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마타ㆍ위빳사나(止.觀) ③ - 본삼매와 찰나삼매 사마타ㆍ위빳사나(止.觀) ③ - 본삼매와 찰나삼매 이번 호에서는 본삼매와 찰나삼매에 대해서 살펴보자. <청정도론> 등의 주석서 문헌들에서는 사마타로 성취되는 삼매를 ‘본삼매’라 부르고 위빳사나 때의 고도의 집중은 ‘찰나삼매’라 정의한다. 여러 경들에서 부처님은 삼매를 마음이 한 끝..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1.03.13
위빳사나는 ‘무상고 무아 통찰’ 그 자체 위빳사나는 ‘무상고 무아 통찰’ 그 자체 ■ 사마타.위빳사나(止.觀) ② 사마타와 위빳사나의 비교 이제 사마타와 위빳사나를 몇 가지 측면에서 비교해서 살펴보자. 첫째, 사마타든 위빳사나든 중요한 것은 대상을 명확하게 설정하는 것이다. 사마타의 대상은 표상(nimitta)이라는 개념(施設, pan~n~atti).. 초기불교/초기불교산책·각묵스님 2011.03.13
12연기와 위빠사나/144/끝 안녕하십니까? 묘원입니다. 아침에 잠자리에서 깨어나는 즉시 알아차리는 것은 하루를 시작하는 중요한 수행을 하는 것입니다. 눈을 뜨면서부터 알아차리는 수행을 하면 청정한 마음으로 하루를 시작합니다. 만약 이러한 알아차림 없이 하루를 시작하면 계속해서 탐욕과 성내는 마음으로 하루를 삽.. 초기불교/12연기와 위빠사나·묘원법사 2011.03.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