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典/금강경(金剛經)

한형조교수/16강/삼계유심(三界唯心), 만법유식(萬法唯識)

通達無我法者 2008. 8. 15. 22:03

 

 

“생사가 있는 거요 없는 거요?”

 

사성제의 두 번째 진리는 왜 사바세계가 이렇게 곤경과 비참에 빠지게 되었는지, 그 ‘원인’을 말합니다.

그것이 집(集)입니다.

이때 집(集)을 대개는 집착(執着)으로 번역하지만 이 번역은 충분하지 않습니다.
집(集)이란 ‘모였다’는 뜻입니다.
사바의 곤경과 비참은 ‘여러 계기가 모여서’, 즉 연기(緣起)하여 ‘일어난’ 사태임을 말하고 있습니다.

일어난 것은 소멸될 수 있다
여기서 ‘일어났다’는 것을 주목해야 합니다.
그것은 인간의 곤경과 고(苦)의 현실이 필연적 사태가 아니라, ‘우연적인 것’임을 함축하고 있습니다.
만일 그것이 ‘일어난 것’이라면, ‘그것은 소멸될 수 있다!’는 말이니까요.
마찬가지로 그것이 ‘만들어진’ 어떤 것이라면, 우리는 그것을 다시 부술 수 있습니다.
연기법에 대한 오래된 정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것이 있기에, 저것이 있게 된다. 이것이 생기기에 저것이 생긴다. 이것이 없으면 저것도 없다. 이것이 멈추면, 저것도 멈춘다.”

그럼 대체 무엇이 모여, 사바의 곤경을 만들어내고 있을까요.
저번 강의의 얘기를 다시 반복하는 것을 용서하십시오.
어느날 우루벨라의 해질 무렵, 붓다는 불을 섬기던 카샤파 형제들을 데리고 산에 올랐습니다.
저녁노을로 불타는 하늘을 보고 그는 다음과 같이 말했습니다.
이것은 예수의 산상수훈에 비견되는 유명한 법문입니다.

“비구들이여, 사람도 저와 같이 불타고 있다.
사람의 무엇이 불타고 있는가.
1) 눈이 타고 있고, 눈이 보는 물질이 타고 있다.
귀가 타고 있고, 귀가 듣는 소리가 타고 있다.
코가 타고 있고, 코가 맡는 냄새가 타고 있다.
혀가 타고 있고, 혀가 느끼는 맛이 타고 있다.
몸이 타고 있고, 몸이 접촉하는 감촉이 타고 있다.
의식이 타고 있고, 의식이 소비하는 대상인 생각이 타고 있다.
비구들이여, 이것은 무엇 때문에 이렇게 불타고 있는가.
2) 다름 아닌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 때문에 불타는 것이다.
그로 인해
3) 태어남과 늙음과 병듬과 죽음이 불타고 있고, 또한 근심과 슬픔과 번뇌와 괴로움(愁悲惱苦)이 불타고 있다.
그러므로 비구들이여, 너희들은 이 모든 불타는 것과 그 원인에 대해 싫어하는 생각을 가져야 한다.
일체에 대해 싫어하는 생각을 가질 때, 탐욕과 분노와 어리석음의 불꽃이 꺼지고, 그때 근심과 슬픔과 번뇌와 괴로움에서 벗어나 해탈을 얻게 된다.”

잘 보시기 바랍니다.
붓다는 감각기관과 그 대상이 ‘모여’ 불타고 있다고 말합니다.
그리고 그 불타는 고통과 곤경의 바다는, 다름 아니라 인간 내부의 세 가지 독소인 탐진치(貪瞋痴)가 촉발하고 추동한 결과라고 말합니다!
그렇지만 희망이 있습니다.
그것은 ‘일어난 것’이기에 ‘사라질 수’ 있고, ‘만들어진’ 것이기에 ‘부술 수’ 있습니다.
비록, 한 바가지 두레박 물로는 어림도 없지만, 어쨌거나 이 불을 끌 수 있다니, 용기를 냅시다.
해탈과 열반은 바로 그렇게 ‘불을 꺼서’, 마침내 ‘이 곤경으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뜻합니다.

불교는 관념론인가
지난해 저는 어느 스님으로부터 느닷없는 전화를 받은 적이 있습니다.
전화기 저편에서 굵은 톤의 목소리가 다짜고짜 물어 왔습니다.
“생사(生死)란 있는 거요, 없는 거요?”
지금도 절집에서 가장 중요시하는 화두 가운데 하나가 이거지요.
여러분들은 이 물음에 어떻게 대답하시겠습니까.
저는 그때 “당신이 알겠지!”하고 불퉁스레 전화를 끊었는데, 좀 미안하게 생각합니다.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서생들이란 본시 쥐꼬리만큼 아는 것 가지고 잘난 척을 하다가도,

모르는 질문이 나오면 괜히 신경질을 내는 좁쌀들이니까요.


