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
분주 무업(汾州無業:780-821)스님이 스님을 참례하였다.
스님께서는 그의 훤출한 용모와 종소리같이 우렁찬 목소리를 보고는 이렇게 말씀하셨다.
“높고 높은 법당(佛堂)이나 그 속에 부처가 없구나.”
무업스님이 절하고 끓어앉아서 물었다.
“3승(三乘) 교학은 그 이론을 대략 공부하였습니다. 그런데 선문(禪門)에서는 항상 바로 마음이 부처라고 하니, 정말 모르겠습니다.”
“알지 못하는 마음이 바로 그것이지, 그밖에 다른 것은 없다네.”
무업스님이 다시 물었다.
“무엇이 조사가 서쪽에서 찾아와 가만히 전수하신 심인(心印)입니까?”
“그대는 정말 소란을 피우는군. 우선 갔다가 뒤에 찾아오게.”
무업스님이 나가는 차에 스님께서 불렀다.
“여보게!”
무업스님이 머리를 돌리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이게 무엇인가?”
무업스님이 딱 깨닫고 절하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둔한 놈아! 절은 해서 무엇하느냐.”
12.
등은봉(鄧隱峯)스님이 스님을 하직하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어디로 가려느냐?”
“석두(石頭)스님에게 가렵니다.”
“석두로 가는 길은 미끄럽네.”
“장대나무를 짚고 가다가 장터를 만나면 한바탕 놀다 가겠습니다.”
바로 떠나 석두스님에게 도착하자마자 선상을 한 바퀴 돌더니 지팡이로 한번 내려치고 물었다.
“무슨 소식인고.”
그러자 석두스님은, “아이고, 아이고!” 하였다.
등은봉스님은 말이 막혔다. 돌아와서 말씀드렸더니 스님(마조)은 이렇게 말씀하셨다.
“그대는 다시 가서 그가 ‘아이고, 아이고’ 하거든 ‘허.허(噓)’하고 두 번 소리를 내거라.”
등은봉스님이 다시 가서 앞서 했던 그대로 물었더니 석두스님은 이에“허허”하고 두 번 소리를 내었다.
등은봉스님은 이번에는 말이 막혔다. 돌아와 말씀드렸더니 스님께서 말하였다.
“석두로 가는 길은 미끄럽다. 하지 않았더냐.”
13.
등은봉스님이 하루는 흙 나르는 수레를 미는데 스님은 다리를 쭉펴고 길바닥에 앉아 있었다.
“스님, 다리 좀 오무리세요.”
“이미 폈으니 오무릴 수 없네.”
“이미 가고 있으니 물러나지 못합니다.”
이리하여 수레바퀴를 굴리며 지나가다가 스님의 다리를 다치
게 했다. 스님께서는 법당으로 돌아와 도끼를 집어들고 말하였
다.
“조금전에 바퀴를 굴려 내 다리를 다치게 한 놈은 나오너라.”
등은봉스님이 나와 스님 앞에 목을 쓱 빼자 스님은 도끼를 치웠다.
14.
석구(石臼)스님이 처음 스님을 참례하자 스님께서 물으셨다.
“어디서 오는가?”
“오구(烏臼)스님에게서 옵니다.”
“오구는 요즈음 어떤 법문을 하던가?”
“여기서 몇 사람이나 아득해(茫然) 있습니까?”
“아득함은 우선 그만두고 간단한(초然) 한마디는 무엇이더냐?”
석구스님이 이에 세 걸음 앞으로 다가가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내가 오구를 일곱 대 때릴 일이 있는데 그대는 기꺼이 받겠는가?”
“스님께서 먼저 맞으십시오. 그런 뒤에 기꺼이 오구스님에게 둘려드리겠습니다.
15.
양좌주(亮座主)가 참례하자 스님께서 물으셨다.
“좌주는 경론(經論)을 훌륭히 강의해 낸다고 들었는데 그런가?”
“부끄럽습니다.”
