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經五家解·덕민스님

지경공덕분/2/출가자는 명리·영달의 노예 되지 말아야

通達無我法者 2008. 10. 8. 16:13

 

 

          <사진설명>금강산도 화첩 중 정양사. 겸재 정선(1697~1759) 作.

선시 맛보기

불국사 월산 조실 스님이 생전에 즐겨 쓰시던 선시(禪詩) 두 편을 소개하겠습니다.

不求名利不求榮 只隨緣度此生
명리를 구하거나 세속적 영달을 구하지 말고,
다못 이러히 인연 따라 이 생을 구제하라.

三寸氣消誰是主 百年身後虛名
세 치의 기운이 소멸되었을 때 누가 주인공인가?
백년도 안 되는 목숨 뒤에는 부질없는 헛된 이름뿐.

衣裳破處重重補 糧食無時旋旋營
옷이 낡으면 거듭거듭 기워 입고,
양식이 떨어지면 알맞게 살림하라.

一箇幻軀能幾日 爲他閑事長無明
하나의 헛된 몸뚱이 며칠이나 남았는가?
저 한가로움 일삼아 무명만 키우네.

〈보충설명1〉 首聯에서 명리와 영달을 구하지 말라는 것은 동산양개화상의 좌우명이기도 합니다. 월산 스님은 출가자는 다만 명리와 영달에 노예가 되지 말고 자신이 처해 있는 상황에 맞추어 수행하라는 의미로 이렇게 표현했습니다. 부목은 부목대로, 원주면 원주대로 조실이면 조실답게 수행해 나가면 이 세상의 주인공이 됩니다.

〈보충설명2〉‘삼촌(三寸)’은 우리 얼굴의 눈과 귀와 입의 거리가 세 치를 벗어나지 못하기 때문에 눈으로 보고 귀로 듣고 입으로 말하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때로는 혀의 길이를 뜻하기도 합니다. 따라서 세 치의 기운이 소멸되었다는 것은 우리 몸뚱이가 죽었다는 말입니다.

〈보충설명3〉 頸聯은 월산 스님의 자화상입니다.

〈보충설명4〉 ‘旋旋營’은 모자라지도 않고 남지도 않게 알맞게 구하여 적당히 경영하고 쓰는 것입니다.

〈보충설명5〉 尾聯은 우리의 목숨이 언제 끊어질지 기약이 없는데도 그 것도 모른 채 수행과 상관없는 무모한 일로 무명만 키운다는 뜻입니다.

地爐無火客囊空 雪似楊花落歲窮
拾得斷麻穿壞衲 不知身在寂寥中
땅속의 화로에는 불씨 하나 없고 객의 주머니도 텅텅 비었는데,
눈은 마치 버들 꽃처럼 세모(歲暮)에 떨어지네.
삼베조각 주워서 떨어진 옷 꿰매니,
이 몸이 고요 속에 머무름도 몰랐네.

〈보충설명〉 불씨도 없고 주머니도 텅텅 비었다는 것은 집착이 모두 끊어진 선사의 살림살이입니다.

若有人 能受持讀誦 廣爲人說 如來 悉知是人 悉見是人 皆得成就不可量不可稱無有邊不可思議功德 如是人等 則爲荷擔如來阿多羅三三菩提
“만일 어떤 사람이 능히 금강경을 수지독송하여 널리 모든 사람을 위해 설법하면, 여래는 다 이 사람을 알아주고 다 이 사람을 돌봐주어서, 헤아릴 수도 없고 칭량할 수도 없고 가 없고 생각할 수도 없는 공덕을 성취하리니, 이와 같은 사람들은 여래의 아뇩다라샴먁삼보리를 짊어지고 있는 사람이니라.”

