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典/금강경(金剛經)

金剛經 四句偈(금강경사구게)

通達無我法者 2008. 1. 24. 14:18


 



金剛經 四句偈(금강경사구게)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가 허망하다, 만약 모든 형상을 형상이 아닌 것으로 보면 곧 여래(진실)를 보리라.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 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 味觸法生心 應無所住 以生其心


응당 색(물질)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며 응당 성향미촉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 것이요 응당 머문 바 없이 그 마음을 낼지니라.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 행사도 불능견여래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만약 형상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서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함이라 능히 여래(진실)를 보지 못하리라.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 같이 관할지니라.

●금강경의 핵심(사구게)해설●

금강경의 핵심 사상이 금강경의 사구게 속에 드러나 있습니다. 법화경 화엄경 열반경 등도 마찬가지로 사구게를 살펴봄으로 해서 그 경전에 나타난 사상의 핵심을 공부해 볼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러면 제 경전에 나타난 사구게를 공부해 보도록 하지요. 수행상담에 질문해 주신 분께 답변차 쓰는 글입니다. 먼저 금강경 사구게 먼저입니다.

먼저 사구게(四句偈)가 무엇인가를 알아보기 위해 금강경의 한 구절을 살펴보지요.

[금강경]에 보면

佛告須菩提 若善男子善女人 於此經中
불고수보리 약선남자선녀인 어차경중

乃至受持四句偈等 爲他人說 而此福德 勝前福德
내지수지사구게등 위타인설 이차복덕 승전복덕

라는 부분이 나오는데 해석해 보면

만일 어떤 선남자나 선여인이 이 경에서 사구게만이라도 받아지니고 다른 사람에게 설명해주면(受持爲他人說) 그 복덕은 앞에서 말한 칠보로 보시한 복덕보다 더 수승(殊勝)하니라." 라는 의미를 가집니다.

이와 같이 경전에서는 사구게를 수지하고 타인에서 설명해 주는 공덕에 대하여, 이 공덕은 항하의 모래 같이 많은 삼천대천세계에 칠보(七寶)를 가득히 채워서 보시를 한 복덕보다 더 수승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사구게란 글자 그대로 경전에 등장하는 네 글귀로 된 게송을 의미합니다. 네 글귀로 되어 하나의 의미를 가지는 경전의 말씀을 의미하지요.

다시 말해 경전 가운데서 네 글귀로 된 짧은 한 문구 만이라도 읽고 외우며 남을 위해 설명해 주라는 말인데 꼭 사구게로 정형화된 틀 만을 의미하는 것이라기 보다는 경전에 등장하는 그 어떤 짧은 법문이라도 소중하게 받아지니라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면 먼저 금강경의 사구게를 살펴보지요. 금강경에는 사구게가 곳곳에 많이 등장하지만 우선 핵심이 되는 네 가지 사구게를 옮겨 본다면 다음과 같습니다.

凡所有相 皆是虛妄 若見諸相非相 卽見如來
범소유상 개시허망 약견제상비상 즉견여래

무른 상이 있는 바는 모두 허망한 것이니
만약 상이 상이 아님을 바로 보면 곧 여래를 볼 것이다.

불응주색생심 불응주성향 미촉법생심 응무소주 이생기심
不應住色生心 不應住聲香 味觸法生心 應無所住 以生其心

응당 색(물질)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며
응당 성향미촉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 것이니,
응당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라.

약이색견아 이음성구아 시인 행사도 불능견여래
若以色見我 以音聲求我 是人行邪道 不能見如來

만약 형상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서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함이니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한다.

일체유위법 여몽환포영 여로역여전 응작여시관
一切有爲法 如夢幻泡影 如露亦如電 應作如是觀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 같이 관해야 한다.

첫 사구게부터 살펴보면 범소유상, 상이 있는 바 모든 것이라고 하면 두두만물 일체 현상계에 벌어진 모든 것을 의미합니다.
꼭 눈으로 보이는 것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안이비설신의 육근으로 감지할 수 있는 모든 대상을 의미하지요.

바로 일체 모든 현상계가 개시허망이란 말입니다. 만약에 이렇게 상이 있는 바 모든 것이, 일체 현상계가 상이 아님을 즉 개시허망임을 바로 보면 즉견여래한다,
즉 여래를 보리라고 하였습니다.

이 세상의 모든 존재는 바탕이 텅 비어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도리어 그 어떤 것도 나툴 수 있는 것입니다.
텅 비어 있기 때문에 도리어 꽉 차서 인연따라 모든 것을 나툽니다.

나무와 나무를 비빔으로써 불을 얻었다면 불이란 도대체 어디에서 나온 것입니까.
나무에서 나온 것도 아니고, 공기 중에서 나온 것도 아니며, 비비는 내 손에서 나온 것도 아니지만 분명이 이렇게 불이란 상을 가지고 나투었단 말입니다.