“무얼 가지고 강의하는가?”
“마음으로 강의합니다.”
“마음(心)은 재주부라는 광대같고, 의식(意)은 광대놀이에 장단을 맞추는 자와 같다. 그것으로 어떻게 경을 알 수 있겠는가?”
양좌주는 언성을 높혔다.
“마음이 강의하지 못한다면 허공이 강의합니까?”
“오히려 허공이 강의할 수 있다.”
양좌주는 수긍하지 않고 그냥 나가버렸다. 계단을 내려가려하는데 스님께서 “좌주!”하고 불렀다.
양좌주는 머리를 돌리는 순간 활연대오하고 바로 절하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이 둔한 중아! 절은 해서 무얼 하느냐.”
양좌주는 절로 되돌아가 대중들에게 말하였다.
“나의 논간은 남이 따를 수 없다 하였더니, 오늘에야 마조대사에게 한 번 질문을 받고서 평생했던 공부가 얼음 녹듯 하였다.”
그리고는 서산(西山)으로 들어가 다시는 종적이 없었다.
16.
홍주 수노(洪州水老)스님이 처음 스님을 참례하고 물었다.
“무엇이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분명한 뜻입니까?”
“절 한번 하라”
수노스님이 절하자마자 스님게서 별안간 한 번 걷어찼다. 여기서 수노스님은 크게 깨닫고 일어나면서 손뼉을 치고“하하”웃으면 말하였다.
“그것 참 신통하고나, 신통해. 백천삼매와 한량없는 묘한 이치를 털끌 하나에서 그 근원을 알아버렸도다.”
그리고는 절하고 물러났다.
그 뒤 대중에게 말하였다.
“마조스님에게 한 번 채인 뒤로 지금까지 웃음이 그치질 않는구나.”
17
방거사(龐居士)가 스님께 물었다.
“만법에게 짝이 되어주지 않는 자는 어떤 사람입니까?”
“그대가 한 입에 서강(西江)의 물을 다 마시면 그때 가서 말해주겠소.”
다시 방거사가 물었다.
“본래인(本來人)을 어둡게 하지 말고 스님께서는 눈을 높이 뜨십시오.”
스님께서 눈을 아래로 홀깃 하자 거사가 말하였다.
“일등가는 줄 없는 거문고를 스님만이 오묘하게 뜯는군요.”
스님께서 이번에는 위로 홀깃 보자 거사는 절을 하였다.
스님께서 방장실로 돌아가자 거사는 뒤따라 돌어가면서 말하
였다.
“조금전엔 잘난 체하다가 창피를 당했습니다.”
그리고는 다시 물었다.
“물을 근육은 뼈도 없으나 만 섬 실은 배를 이길 수 있습니다. 이 이치가 어떻습니까?”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여기에는 물도 없고 배도 없는데 무슨 근육과 뼈를 말하는가.”
18.
어떤 스님이 물었다.
“스님께서는 무엇 때문에 즉심즉불(卽心卽佛)이라는 말을 하십니까?”
“어린 아이의 울음을 달래려고 그러네.”
“울음을 그쳤을 땐 어떻게 하시렵니까?”
“비심비불(非心非佛)이지.”
“이 둘 아닌 다른 사람이 찾아오면 어떻게 지도하시렵니까?”
“아무것도 아니라고 말해 주겠다.”
“그 가운데서 홀연히 누군가 찾아온다면 어찌하시렵니까?”
“무엇보다도 큰 도를 체득하게 해주겠다.”
19.
어떤 스님이 물었다.
“무엇이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입니까?”
“바로 그대의 뜻은 어떤가?”
20.
어떤 스님이 물었다.
“어떻게 해도 도에 계합하겠습니까?”
“나는 아직 도에 계합하지 못하였다.”
“무엇이 조사가 서쪽에서 오신 뜻입니까?”
스님께서는 별안간 후려치면서 말씀하셨다.
“그대를 후려치지 않는다면 제방에서 나를 비웃겠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