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碧巖錄)

벽암록 / 서(序)

通達無我法者 2008. 2. 29. 21:44
 

서(序)


보조의 서


지극한 성인의 명맥, 역대 조사들의 대기, 뼈를 바꾸어놓는 신령한 처방, 정신〔神〕을 기르는 오묘한 술법이여! 저 설두선사께서 종지와 격식을 뛰어넘는 뚜렷한 안목을 갖추시어 바른 법령을 이끌어내면서도 모습을 겉으로 드러내시지 않으시며, 부처를 단련하고 조사를 담금질하는 집게와 망치를 손에 들고 선승이 자기 초월〔向上〕에 필요한 요점을 말해주셨다. 은산 철벽이니 뉘라서 감히 이를 뚫을 수 있으리요. 몸뚱이가 쇠로된 소를 무는 모기와 같아 입질을 할 수 없다. 대종장을 만나지 않았더라면 깊고 미묘한 이치를 어떻게 다 할 수 있겠는가?

이에 불과 원오(佛果圜悟)스님께서 벽암(碧巖)에 계실 때 수행하는 이들이 잘 몰라 이 미혹을 깨우쳐 주실 것을 청하니, 노장께서 이를 어여삐 여기셔서 자비를 베풀어 저 깊은 밑바닥을 파헤쳐 주시고 깊은 이치를 드러내어 명백하게 딱 가르쳐주셨으니, 이것이 어찌 알음알이를 가지고 한 것이겠는가? 백 칙의 공안을 첫머리부터 하나로 꿰어 수많은 조사스님네들을 차례차례 점검했다.

화씨(和氏)의 구슬에는 본래 티 하나 없었지만 인상여(藺相如)가 진나라 임금을 속였듯이, 지극한 도는 실로 말로 설명할 수 없지만, 종사께서 자비를 베풀어 말로써 잘못을 고쳐주셨다는 점을 반드시 알아야 한다. 이렇게 이해해야만 원오스님의 사무치는 노파심을 알게 된다. 그러나 만약 말이나 문장에 얽매인다면 부처의 종족을 말살하는 짓을 면치 못할 것이다.

나 보조는 다행히도 원오스님을 곁에서 모시어 이제껏 듣지 못했던 것을 들을 수 있었다. 도반들이 스님의 말씀을 모아서 책을 엮고 못난 내가 그 내력을 적는다.


때는 건염(建炎) 무신(戊申, 1128년) 늦은 봄 그믐날,

제자 보조(普照)는 삼가 서문을 쓰다.


만리방회의 서


������사십이장경������이 중국에 들어오고 나서 비로소 부처가 있는 줄 알게 되었고, 달마스님에서 육조 스님에 이르기까지 서로 의발을 전하자 비로소 (선에 대한) 말씀이 있었다. “본래 한 물건도 없다”고 말하는 이들을 남종이라 하고, “항상 열심히 털고 닦는다”고 하는 이들을 북종이라 한다. 그리하여 마침내 선종의 송고가 세상에 퍼지게 되었다. 이네들은 판결을 뒤집는 수단이 있어 부처를 꾸짖고 조사를 욕하는 등 하지 못하는 바가 없다. 그 사이에 간혹 우리를 꾸짖는 이 중에 활법(活法)을 갖춘 자가 있었다. 그렇기는 하지만 이른바 궁극의 진리〔第一義〕를 어찌 말로써 나타낼 수 있으리요. 설두스님과 원오스님이 노파심이 깊으셨으나, 대혜스님께서는 (「벽암록」을) 불살라버렸다. 그후 우중 땅에 사는 장위(張煒 : 字는 明遠)가 그 타고남은 재에 다시 생기를 불어넣어 목판을 다시 깎아 세상에 유포시키니 이것도 역시 노파심이 간절한 것이 아니겠는가!


