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보감(人天寶鑑)

해 제

通達無我法者 2008. 2. 20. 10:31
 

 

해 제


인천보감 (人天寶鑑) 은 세상사람들에게 귀감이 될만한 일들을 모은 것으로서,

주로 승려들의 이야기이며 유교와 도교에 관계되는 옛사람들의 이야기도 수집하여 편집한 책이다.

편집자인 담수 (曇秀) 스님은 서문에서 이 책을 편집한 의도를 두 가지로 말하고 있다.

하나는 옛 사람들의 훌륭한 일을 널리 세상에 알리기 위함이다.

그리하여 비석이나 어록, 짧은 기록, 또는 직접 들은 이야기들을 시대의 앞뒤없이 보이는대로

기록하였으며, 이것은 대혜스님의 정법안장 (正法眼藏) 을 본따서 그렇게 한 것이라고 하였다.

 

둘째는 선 (禪) 을 닦는 이들이 오로지 선만을 주장하는 폐단을 경계하고 옛 사람들은 선과

율 (律) , 그리고 유교와 도교까지도 널리 터득하였음을 말하고자 함이라고 하였다.

그리하여 담수스님이 사명 (四明)  절강성 (江省) 에 주석하던 소정 (紹定)  3년 (1230) 에

스스로 서 (序) 를 쓰고, 난정 유비 (蘭庭劉 ) 의 서 (序) 와 고잠 사찬 (古柝師贊) 의 발

(拔) , 그리고 영은사 묘감 (妙堪) 의 착어 (着語) 를 붙여서 2권으로 간행하였다.

옛부터 중국 총림에서는 이 책을 선림 7부서 (禪林七部書)  중의 하나로 높이 평가하고 있

다.

인천보감의 내용상 특징을 살펴보면 첫째로 수록되어 있는 거의 대부분의 인물이 불교의 스

님들이고, 그 중에서도 특히 천태종 스님들의 이야기가 많이 실려 있다.

맨 처음에 소개되는 담광법사 (曇光法師) 에서부터 열번째인 사명지례 (四明知禮) 에 이르

기까지 모두 천태종과 관련되는 이야기이다. 그리고 전체적으로 122단락 중에서 천태종에

관계되는 것이 약 40개이니 거의 13이나 되는 셈이다.

여기 수록된 천태종 스님들의 법계를 간략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표>

이 법계도를 통해서 보면 이들은 모두 이른바 산거파 (山居派) 인 사명지례의 법손이며, 그

중에서도 선종과의 접근을 강조한 남병 (南屛) 의 후손들이 많이 수록되어 있다. 어떤 스님

들은 법계가 분명하지 않아서 법계도에 들어가지 못한 분들도 있지만 이 법계도에서 볼 때

맨 마지막에 있는 북봉인 (北峯印:1148~1213) 은 인천보감이 편집되기 불과 17년 전에 입

적하였다. 그러나 선종의 스님으로서 담수 (曇水) 스님에게서 가장 가까운 시기의 스님은 불

조 덕광 (:1121~1203) 인데 약 50여 년 이전의 일이다.

둘째는 스님들이 속해 있는 종파에 따라 호칭에 차이가 있다. 즉 선종에 속한 스님은 선사

(禪師) , 율종계통은 율사 (律師) , 그리고 천태종 계통은 법사 (法師) 라 하여 종파가 분명

히 구분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천태종 초기의 스님인 남악 (南嶽) 의 경우에는

「남악선사'라고 한 경우도 있다.

셋째는 선종과 천태종 스님들과의 교류를 비롯하여 다른 종파간의 교류에 대한 언급이 많

다. 그리고 맨 마지막에는 종경록 (宗鏡錄) 에 대한 이야기로서 끝맺는데, 종경록은 선과 교,

천태, 유식, 화엄 등을 하나의 근원인 일심 (一心) 으로 귀결시키고 있는 책이다.

인천보감을 편집한 담수 (曇秀) 스님에 대해 살펴보면 그는 임제종 대혜파인 소옹 묘담

(:1177~1248) 의 법을 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위에서 살펴보았듯이 인천보감에는 천태종 산

거파의 스님들이 거의 모두 수록되어 있고, 또 북봉인스님까지 수록된 점으로 보아 담수스

님은 이들과 관계가 깊은 분으로 추측된다.

더구나 사찬 (師贊) 의 발문에서 보면 "사명 땅 선객 담수공은……인천 (人天) 의 안목을 열

어주었기에 보감 (寶鑑) 이라 이름짓고 원각사 (圓覺寺) 로 달려가 간행하고자 하였다"고 적

고 있는데, 본문 속에 소개된 원각사 (No.93) 는 천태종에 속한 절이다.

담수스님이 인천보감을 간행하기 위해 찾아간 원각사와 본문 중의 원각사와의 관계, 나아가

담수스님과 천태종과의 관계 등에 대해서 더 연구해 봐야 할 것이다.



'인천보감(人天寶鑑)' 카테고리의 다른 글

1. 승보 / 담광(曇光) 법사  (0) 2008.02.20
발 문 (2)  (0) 2008.02.20
발 문 (1)  (0) 2008.02.20
서 문 (2)  (0) 2008.02.20
서 문 (1)  (0) 2008.02.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