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22 주인과 객이 서로 보다 道流야 如禪宗見解는 死活循然하니 參學之人이 大須子細어다 如主客相見할새 便有言論往來호대 或應物現形하며 或全體作用하며 或把機權喜怒하며 或現半身하며 或乘獅子하며 或乘象王이니라
“도를 배우는 벗들이여! 선종의 견해로는 삶과 죽음이 돌고 도는 것이니, 참선을 하는 사람들은 매우 자세히 살펴야 한다. 주인과 손님이 서로 만나면 곧 말들을 주고받는데, 혹은 사람에게 맞추어서 모습을 나타내기도 하고, 혹은 전체작용(全體作用)을 하기도 하며, 혹은 기연과 방편으로 기뻐하거나 성내기도 하며, 혹은 몸을 반쯤 나타내 보이기도 하며, 혹은 사자를 타기도 하고, 혹은 코끼리를 타기도 한다.”
강의 ; 선문답의 사례들을 소개하고 있다. 정신을 똑똑히 차리고 진검승부 하는 마음으로 해야 한다. 장난삼아, 또는 소영웅심리에서 선문답을 해서는 안된다. 여기서 삶과 죽음이란 주객이 서로 만나 법을 거량하는 경우에 이기거나 지는 일을 표현한 것이다. 이기는 것은 살아나는 것을, 지는 것은 죽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말로써 주고받는데 이기고 지는 일이 돌고 돈다는 뜻이다. 여기서는 여섯 가지의 사례를 들고 있다. 혹 사자를 타기도 한다는 것은 문수보살의 역할을 뜻한다. 언제나 보현보살과 대비가 된다. 집안의 일을 맡은 사람이며 지혜를 상징한다. 코끼리를 타기도 한다는 것은 보현보살의 역할을 뜻한다. 바깥의 일을 맡은 사람이며 실천을 상징한다. 여섯 가지 예들이 모두 그와 같은 입장에 서서 사람을 제접한다는 것을 다 들어 보인 것이다.
如有眞正學人이 便喝하야 先拈出一箇膠盆子하면 善知識이 不辨是境하고 便上他境上하야 作模作樣하면 學人便喝에 前人不肯放하나니 此是膏盲之病이라 不堪醫니 喚作客看主니라
“만약 진정한 학인이 있어서 대뜸 “할”을 하여 아교풀을 담은 단지를 하나 내놓으면 선지식은 그것이 경계[미끼]인 줄 모르고 곧 그 경계에서 이런 생각 저런 생각을 지어 낸다. 이것을 본 학인이 다시 “할”을 하여도 앞의 선지식은 이를 놓아버리려 하지 않는다. 이것은 의사도 고칠 수 없는 불치[膏盲]의 병이다. 이런 경우를 ‘객이 주인을 본[看破]다.’라고 한다.”
강의 ; 선문답을 할 경우 주인과 객, 즉 선지식과 학인이 만났을 때 눈이 밝은 학인이 곧 “할”을 하여 마치 아교풀을 담은 단지를 앞에 내어 놓는 것과 같다. 그러면 선지식은 그것이 고기를 낚는 미끼인 줄을 모르고 덥석 물고는 이리 저리 헤아린다. 그 때 학인은 곧 “할”을 하면 선지식은 그 미끼를 놓지 않고 물고 늘어지는 예가 있다. 이것은 치료할 수 없는 병이다. 학인이 선지식을 간파하고 선지식은 간파를 당한 것이다. 이야기가 좀 옆길로 나가보자면, 집안이 이렇게 되면 곤란하다. 한 집안이 잘 되려면 어른들이 모법이 되어야한다. 그런데 그 반대가 되면 문제가 많다. 나라에도 마찬가지다. 윗물이 맑아야 아랫물이 맑다는 너무도 평범한 진리다. 나라의 모든 언론매체들은 매일 매시간 부정과 부패를 소개하느라고 정신이 없다. 부정부패가 왜 그토록 많은가? 윗사람들이 부정부패를 저지르기 때문이다. 어느 물줄기도 맑은 곳은 없는가보다. 특히 상부층 지도층에 있는 정치인들, 기업인들, 공직자들, 종교인들, 교육자들이 맑아야 한다. 이런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맑지 않으면 하층에 있는 사람들은 맑을 길이 전혀 없다. 윗물이 흐린데 아랫물이 맑을 수 있겠는가? 세상에 그런 이치는 없다. 나라가 잘되려면 모든 공장을 멈추더라도 위에서부터 정직하고 검소한 생활을 펴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모든 노력이 다 허사다. 도로 아미타불이다. 위에 있는 정치인들은 하루빨리 깨달아야 한다. 윗사람은 아랫사람을 인도하고 선지식은 학인을 가르치는 의무가 있기 때문이다.
或是善知識이 不拈出物하고 隨學人問處하야 卽奪이라 學人被奪에 抵死不放하나니 此是主看客이니라
“혹은 또 다른 경우는, 선지식이 아무 것도 내놓지 않고 학인이 물으면 묻는 대로 곧 빼앗아 버린다. 학인이 빼앗기고는 한사코 놓아버리려 하지 않으면 이것을 ‘주인이 객을 간파한다.’라고 한다.”
강의 ; 선문답의 또 한 예로서, 선지식은 찾아 온 학인을 두고 보다가 학인이 무엇을 물으면 선지식은 곧 그 질문을 부정해 버린다. 그 때 학인은 인정을 받기위해서 죽자고 놓치지 않는다. 고인의 말씀을 빌리자면 “한 물건도 가져오지 않았을 때 어떻습니까?” “놓아버려라.” “한물건도 가져오지 않았는데 무엇을 놓으란 말입니까?” “놓아버리기 싫거든 가져가거라.” 이와 같은 예다. 이런 경우는 선지식이 학인을 간파하고 학인은 간파를 당한 것이다. 이런 예도 크게 바람직하지는 않다. 아름답지는 않다. 왜냐하면 이미 선문답이 오고가는 사이라면 학인도 한 칼이 있어야 하는데 물고 늘어지기만 한다. 그러나 모든 학인이 다 그러리라는 것을 기대할 수는 없다.
|
'임제록(臨濟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제록강설/시중46/무비스님 (0) | 2007.09.03 |
---|---|
임제록강설/시중45/무비스님 (0) | 2007.09.03 |
임제록강설/시중43/무비스님 (0) | 2007.09.03 |
임제록강설/시중42/무비스님 (0) | 2007.09.03 |
임제록강설/시중41/무비스님 (0) | 2007.09.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