대덕(大德) 4년 경자(更子, 1300년) 4월 초파일에 계축(笄丑),

자양산(紫陽山)에 사는 방회(方回 : 字는 萬里)는 서를 쓰다.


삼교노인의 서


어떤 이는 묻기를 “「벽암집」을 만든 원오스님과 그것을 태운 대혜스님 중에 누가 옳은가?”라고 한다면, 나는 “둘 다 옳다”고 대답할 것이다. 뻐드렁니에 충치투성이(달마스님을 지칭)가 중국에 와서 오직 마음만을 전하고 문자를 운운하지 않는 것은 참으로 잘한 일이다. 그러나 「혈맥론(血脈論)」, 「귀공론(歸空論)」 등의 여러 글은 과연 누구를 위해 지은 것이겠는가? 옛사람들이 “문자와 관계가 없으나 그렇다고 문자와 무관하지도 않다”고 했으니, 이는 참으로 말을 아는 사람이라고 할 만하다. 수행자들마다 제각기 ‘주련을 걷어올리기’도 하고, ‘선판을 두들기기’도 하고, ‘손가락을 세우기’도 하고, ‘돌부리에 채이기’도 하던 차에, 생사대사를 돈오했다. 어디 문자 따위가 있었느냐? ‘염화미소’의 사건이 있고, 다음에 ‘대문에 있는 장대를 자빠뜨리라는 말씀’이 있고 나서 조금씩 언어문자를 사용하게 되었다. 문자가 아니면 전달할 수 없기에 역시 이 문자를 없앨 수는 없는 노릇이다.

일찍이 조사스님네들의 가르침을 적은 책을 공안(公案)이라 불렀는데, 이는 당나라 때에 생겨 송대에 성행하게 되었다. 그 유래는 참으로 대단하다. 이 ‘공안’이라는 두 글자는 세속에서 말하는 이른바 관리들의 문서에 해당하는 것으로 세 가지 역할이 있다.

면벽 참선을 오래하고 행각을 끝냈더라도 저울 눈금(참된 깨달음을 판단하는 일)을 밝히기 어렵고 오히려 잘못된 선에 떨어지기 쉽다. 그것을 가릴 만한 눈을 갖춘 어른들이 그것을 판별해주시느라 꾸짖기도 하고 소리지르기도 하여 참된 의미를 깨치도록 하였으니, 이것은 마치 노련한 관리가 잘못에 의해 죄를 다스리고 그 실상을 속속들이 알고 사건의 진상을 남김없이 밝혀내는 것과 같다. 바로 이것이 첫 번째의 역할이다.

다음은 육조스님께서 영남 지방에 오신 이래로(마조스님은 서강의 물을 다 마셔야만 만법에 짝하지 않는 사람이 누구인지 대답해주겠다 하였으나) 서강의 물을 마시지 못했고, 도망간 양을 찾으려고 길을 나섰으나 갈림길이 너무 많아 그만 울고 돌아왔지만, 지남철은 언제나 남쪽을 가리킨다. 자비심으로 이끌어주시고자 한 대 때리기도 하고 상처를 주기도 하여, 스스로 깨치도록 하셨네. 이것은 마치 재판관이 법에 의거하여 무죄임을 밝혀 죽음에서 구해주는 것과 같으니, 이것이 두 번째의 역할이다.

다음은 다른 길로 빠질까 염려하여 더욱 고삐를 거머쥐시는 것이다. 하잘 것 없는 일일지라도 전력을 다해야 하며, 흰 바탕에는 잡된 물이 들기 쉽기 때문에 늘 그것을 가엾게 여기셨다. 대선지식께서 이를 간절히 일러주시고 죽자살자 참선하게 하시니, 하시는 일마다 모두가 마치 관청에서 법령을 공포하여 백성들이 이 법을 잘 알고 지켜서 못된 생각이 조그만치라도 생기자마자 당장에 쏙 들어가게 하는 것과 같다. 이것이 세 번째의 역할이다.

