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연기와 위빠사나/81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수행을 할 때 알아차릴 대상이 법입니다. 그러므로 수행이란 법을 맞이하는 것입니다. 법은 관념적인 대상의 속제가 있으며, 실재하는 대상을 아는 진제가 있습니다. 관념을 대상으로 하는 수행은 사마타이며, 실재를 대상으로 하는 수행은 위빠사나입니다. 사마타는 모양..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7
12연기와 위빠사나/80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갈애의 본성은 눈, 귀, 코, 혀, 몸, 생각이라는 여섯 가지 감각 기관의 문을 통해서 들어오는 다양한 대상을 즐기는 마음입니다. 모든 괴로움의 원인이 되는 갈애를 막는 길은, 이것이 일어나는 것을 없애려고 해서는 안 되고, 들어오는 대상을 6문에서 알아차리는 것입니다. ..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7
12연기와 위빠사나/79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수행자에게는 수행방법에 대한 갈애가 있는데 바꾸지 않으려는 갈애와 바꾸려는 갈애가 있습니다. 하나는, 자기가 하고 있는 수행방법을 집착하여 더 좋은 방법이 있어도 외면하는 것입니다. 또 하나는, 자기의 수행방법에 대해서 확신이 없어서 항상 더 좋은 방법을 찾아..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