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經五家解·덕민스님

『법회 인유분』 해설 1

通達無我法者 2008. 9. 28. 11:39

 

금강경 참 뜻 “의심 끊어라”
 
圭峰: 後釋經文 淮常三分 一 序分 二 正宗分 三 流通分 初文 又二 一 證信序 二 發起序

규봉: 뒤에, 경전해석을 상례에 따라 세 부분으로 나눌 것이니, 1은 서분(도입부분)이요, 2는 정종분(전개부분)이요, 3은 유통분(종결부분)이다. 서분의 글에 또 둘이 있으니, 첫 번째는 증신서요, 두 번째는 발기서다.

〈보충설명〉 三分으로 처음 과목을 나눈 것은 동진의 도안법사입니다. 도안법사의 호는 彌天인데 ‘彌天高判 暗符西域’이란 말로 사기에 소개되어 있습니다. ‘彌天高判 暗符西域’이 라는 말은 미천(도안법사)의 안목 높은 판단, 즉, 삼분으로 나눈 高見이 서역(인도)의 학자들과 부합된다’는 말입니다. 그런데 도안법사의 호가 彌天이 된 것은 다음과 같은 유래가 있습니다. 도안법사와 같은 시대에 습착지라는 학자가 있었습니다. 그는 도안법사를 처음 만났을 때 자신의 학문을 과시하기 위해 “저는 사해(四海)에서 가장 훌륭한 습착지입니다.” 라고 소개했습니다. 도안법사도 “저는 하늘에 가득 찬(彌天) 석도안입니다.”라고 자신을 소개했습니다. 그래서 그때부터 도안법사의 호는 미천(彌天)이 된 것입니다.

法會因由分 第一
(부처님께서 법문하시게 된 원인을 드러낸 부분)

如是我聞 一時 佛 在舍衛國祇樹給孤獨園 與大比丘衆千二百五十人 俱
이처럼 내가 들었사오니, 일시에 부처님이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셔서 대비구 천이백오십인과 더불어 함께하시니

文前 分三
경의 본문에 들어가기 전, 세 부분으로 나누건대

一 明建立之因 則佛臨滅度 阿難 請問四事 佛 一答 我滅度後 一 依四念處住 二 以戒爲師 三 默惡性比丘 四 一切經首 皆云如是我聞 一時 佛 在某處 與衆若干等

제1은 금강경이 건립된 원인을 밝혔으니, 곧 부처님 열반 무렵 아난이 부처님께 네 가지 일을 청해 물었을 때 부처님께서는 “내가 멸도한 후에, 1) 사념처에 의지하여 머무르고, 2) 계로써 스승을 삼고, 3) 나쁜 비구를 침묵으로 물리치며, 4) 일체의 경전 첫머리에 ‘이와 같이 내가 들었사오니, 일시에 부처님이 모처에 계셔서 대중 약간 명 등과 함께 하시니라’ 고 하라.” 답하셨다.

〈보충설명1〉 四念處란 身念處, 受念處, 心念處, 法念處를 말합니다. 身念處住는 부모에게서 받은 우리의 육신은 청정하지 못하므로 不淨觀에 머무르라는 뜻입니다. 受念處住는 우리가 느끼는 감각적 쾌락은 참다운 것이 아니고 괴로운 것이므로 苦觀에 머무르라는 뜻입니다. 心念處住는 우리의 마음이 시시각각 변화하고 생멸하므로 無常觀에 머무르라는 뜻입니다. 法念處住는 나, 나의 소유물, 삼라만상 등이 모두 실체적 자아가 없으므로 無我觀에 머무르라는 뜻입니다. 四念處의 念은 계를 충실히 지키며 행하는 지혜의 능동적 실천입니다.

〈보충설명2〉 유교, 도교, 불교 등 동양사상은 가르침의 출발지점은 다르지만 똑같은 지점에서 만나게 됩니다. 즉, 행복과 진리를 밖에서 추구하지 않고 내면에 갖추어져 있는 것에서 찾고 있습니다. 대학(大學)의 삼강령(三綱領)을 예로 들더라도 그렇습니다. 대학의 삼강령은 명명덕(明明德), 신민(新民), 지어지선(止於至善)입니다. 명명덕(明明德)이란 명덕을 밝힌다는 뜻입니다. 명덕이란 누구나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밝은 덕인데 불교에서 말하는 진여와 상통하는 것입니다. 명덕을 밝혀야 깨달음과 통하고 깨달음을 근본으로 삼아야 신민(新民) 즉, 백성을 새롭게 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신민이란 불교에서 말하는 하화중생(下化衆生)입니다. 그러고 나서 지어지선을 이루어야 합니다. 지어지선이란 생명의 근원 곧 지극한 선에 머문다는 뜻인데 이는 사념처에 머물러야 한다는 불교의 가르침과 일맥상통하는 부분입니다.