기록들을 모아 공안집을 만들어 깨닫게 된 기연과 경지를 늘어놓아 모범이 되는 말씀을 하시는 것은, 마치 세간의 금과옥조(훌륭한 법 조문)․청명대월(훌륭한 판례집)과 조금도 다를 바 없다. 그러므로 조사스님께서 공안을 세우고 총림에 간직하게 한 것은 그 의도가 바로 여기에 있는 것이다. 이것이야말로 말법이 횡행하는 때에 나타나는 징조로, 오묘한 마음의 법을 ‘고름 묻은 창호지(경전)’에서 구하고, 정법을 언어로 전하고, 이미 돌아가신 조사스님들의 말씀을 낱낱이 기록하여 장부에 올려두는 것이 아니고 무엇이냐! 이는 남의 가문에 의존하여 멋대로 양반 행세하는 꼴이다. 이는 또 ‘각주구검’이며 ‘수주대토’와 같아 뱃속 가득히 언어문자를 채우고 이리저리 질문을 펴내지만 생사문제를 해결하는 것과는 조금도 관계가 없다. 시간을 알리는 종소리는 벌써 울리고 물시계의 물도 이미 다 떨어졌는데 장차 무엇을 하려는고? 아아! 영양(羚羊)이 뿔을 나뭇가지에 감추어두니 그를 뒤쫓던 사냥개는 자취를 찾을 길 없구나.

그러나 유하혜(柳下惠)처럼 성인의 길을 배우는 자라면 어찌 옛사람의 발자취를 따르고 쫓지 않으리요? 바로 이렇게 이해한다면 원오스님과 대혜스님 두 어른들이 모두가 옳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원오스님은 뒷날의 자손을 걱정하는 마음이 많아서 설두스님의 송고(頌古)를 거량해주셨고, 대혜스님은 (자손들이) 불에 탈까 물에 빠질까 걱정하는 마음이 지극하여 「벽암집」 그대로 불 속에 집어넣으신 것이다. 부처님께서 일대장교를 모두 말씀하시고 나서 맨 나중에 “나는 전혀 한마디도 말하지 않았다”고 하셨다. 이것이 어찌 우리를 속이느라 하신 말씀이겠는가? 원오스님의 심정은 부처님께서 경전을 설하시던 마음과 똑같고, 대혜스님의 심정은 부처님이 “한마디고 말하지 않았다”고 한 것과 똑같다. 우(禹)․직(稷)․안자(顔子)가 한 일은 서로 다르지만 견지를 바꾸어보면 모두 동일하다. 밀건 당기건 의도는 차를 가게 하려는 데에 있는 것과 같다.

그 뒤 2백여 년이 지나서 우중 땅에 사는 장명원거사가 목판을 새겨 길이 전하였으니, 참으로 이것은 조사의 가르침이 회춘을 맞는 게 아니겠으며, 세상의 운세가 그렇게 정해졌던 것이 아니겠는가? 그러니 이 책이 세상에 유포되는 데에는 그 유서가 매우 깊다 하겠다. 그러나 만약 한 방울의 물을 가지고 바다인 줄 알고, 달을 가리키는 손가락을 달로 착각한다면, 이는 대혜스님이 걱정하는 바일 뿐만 아니라 원오스님도 이런 집착을 풀으려고 할 것이다. 옛사람이 (장명원의) 초상화에 제(題)한 시에, “분명하구려, 종이 위에 그려진 장명원이여! 온 힘을 다해 큰 소리로 불러봐도 대답이 없네”라고 씌어 있다. 이 글을 보려거든 먼저 이 말을 살펴보도록 하라.


대덕(大德) 갑신(甲辰, 1304년) 4월 보름,

삼교노인(三敎老人)이 쓰다.