인연따라 나툰 것일 뿐입니다.
세상 모든 만물, 범소유상은 다 이처럼 인연따라 잠시 나투고, 인연이 다 하면 소멸될 뿐 어느 것도 고정된 실체로써 존재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눈귀코혀몸뜻으로 촉할 수 있는 모든 상(相)은 다만 인연따라 잠시 나툰 것일 뿐 고정된 상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이처럼 상이 상이 아님을 바로 볼 수 있으면 바로 여래를 볼 것이다 했습니다.

이 세상 모든 만물이, 범소유상이, 한낮 인연따라 허망하게 잠시 일어났다가 사라질 뿐이라는 것을 바로 보아 정견(正見)할 수 있다면 그 어떤 상에도, 그 어떤 경계에도, 그 어떤 현상계에도 휘둘리거나 괴롭힘을 당하지 않을 것입니다.

살아가며 그 어떤 경계나 현상계가 다가오더라도 다만 인연따라 허망한 경계가 일고 사라질 뿐임을 알기 때문에, 그 어디에도 걸리지 않고 여여하며 성성적적하게 깨어있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 여여부동하여 오고 감이 없는 여래를 볼 것이란 말입니다. 범소유상 개시허망을 바로 깨치면 그대로 부처의 자리라는 것이지요.

그래서 다음 사구게는 말하고 있습니다.

"색(물질)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며 응당 성향미촉법에 머물러서 마음을 내지 말 것이니, 응당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라."

보통 우리가 마음을 일으킬 때는 육근, 안이비설신의, 즉 눈귀코혀몸뜻이 색성향미촉법을 대상으로 마음을 일으키게 마련입니다.

쉽게 말해 눈으로 물질인 색을 보는데 여여하게 아무런 분별없이 바라보지 못하고 대상에 마음이 머물러서 마음을 일으킵니다. 머무른다는 말은 집착한다는 말입니다.

좋아하는 연인을 볼 때와 미워하는 사람을 볼 때 우리 마음은 좋다고 집착하고 밉다고 집착하여 대상에 좋고 싫음의 분별을 덮씌우고는 그 좋고 싫은 대상에 마음이 머물러서 마음을 일으킵니다.

좋은 대상에 대해서 사랑을 하고 미운 대상에 대해서는 다툼을 일으킨다는 말입니다. 그러나 대상은 늘 허망하기 때문에 잠시 인연따라 좋고 싫게 나타날 뿐이지 고정되게 좋고 싫은 대상 하고 딱 정해진 것이 아니라는 말이지요.

그렇기 때문에 수행자는 색성향미촉법의 대상에 머물러 마음을 내지 말고,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야 하는 것입니다.
머무름 없는 행, 함이 없는 행이야 말로 모든 수행자들의 실천행이 되어야 하는 것입니다. 무집착, 방하착의 실천이기 때문입니다.

깨닫겠다고, 부처를 찾아 나서는 이들이 많지만 부처라는 것 또한 대상으로 정해 놓고 찾아 나서려 한다면 그것은 이미 잘못 가고 있는 것입니다.
육근으로 부처를 만나고자 해서는 안되는 것입니다.

눈으로 형상의 부처를 보려고 하거나, 귀로서 부처의 음성을 들으려 한다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처를 찾지 못합니다.
눈,귀,코,혀,몸,뜻, 육근으로 촉할 수 있는 대상은 모두가 허망한 것이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금강경의 다음 사구게는 이렇게 말하고 있는 것입니다.

"만약 형상으로 나를 보거나 음성으로서 나를 구하면 이 사람은 삿된 도를 행함이니 능히 여래를 보지 못한다."

그러니 어때요?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이란 다 허망하며 다만 잠시 인연따라 생하고 멸할 뿐인 겁니다.
모두가 다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으며 그림자 같고 이슬이며 번개와 같은 것이라고 잘 관할 수 있어야 할 것입니다.

"일체 현상계의 모든 생멸법은 꿈과 같고 환상과 같고 물거품과 같고 그림자 같으며 이슬과 같고 번개와도 같으니 응당 이와 같이 관해야 한다."

이처럼 금강경의 사구게는 연기, 공, 무집착, 무아라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을 설하고 있습니다.
그러면서 결국에 무슨 말을 하려는 건지 아십니까?

그렇게 허무한 것이니까 세상 살 필요도 없고, 다 필요없다는 말을 하려는 것인가 하고 착각하시면 안됩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살아오면서 괴로워하고, 답답해 하고, 서러워하고, 욕심부리며 살던 바로 그 괴로움의 대상인 이 현상 세계가 모두 공하여 허망하고 꿈같고, 환영같고, 번개와 같다는 것입니다.

