼천대천세계의 칠보를 조건없이 내놓는 것보다) 더 크고 위대하다.”
若復有人, 於此經中, 受持, 乃至四句偈等, 爲他人說, 其福勝彼.
중간에 칠보로 재산을 기부하는 것을 큰 자랑으로 삼지말라는 삽입구가 끼어 있는 것을 빼면, 이 구절은 11장과 꼭 같은 이야기로 되어 있다. 연재를 시작하면서 내가 <반야심경>과 <금강경>의 차이에 대해서 말해준 바 있다.
핵심은 <반야심경>이 고도의 압축성으로 의미의 블록을 조직화해 놓은데 비해, <금강경>은 변주와 반복으로 이어지는, 음악이나 이야기를 닮았다고 한 바 있다. 그 점을 여기서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8장과 11장이 갈라지는 곳
닮은 자리는 여기까지이다. 11장의 연주는 앞의 8장과 갈라선다. “어디서 어떻게?” 8장의 남은 이야기부터 다시 들어보자.
- “어째서냐, 수보리야. 일체 제불과 그들의 아뇩다라삼먁삼보리의 깨달음이 다 이 경전으로부터 나온 까닭이다.”
何以故. 須菩提, 一切諸佛及諸佛阿 多羅三 三菩提法, 皆從此經出.
- “수보리야, 이른바 부처의 진리 혹은 깨달음이란, 실은 진리도 깨달음도 아니다.”
須菩提, 所謂佛法者, 卽非佛法.
8장은 보시다시피, 왜 사구게의 수지독송이 그토록 중요하며, 그것을 전파하는 것이 공덕의 으뜸이고 수승(殊勝)인지를 노파심에서 짚어준다. “사구게 안에 최고의 깨달음이 있다.” 여기 또 혹 오해가 있을까 보아 다시 노파심의 경계가 이어진다. “지금 내가 깨달음이라고 했니? 아니, 그건 숨겨진 자기를 자각한다는 뜻이지, 새로운 무엇을 획득한다는 뜻은 아니야. 오해해선 안 돼!”

12장 존중정교분(尊重正敎分) 제 12
11장의 뒤는 없다. 12장이 이어진다. 나는 양의 소명태자가 11장과 12장을 갈라놓은 것이 적절치 않았다고 생각한다. 이 두 장은 의미 전개상 연속되어 있다.
- “다시 수보리야, 이 경전을 설함에 사구게 하나에 이르게 되면, 마땅히 알라, 이곳은 일체 세간의 천인, 인간, 아수라가 모두 공양을 올릴지니. 부처의 탑묘처럼... 더구나 어떤 이가 능히 이 경 전부를 수지하고 독송한다면, 수보리야, 마땅히 알지니, 이 사람은 최고의 희귀한 진리를 성취한다는 것을... 이처럼 경전이 있는 곳이 곧 부처가 있는 곳이 되고, 위대한 제자들이 거하는 곳이 된다.”
復次, 須菩提, 隨說是經,乃至四句偈等,當知此處,一切世間天人阿修羅,皆應供養,如佛塔廟. 何況有人,盡能受持讀誦. 須菩提, 當知是人,成就最上第一希有之法. 若是經典所在之處, 卽爲有佛,若尊重弟子.

 

출처 : 법보신문 http://www.beopbo.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