〈보충설명〉 앞에서는, 보시 가운데서도 최상의 보시인 身命보시를 백천만억겁 동안 행하더라도 그것은 相에 머무르는 보시이기 때문에, 금강경 사구게로써 진리를 깨닫고 불지에 오르는 것과는 견줄 수 없다는 설법이 진행되었습니다.
오늘 배우는 經文은, 성문이나 연각은 四相이 남아 있어서 진리를 깨닫는데 이르지 못하지만, 금강경은 대승과 최상승을 발하는 사람들을 위한 경전으로서 그 공덕이 불가사의 하며, 그 공덕으로 춘추 만대를 살아가는 사람들은 부처님께서 모두 살펴주어 최상의 행복을 누릴 수 있다는 내용입니다.

[六祖]上根之人 聞此深經 得悟佛意 持自心經 見性究竟 復能起利他之行 爲人解說 令諸學者 自悟無相之理 得見本性如來 成無上道 當知說法之人 所得功德 無有邊際 不可稱量 聞經解義 如敎修行 復能廣爲人說 令諸衆生 得悟修行無相無着之行 以能行此行 卽有大智慧光明 出離塵勞 雖離塵勞 不作離塵勞之念 卽得阿多羅三三菩提 故名荷擔如來 當知持經之人 自有無量無邊不可思議功德
상근기의 사람은 이 깊은 금강경 내용을 듣고 부처님 뜻을 깨달아서 자신의 心經(마음의 경전)을 가져 성품을 원만 성취하고, 다시 능히 이타행(利他行)을 일으켜서 남을 위해 해설하여 모든 배우는 자들로 하여금 무상(無相)의 이치를 스스로 깨달아 본성(本性)의 여래를 보게 하여 위없는 도를 이루게 하니, 마땅히 알라. 법을 설하는 사람의 공덕은 끝이 없어 헤아릴 수 없다.

경전을 듣고 뜻을 이해하여 가르침과 같이 수행하고, 다시 능히 널리 남을 위해 설법해서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상이 없고 집착이 없는 행을 닦아서 깨닫게 하고, 능히 이 행실을 실천하면 곧 큰 지혜의 광명이 있어서 진로(塵勞)를 벗어날 것이니, 비록 진로를 벗어났으나 진로를 벗어났다는 생각조차 내지 않으면 곧 아뇩다라삼먁삼보리를 얻을 것이다. 그러므로 ‘여래의 진리를 짊어지고 있다’고 할 수 있으니, 마땅히 알라. 경전을 수지하는 사람은 스스로 한량이 없고, 가 없고, 불가사의한 공덕을 지니고 있는 것이다.

[冶父]擘開泰華手 須是巨靈神
손가락으로 태산과 화산을 가르는 솜씨를 가졌으니 모름지기 거령신이로다.

〈보충설명〉 거령신은 治水로 유명한 중국의 성군(聖君)인 우임금 때의 일화에 등장하는 것입니다. 우임금 시대에는 황하가 태산과 화산에 가로막혀 물난리를 자주 겪었습니다. 우임금이 항상 이 문제로 걱정하고 있었는데 어느 때 거령신이 나타났습니다. 거령신은 태산과 화산의 중간을 주먹으로 쳤습니다. 그랬더니 두 개의 산이 크게 갈라지고 그 사이로 황하의 물줄기가 흘러내려 갔습니다. 이런 일이 있은 뒤로는 물난리가 나지 않았다고 합니다.

여기에서의 거령신은, 거대한 惡業의 山을 쪼개고 몰록 부처님의 진리를 깨달아 그 것을 짊어지면서 항상 남을 위해 설법해주는 대승보살의 인품을 비유한 것입니다.

堆山積岳來 一一盡塵埃 眼裡瞳人碧 胸中氣若雷 出邊沙塞靜 入國貫英才 一片寸心如海大 波濤幾見去還來
쌓이고 모여 산악이 됨이여! 낱낱이 다 티끌이로다. 눈 속의 눈동자는 푸르고 가슴 속의 기운은 우뢰 같도다. 변방으로 나가면 변방이 고요하고, 나라에 들어오면 영재가 모이네. 한 조각 마음도 큰 바다 같으니, 파도는 얼마나 오고 갔는가?
〈계속〉
 
출처:법보신문/덕민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