그러니 집착하지 말고, 괴로워 하지도 말고, 걸리지 말고 여여하게 시원스럽게 당당하게 살아가라는 말입니다.

그리고 또 하나, 이 현상세계는 다 허망하여 물거품 같은 것이지만 지금 이렇게 생각하고 말하고 움직이는 이 놈이 있다는 것은 도무지 어쩔 수 없는 사실 아니겠습니까.

그러면 이 놈은 누구냐? 하고 물을 수 있어야 하는 것입니다. 다 공하고 허망하다는데 그럼 허망으로 끝나는 것인가 하고 말입니다. 그런 것이 아닙니다.
그 바탕에 나를 이끌고 가는, 이 허망한 현상계를 이끌고 가는 본래자리, 진면목, 자성불, 불성, 주인공, 한마음 이라 불리는 바로 이 본래마음이 있다는 말입니다.

상이 상이 아님을 보면 여래를 볼 것이란 말은, 이 현상세계 모든 상들을 허망하고 꿈과 같으며 환영과 같고 헛개비와 같다고 바로 관하라는 말이고, 그렇게 현상계의 생멸법을 바로 관했을 때 여래를 본다, 즉 부처가 되고 깨닫는다는 말인 것입니다.

이런 가르침의 실천법이 바로 응무소주 이생기심인 것이지요. 세상 다 허무한 것이니까 다 필요없고, 마음을 일으킬 것도 없다가 아니라 마땅히 마음을 일으키고 살라는 말입니다. 마음 일으키지만 머무는 바 없이 마음을 내라는 말이지요.

다시 말해 집착하지 말고 살라는 말입니다. 왜요? 연기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 허무한 것이고 공한 것이니 집착할 것이 없기 때문이지요. 허무하고 공하다는 현상계를 잘 관할 수 있어야 집착하지 않아야 한다는 응무소주 이생기심의 실천은 힘을 받게 됩니다.

그러니 어때요? 잘 관(觀)하며 살 수 있어야 세상이 다 공하고 허무하다는 것을 바로 볼 수 있고 그를 통해 응무소주 이생기심을 실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여래를 보며(見性) 부처(成佛)가 될 수 있다는 말입니다. -해월스님-

金剛經(금강경)이야기

<금강반야바라밀경> 또는 <금강반야경>이라고도 한다. 인도 사위국을 배경으로 제자 수보리를 위하여 설한 경전으로, "한곳에 집착하여 마음을 내지 말고 항상 머무르지 않는 마음을 일으키고, 모양으로 부처를 보지 말고 진리로서 존경하며, 모든 모습은 모양이 없으며 이렇게 본다면 곧 진리인 여래를 보게 된다."고 하였다.

이 경은 현장(玄萬)이 번역한《대반야경》600권 중 제577권의 능단금강분 (能斷金剛分)과 같은 것이나 《대반야경》이 성립되기 이전에 이 부분만 독립된 경전으로 유통되었다고 보는 것이 학계의 통설이다.
이 사실은 일찍이 인도에서 무착(無着)과 세친(世親)에 의해 그 주석서가 저술되고 중국에서도 구마라습(鳩摩羅什)에 의해 번역서가 나온 이래 다른 많은 번역서가 나온 데서도 알 수 있다.

이 경은 산스크리트 원본도 현존하며 한역 6가지 외에 서장역도 있으며 최근에는 영어,독일어,프랑스어 등으로도 번역되어 서양학계에 가장 널리 알려진 경전이다.
또한 이 경에 대한 주석서는 인도·중국·한국·티베트 등에 걸쳐 800여 가지가 된다 고 하며 불교의 모든 학파를 막론하고 이 경에 대한 관심은 지대하였다.
그것은 바로 이 《금강경》이 적절한 분량으로 읽기도 쉬우면서 깊은 대승불교의 진수를 드러내었기 때문이다.

금강경의 중심사상은 공(空)사상이다. 철저한 공 사상에 의해 번뇌와 분별하는 마음을 끊음으로서 반야의 지혜를 얻어 깨달음을 증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공 사상을 천명하면서도 공(空)자가 한자도 보이지 않는 것이 특징이기도 하다. 이는 아마도 이 경이 대승불교의 최초기에 성립된 것으로서 아직 공이라는 술어가 확립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또한 이 경에서는 대승과 소승이라는 의식도 분명하지 않아 두 관념도 아직 성립되기 이전의 경전으로 보여진다.

경전의 구성을 살펴보면 부처님의 제자 가운데 공의 이치를 가장 잘 터득하고 있었다는 보리존자(須菩提尊者)와 부처님이 문답식의 대화를 전개해 가는 것으로 되어 있다.

법회인유분 제1에서 시작하여 응화비진분 제32로 끝나고 있다. 특히 이 경에서 주목받고 있는 경의 문구는 '응무소주 이생기심(應無所住 而生其心)' 이다.