붓다는 우루벨라의 산정에서,

생로병사(生老病死)의 인간 조건과 그 곤경 또한, 바로 탐진치가 ‘모여, 일으킨’ 것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사람들은 고개를 갸웃합니다.
“붓다는 그럼 생로병사(生老病死)는 없다고 말하고 있는가.

이것들은 원래 없었던 것인데,

인간 내부의 독소들과 감각기관들,

그리고 그 대상들이 있음으로 하여 ‘비로소 있게 된’ 것이라고 말하는가.”


이것은 아무래도 생물학적 상식을 무시하는 엉터리없는 소리 같아 보입니다.
그러나 붓다는 지금 진실을 말하고 있습니다.
잠시, 그리고 깊이, 불교가 설파하는 전혀 다른 시각에 귀를 기울여 봅시다.
생물학적 진실을 무시하는 이 억지(?) 같은 이치는 하루아침에 설득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불교가 어렵습니다.

이 이치를 만나기 위해서는 생활태도를 바꾸고 마음의 움직임을 제어하며,

세계와 인간을 보는 전혀 다른 시각을 연마해야 합니다.

즉, 불도(佛道)를 닦아야 생사 없는 이치를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겁만 주면 좀 무책임하지요.
이 특이한 발상을 힘닿는 대로 설명해 보일까 합니다.

인간에 의해 ‘구성된’ 세계
어디 생로병사뿐이겠습니까.
불교는 아예 우리가 알고 있는 이 ‘세계’ 전부가 실재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이 만드는 것이라고 말합니다.
이 기이한 말씀을 여러분들은 귀가 따갑게 들어보았을 것입니다.
삼계유심(三界唯心)! 만법유식(萬法唯識)!

<대승기신론>도 이를 따라

“마음이 일어나면 수많은 세계가 생겨나고, 마음이 꺼지면 수많은 세계가 사라진다.

(心生則種種法生, 心滅則種種法滅)”고 했습니다.

이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아시다시피 원효 스님은 당시 중국에서 신역(新譯)의 새 지평을 열고 있던 현장의 자은사 문중을 흠모하여, 의상과 함께 당시 금지되어 있던 유학을 시도했습니다.

첫번째는 압록강 근처 고구려국경에서 잡히는 바람에 실패하고,

두번째 시도를 하던 중, 어느 흙굴에서 밤을 지새게 되는데,

거기서 세계와 인간 정신의 비밀을 깨닫게 됩니다.


“어젯밤 잠자리는 흙굴이어서 편안했는데, 오늘밤 잠자리는 무덤 속이라 매우 뒤숭숭하구나.
알겠도다.

마음이 생겨나므로 수많은 법이 생겨나고.

마음이 사라지므로 흙굴과 무덤이 둘이 아니구나.

또 삼계는 오직 마음이요, 만법은 오직 의식일 뿐이니,

마음 밖에 법이 없는데 어찌 따로 구하겠는가

(則知! 心生故 種種法生, 心滅故 龕墳不二. 又, 三界唯心, 萬法唯識, 心外無法, 胡用別求).”

(송고승전 ‘의상전’)


세계가 마음과는 독립하여 객관적으로 존재한다는 것을 실재론이라고 부릅니다.
그러나 과연 세계는 인간이 의식하기 이전에도, 혹은 의식하거나 말거나 존재하는 것일까요.
불교는 관념론의 입장에 섭니다.
그러나 그것은 독특한 관념론입니다.

불교는 서구의 극단적 관념론처럼

“객관적 실재는 없고, 모든 존재하는 것은 인간의 의식일 뿐”이라고는 하지 않습니다.


불교는 세계의 객관적 실재에 대해서는 유보적입니다.
아니, 어느 편이냐 하면, 불교는 세계의 실재를 에누리 없이 긍정합니다!
그것은 분명히 역력하게 실제(實際)합니다(이 말에 오해가 없어야 하는데…).

불교가 문제 삼는 것은, 객관적 실제(實際)가 아니라 ‘그 실제를 수용하고 해석하는 인간의 시선’입니다!

다시 말하면 불교가 점검하고자 하는 것은 인간에 의해 ‘구성된’ 세계라는 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