주치의 서


「벽암집」은 원오스님이 쓰신 것이다. 그런데 그의 훌륭한 제자 대혜선사가 이 책을 불살라 버렸다. 세간의 갖가지 말씀이란 모든 집착을 제일 경계한다. 불제자들은 부처님을 최고로 받들고 귀의하지만 때로는 부처님을 꾸짖기도 한다. 이것은 모두 자기 자신에 철저하고 남에게 의지하지 않고, 자기 스스로 깨치는 것을 귀하게 여기고 남이 깨우쳐주기를 바라지 않기 때문이다. 자기 자신을 버리고 남의 말을 쫓다 보면 자기 자신마저도 잃어버리고 만다.

대저 마음과 도는 하나이고, 도와 만물은 하나여서 온 세계에 충만하니 어찌 도 아닌 것이 있으리요. 다만 예사 사람들은 제 수준으로 보이는 것만을 볼 뿐, 자기 수준에서 보이지 않는 것은 보지 못한다. 이것을 남을 의지해서 알려 하면 남이 말해주더라도, 소동파의 글에 나오는 시각장애자에게 해의 모양을 설명하는 비유처럼, 이리저리 추측하면 할수록 점점 다른 방향으로 가고 만다.

저 우리 공자님께서도 도를 체득하신 후 오히려 말을 하지 않으려 하셨다. 그런데 하물며 부처님께서 출세간법을 말씀하셨으니, 언어나 문자로써 그것을 알 수 있겠는가? 비록 그렇기는 하지만 그 언어문자를 아주 없앨 수는 없다. (왜냐하면) 지혜로운 이는 적고 우매한 이가 많고, 깨달은 이는 적고 앞으로 깨달아야 할 사람이 많기 때문이다. 대장경 5천여 권이 모두 후세 사람들을 위해서 하신 말씀이다. 참으로 말을 잊으려 한다면 부처님도 입을 다물어야 할 것인데, 어찌 이렇게 주절주절 말씀할게 있으리요.

세상의 이치란 우리 주변 속에 있으면서도 그것을 뛰어넘는 곳에 있다. 비록 알기 쉽다고는 하나 실은 쉽게 안 사람은 아직 없다. 그러므로 사람에게 가르침을 받지 않으면 평생 알 수 없다. 옛날에 세상에 이름을 날렸던 사람은 천 명 중에 하나 나오는 영웅이 아니라 만  명중에 하나 나오는 인물이다. 태아의 검을 세상 사람들은 모두 훌륭한 칼이라고 한다. 이것을 메고 산에 가면 범과 이리를 죽이고 물에 들어가서는 사나운 용도 잡는다. 세상 사람들이 이 칼에 대해 아는 것은 고작 이런 정도이다. 그러나 이 칼을 제대로 쓸 줄 아는 옛사람 중에는 적진의 성곽을 뛰어넘어 싸움을 하면서, 바람결에 따라 칼을 휘둘러 삼군(三軍)을 싹 죽여서 그 피가 천 리 밖까지 벌겋게 비추게 했던 이도 있다. 그러니 어찌 자기의 능력에 견주어 (남의 솜씨를) 의심해서야 되겠는가?

나는 이 책이 있다는 소문을 듣고 꼭 구하고 싶었는데, 우중 땅에 사는 장명원거사가 다시 목판을 새겨와서 내게 보여주었다. 서로 도와서 책을 만들고 또 서문을 쓰게 되었다.

대덕(大德) 9년, 때는 을사(乙巳, 1305년) 삼월 길일(吉日),

옥잠휴휴거사 요성주치(玉岑休休居士 聊城周馳)는 전당(全當) 땅에 있는 관교만사(觀橋萬舍)에서 서문을 쓰노라.


'벽암록(碧巖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3칙 마조의 일면불〔馬祖日面佛〕  (0) 2008.02.29
제2칙 趙州至道無難  (0) 2008.02.29
제1칙 達摩不識  (0) 2008.02.29
차례 / 벽암록 上  (0) 2008.02.29
벽암록(碧巖錄) / 해제(解題)  (0) 2008.02.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