二 明建立之意 意有三焉 一 斷疑故 謂結集時 阿難 昇座 欲宣佛法 感得自身 相好如佛 衆起三疑 一 疑佛 重起說法 二 疑他方佛來 三 疑阿難成佛 故說此言 三疑頓斷 二 息諍故 若不推從佛聞 言自製作 則諍論 起 三 異邪故 不同外道經初 云阿憂等

제2는 금강경 건립의 뜻을 밝힌 것이니, 그 뜻에 세 가지가 있다. 첫째, 의심을 끊게하려는 까닭이니, 이를테면 결집 당시 아난이 법좌에 올라 불법을 펴고자 할 때 자신의 상호가 부처님과 같아서 대중이 세 가지 의심을 일으키는 것을 감득했는데, ① 부처님이 다시 일어나셔서 설법하는 것이 아닌가 하는 의심, ② 타방 부처님이 왔는가 하는 의심, ③ 아난이 부처를 이루어 설하는가 하는 의심이다. 고로 이 여시아문이란 말로 설하여 세 가지 의심을 단박에 끊었다. 둘째, 다툼을 쉬게 하려는 까닭이니, 만일 부처님으로부터 들었다 하지 않고 스스로 제작했다고 하면 쟁론이 일어날 것이다. 셋째, 사마외도의 경과 차이를 두어야 하는 까닭이니, 외도의 경전에는 처음에 아우(阿=>무, 憂=>유) 등이라고 기술되어 있다.

〈보충설명〉 아난은 부처님을 20여년간 시봉하느라고 아라한을 이루지 못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칠엽굴에서 경전을 결집할 때 가섭에 의해 밀려났습니다. 그 후 분심을 발해 아라한을 이루고, 열쇠구멍을 통해 다시 들어가 결집에 동참했습니다. 그리고는 부처님의 시자로써 가장 많이 듣고 배운 것을 모두 기억해내어 법좌에 올라 부처님의 법을 설하게 되었습니다. 이 때 많은 대중이 세 가지 의심을 일으켰기 때문에 여시아문이란 말로 이 의심들을 모두 끊어버렸습니다. 또, ‘내가 부처님께 직접 이렇게 들었다’고 밝힘으로써 다른 쟁론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 밖에 여시아문을 밝힘으로써 부처님 말씀과 사마외도의 경전과의 차이가 드러나게 됩니다.

三 正釋文義 具六成就 謂信聞時主處衆 六緣 不具 敎則不興 必須具六 故云成就

제3은 문장의 뜻이 바르게 해석되려면 6가지의 원만한 성취가 이루어져야 하는데 말하자면 믿음(信, 如是), 들음(聞. 我聞), 시간대(一時), 설법의 주인(主, 佛), 장소(處. 舍衛國 祈樹給孤獨園), 대중(衆, 千二百五十人)이다. 6가지 인연이 갖추어지지 않았다면 부처님의 가르침은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니 반드시 6가지를 갖추어야 하기 때문에 성취라고 한 것이다.

六成就者 一 信 若兼我聞合釋則指法之辭也 如是之法 我從佛聞 單釋如是者 智度論 云信成就也 佛法大海 信爲能入 智爲能度 信者 言是事如是 不信者 言是事不如是 又聖人說法 但爲顯如 唯如爲是 故稱如是 又有無不二 爲如 如非有無 爲是

6가지 성취에서 1)은 信成就니, 만일 如是와 我聞을 합해서 해석한다면 부처님이 설하신 법을 가리켜 이와 같은 법을 내가 부처님으로부터 들었다는 것이다. 단 如是만 해석할 경우 지도론(智度論)에 의하면 ‘믿음의 성취’다. 불법의 大海에는 믿음이 있어야 능히 들어갈 수 있고 지혜로써 능히 건널 수 있으니 믿음(信)은 ‘이 일이 이와 같다’고 말하는 것이고, 믿지 않음(不信)은 ‘이 일이 이와 같지 않다’고 말하는 것이다. 또 성인의 설법이 다만 진여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니, 오직 진여 만 시(是)가 되므로 여시(如是)라고 칭했다. 또 유(有)와 무(無)가 둘이 아님이 여(如)가 되고, 여(如)가 유무의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 것이 시(是=>당처)가 된다.
〈계속〉
 
 
출처:법보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