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담스님] 3) 선수행의 기본 - 호흡 (1) 단전호흡 우리의 의식은 오직 배꼽 밑에 일촌 삼푼에다가 집중을 해야 합니다. 어떻게 집중을 하느냐.? 보통 가슴으로 호흡을 하지만, 참선하는 사람은 단전(丹田)으로 호흡하는 것입니다. 숨을 들이마시되 너무 가뜩 들이마시지 말고, 8부쯤만 들이마시되, 숨을 들이마심에 따라 단전 부위가 볼록해.. 話頭·參禪 2007.12.10
[송담스님] 3) 선수행의 기본 - 자세 첫째, 자세를 바르게 하는 것은 여러분들이 잘 알고 있는 가부좌, 오른 다리를 구부려서 왼쪽 무릎 위에다가 올려놓고, 또 왼쪽 다리를 구부려서 오른쪽 무릎 위에다가 올려놓습니다. 지금 해 보셔도 좋습니다. 다리가 굳어서 잘 안되는 분도 있을 줄 압니다만 자꾸 해 버릇하면 차츰차츰 되는 것입니다.. 話頭·參禪 2007.12.10
[송담스님] 2) 활구선과 사구선 요새 우리나라 뿐만이 아니라 서양에까지도 널리 보급이 되고, 붐이 일어나서 너도나도 참선을 하려고 하고 또 알려고 하는 사람들이 많지마는, 참선은 두 가지 경향이 있습니다. 하나는 살 활(活)자 글귀 구(句)자 → 활구참선(活句參禪)이고, 또 하나는 죽을 사(死)자 글귀 구(句)자 → 사구참선(死句參.. 話頭·參禪 2007.12.10
[송담스님] 1) 참선이란? 파수오경간월출(芭岫午更看月出)허고 두견성리목장려(杜鵑聲裡牧將驢)로구나 원앙수출종교간(鴛鴦繡出從敎看)허되 불파금침도여인(不把金針渡與人)이니라 <뾰족한 산봉우리에 달 뜨는 것을 보고, 두견새 소리 속에 나귀를 먹인다> '파수오경'의 오경은 '낮 오(午)'자 오경입니다. 달은 밤에 뜨는 ..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8) - 묵조선 ② [마지막편]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8) - 묵조선 ② [마지막편] 깨달음 얻기 위한 수단 아닌, 좌선 자체가 깨달음을 상징. 묵조의 수행은 본래 깨달아 있기 때문에 새롭게 증득할 것이 없으며, 따라서 수행과 증득이 나누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는 관점에 있다. 본증(本證)의 자각이며, 수증불이(修證不..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7) - 묵조선 ①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7) - 묵조선 ① 본디 부처와 내 본성은 하나. 묵묵히 좌선하면 깨달음 얻어... 중국에서 형성된 또 다른 수행법으로 묵조선(默照禪)이 있다. 한국에서는 간화선에 묻혀 큰 성세를 가지지 못하였지만 중국에서는 간화선과 함께 조사선의 대표적 수행법으로 자리하..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6) - 간화선 ④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6) - 간화선 ④ 오직 의심하는 것 ‘핵심’. ‘간화십종병’ 유의해야... 간화의 참구는 어떻게 하는 것인가? 대혜의〈서장〉이나 박산무이의〈선경어〉, 몽산덕이의〈몽산법어〉및 지눌이나 보우, 서산 등 한국 조사들의 여러 저술에 이르기까지 간화의 수행법..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5) - 간화선 ③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5) - 간화선 ③ 최고 화두 ‘본참공안’, 의심 화두타파 ‘열쇠’... 화두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 흔히 1700공안을 들지만 주창자 대혜의〈서장〉에는 내려놓는 것(放下著), 뜰 앞의 잣나무(庭前栢樹子), 마른 똥 막대기, 개에게는 불성이 없다(狗子無佛性) 등 십..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4) - 간화선 ②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4) - 간화선 ② 화두 참구를 통해 곧바로 본래면목(本來面目)을 체득하는 간화 수행에는 어떤 단계도 설정되어 있지 않다. 처음부터 끝까지 오로지 화두 일념의 방법이며, 그 화두 하나에는 모든 사상이나 행법이 함축되어 있어 들 때는 낱개이지만 들고나면 전체.. 話頭·參禪 2007.12.10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3) - 간화선 ① [종호스님의 참선강좌] 중국의 수행법 (3) - 간화선 ① 화두의 참구로 깨달음 얻기. 온갖 의심, 일시 타파해야... 간화선(看話禪)은 잘 알려져 있다시피 남송대 대혜종고(1089~1163)에 의해 주창된 수행법이다. 간화에서의 간은 참구를 말하고 화는 화두를 말하는 것으로, 곧 화두의 참구를 통해 깨달음을 얻.. 話頭·參禪 200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