6조 혜능(慧能)이 어느 날《금강경》을 읽다가 바로 이 대목에서 홀연히 깨달았다고 할만큼 특색 있는 표현이며, 핵심적인 문구로써 선종에서 매우 중요시 여기는 어구이다.

'마땅히 머무는 바 없이 그 마음을 일으켜라.'라고 해석되는데, 달리 표현하면

'일체의 것에 집착함이 없이 그 마음을 활용하라.' 라는 뜻이다.

다시 말해 모든 것이 공하기 때문에 집착할 필요가 없고 집착하지 않은 마음의 상태로 마음을 쓰라는 것이다.
이때 비로소 '평등즉차별' '차별즉평등' 이라는 중도의 진리를 가장 선명하게 체득할 수 있다는 것이다.

《금강경》에는
'사구게(四句偈)만이라도 항상 잊지 않고 마음에 새겨, 다른 사람 에게 설한다면 그 복이 한량없다'는 법문이 있는데, 여기서 사구게는 어느 특정한 게송을 가리키는 것은 아니고 금강경의 여러 법문 가운데 사구, 즉32절만이라도 이해하고 다른 사람에게 자세히 설명한다면 그 공덕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금강경 四句偈(사구게)

1). 第五 如理實見分

凡所有相은 皆是虛妄이라 若見諸相이 非相이면 則見如來니라

무릇, 모든 相은 다 허망한 것이니라. 만약에 모든 상이 상 아님을 알면 그것은 곧 여래를 보는 것이니라.

2). 第十 莊嚴淨土分

不應住色生心이며 不應住聲香味觸法生心이며 應無所住하야 而生其心이니라

색에 머무르는(집착하는) 마음을 내어서는 안되며, 결코 성.향.미.촉. 법에 머무 르는 마음을 내어서도 안되며, 마땅히 머무름이 없는 마음을 내어야 하느니라.

3). 第二十六 法身非相分

若以 色見我거나 以音聲求我하면 是人은 行邪道라 不能見如來니라

만약 겉모양으로써 나를 보려하거나 목소리로써 나를 찾는다면, 이 사람은 잘못된 길을 가는 것이니, 끝끝내 여래를 보지 못하리라.

4). 第三十二 應化非眞分

一切有爲法이 如夢幻泡影이며 如露亦如電이니 應作如是觀이니라

일체의 유위법은 꿈이요, 허깨비요, 물거품이요, 그림자 같은 것. 이슬 같고 또 번개와도 같은 것. 마땅히 이와 같이 볼지니라.

ㅡ금강반야바라밀경찬 공덕ㅡ

옛적에 지나국 비산현령 劉氏(유씨)의 딸이 늘 금강경을 지극하게 독송하더니 나이 19살에 죽고 말았다. 그녀는 죽은 지 7일만에 염라대왕을 만나게 되었는데 대왕이 그녀에게
"너는 세상에서 어떤 인연을 지었느냐?" 하고 물으매,
"일생토록 금강경을 독송했습니다." 하고 대답하자,
"어째 금강경찬은 독송치 않았느냐?"고 다시 물으매"
인간세상에는 금강경찬이 없어서 독송치 못했습니다."하고 대답했더니,
"너를 다시 인간 세상으로 살려보낼 터이니
이 금강경찬을 잘 기억해 두었다가 인간세상에 널리 전하여라,

금강경은 5천1백4십9자로 되어 있으나 이 찬요를 한번 독송하면 금강경을 30만번 읽은 공덕과 맞먹느니라." 하고 일러주며 이승으로 다시 살려 보내 널리 전해지게 된 것입니다.

금강경은 大盤若바羅密經(대반야바라밀경)의 제9부를 이루는 경으로 석가세존께서 중생제도를 위해 法問(법문)을 설하신 49년중 21년에 걸쳐 말씀하신 귀한 法藏(법장)입니다.

누구나 이 금강경찬을 지성으로 독송하면 모든 죄가 소멸되고 정신이 맑아져서 반야지혜를 얻게 되며 여러 중생들에게 전해 독송케 하면 그 공덕으로 世世生生(세세생생)괴로움 없는 부처님 곁에 태어나서 어진 권속을 만나 한 가지 정법을 닦아 미륵보살님께 無上妙法(무상묘법)을 듣고 三災八難(삼재팔난)을 면해 法樂(법락)을 누리게 된다고 합니다.

부디 헛되이 여기지 마시고, 부지런히 독송 정진 하시어 복을 누리시기 바랍니다.

'經典 > 금강경(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강경 독송의 실제와 이론  (0) 2008.05.03
금강경 수지독송  (0) 2008.05.03
금강경 독송하는 방법  (0) 2007.07.02
金剛般若波羅蜜經 (독송용)  (0) 2007.02.23
金剛經  (0) 2007.0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