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연기와 위빠사나/72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느낌의 종류는 매우 많습니다. 108번뇌도 사실은 모두 느낌입니다. 그러나 어떤 느낌이거나 알아차리면 단지 하나의 느낌일 뿐입니다. 느낌에는 알아차리지 못한 느낌과 알아차린 느낌이 있습니다. 알아차리지 못한 느낌은 번뇌이고, 알아차린 느낌은 지혜입니다. 느낌이 ..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1.15
사마타.위빳사나(止.觀) ① - 사마타와 위빳사나는 부처님 직설 사마타.위빳사나(止.觀) ① - 사마타와 위빳사나는 부처님 직설 사마타(samatha)와 위빳사나(vipassanaa)는 불교 수행을 대표하는 술어이며 특히 상좌부 불교의 수행 체계를 극명하게 드러내는 핵심 술어이기도 하다. 그리고 이 두 술어는 일찍이 중국에서 각각 지(止)와 관(觀)으로 정착되었다. 육조 혜능스..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1.01.13
중도의 특징 몇 가지 - 팔정도 ⑤ 중도는 부처님의 명령 중도는 닦고 많이 공부짓는 것 지난 호의 설명을 바탕으로 몇 가지 관점에서 다시 중도인 팔정도를 음미해보자. 첫째, 거듭 강조하거니와 팔정도가 중도다. 대승불교에 익숙한 우리는 중도하면 일․이․거․래․유․무․단․상(一․異․去․來․有․無․斷․常)을 여읜 것으..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1.0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