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의 문(門)은 비록 많지만, 모든 부처님과 조사들은 참선으로써 위없이 묘한 법문을 삼으셨습니다. 부처님께서는 능엄회상(楞嚴會上)에서 문수보살에게 원통(圓通) 법문을 말씀하게 하실 때, 관음보살의 이근원통(耳根圓通)을 으뜸으로 치셨습니다. 우리는 듣는 자기의 성품을 돌이켜 들어야 하는데, 그것이 참선입니다. 거기에 바로 선방이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 이제 참선이라고 하는 이 한 법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좌선할 때 알아야 할 것
좌선을 할 때에는 몸과 마음을 잘 조절할 줄 알아야 합니다. 만약 제대로 조절하지 못하면 작게는 병에 걸리고, 크게는 마(魔)가 붙게 됩니다. 정말 안타까운 일입니다. 선방 안에서 하는 행선(行禪)과 좌선(坐禪)은 심신을 조절하려는 데에 그 뜻이 있습니다. 이 외에도 몸과 마음을 조절하는 방법은 많지만 중요한 것만 간략히 설명하겠습니다.
가부좌를 할 때에는 자연스럽고 바르게 앉아야 하며, 의식적으로 허리를 너무 꼿꼿이 세워서는 안 됩니다. 만약 그렇지 않으면 화(火) 기운이 위로 올라가므로 좌선이 끝난 다음 눈곱이 끼고 입 냄새가 나며, 기운이 머리로 솟구치고(氣頂), 입맛이 없어지기도 합니다. 심할 경우에는 피를 토하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해서 허리를 구부리거나 머리를 수그려서는 안 됩니다. 그렇게 하고 있으면 쉽게 혼침(昏沈)에 떨어집니다. 만약 혼침이 온다고 느끼면 눈을 부릅뜨고 허리를 쭉 편 다음 가볍게 엉덩이를 옮기면 혼침이 사라질 것입니다.
공부를 지나치게 급박하게 해서 마음이 어지럽고 초조할 때에는 모든 반연(攀緣)을 놓되 공부까지도 놓아 버리십시오. 반 시간쯤 쉬면 서서히 편안해질 것입니다. 그런 뒤에 다시 화두를 들고 공부하십시오. 그렇지 않으면 날이 가고 달이 가면서 누적되어 조급한 성격이 되거나 성을 잘 내게 되며, 심할 경우에는 미쳐 버리거나 마(魔)가 붙게 됩니다.
좌선을 할 때 수용(收用)하게 되는 경계는 매우 많기 때문에 다 언급할 수가 없습니다. 그러나 다만 그것에 집착하지만 않으면 장애가 그대에게 이르지 않을 것입니다. 흔히 말하듯이 '괴이한 것을 보고도 괴이하게 여기지 않으면 괴이한 것이 저절로 사라진다(見怪不怪 其怪自敗)'는 것입니다.
비록 요망한 마군이나 괴상한 귀신(妖魔鬼怪)이 와서 그대를 뒤흔들더라도 상관하지 말아야 하며, 두려워해서도 안 됩니다. 또한 석가모니 부처님이 오셔서 그대에게 마정수기를 주신다 할지라독 상관하지 말아야 하며, 기뻐해서도 안 됩니다. 능엄경에서 이른바 "거룩하다는 마음을 내지 않는 것을 좋은 경계라 한다. 만약 거룩하다는 생각을 내면 곧 온갖 삿된 것을 받게 된다(不作聖心 名善境界 若作聖解 卽受 邪)."고 하는 말이 그것입니다.
2) 공부에 착수하는 법 - 손님과 주인의 인식
그는 말하기를, "마치 지나가는 손님이 여관에 투숙하여 밥을 먹거나 잠을 자는데, 먹거나 자고 나서는 짐을 꾸려 떠나야 하므로 오래 머물지 못하지만, 주인은 가지 않는 것과 같습니다. 이렇게 생각하면 머물지 않는 이는 손님이요, 머무는 이는 주인입니다. 머무르지 않는 것을 객이라 하는 것은 이런 의미입니다. 또 비가 개고 해가 나와서 햇빛이 문틈으로 들어오면 허공에 티끌들이 흔들이며 떠다니는 것을 보게 되는데, 티끌(塵質)은 이리저리 움직이지만 허공은 고요히 움직임이 없으므로, 깨끗하고 고요한 것은 허공이라 하고 흔들리는 것은 티끌이라 합니다 흔들리는 것을 티끌이라 하는 것은 이런 의미입니다."라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손님과 티끌은 망상(妄想)에 비유한 것이요, 주인과 허공은 자성(自性)에 비유한 것입니다. 상주(常住)하는 주인은 손님이 오든 가든 본래 그를 따라가지 않습니다. 이것은 상주하는 자성이, 본래 문득 일어났다가 꺼지는 망상을 따르지 않는 것을 비유한 것입니다. 이른바 "스스로 만물에 무심하기만 하면, 만물이 항상 둘러싸고 있다해도 무슨 방해가 되겠는가(但自無心于萬物 何妨萬物常圍繞)."하는 것입니다.
티끌은 스스로 흔들리지만 본래 맑고 고요한 허공에 장애가 될 수 없습니다. 이는 망상이 스스로 일어나거나 없어지는 것일 뿐, 본래 여여부동(如如不動)한 자성을 가리지 않음을 비유한 것입니다. 이른바 '한 마음이 일어나지 않으면 만법에 허물이 없다(一心不生 萬法無 咎)'는 것입니다.
이 중에서도 손님은 비교적 거칠고 티끌은 비교적 미세합니다. 그러므로 초심자는 먼저 주인(主)과 손님(客)을 분명히 구별할 수 있어야 합니다. 그러면 스스로 망상에 휩쓸리는 일은 없을 것입니다. 더 나아가서 허공과 티끌을 가려낼 수 있게 되면 망상이 더 이상 장애가 되지 못할 것입니다. 이것이 이른바 '알아차리면 억울한 꼴은 당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자세히 살펴보아 이해하게 되면 그것만으로도 깨달은 바가 많을 것입니다.
3) 화두와 의정(疑情)
그러나 후대의 조사들은, 사람들의 마음이 옛날과 같지 않아서 필사적이지 못하고 거짓 놀음을 일삼으며(多弄機詐), 항상 남의 보배를 헤아려서 자기 집의 보배로 삼는 일(고인의 말씀에 집착하는 것)이 허다함을 보시고, 부득불 제각기 일가를 세우고 솜씨를 발휘하여 학인들에게 화두를 보게 했습니다.
화두에는 저 "만법이 하나로 돌아가는데, 그 하나는 어디로 돌아가는가(萬法歸一 一歸何處)"라든가, "부모에게서 태어나기 전에 어떠한 것이 나의 본래 면목인가(父母未生前 如何是我本來面目)"등이 있습니다.
그러나 대체로 "염불하는 것은 누구인가(念佛是誰?)"하는 것이 가장 보편적인 화두라고 할 것입니다.
어떤 것을 화두(話頭)라고 하는가 화(話)는 말이요, 두(頭)는 말하기 전이니, 저 '아미타불'을 염할 때 '아미타불'하는 말은 화(話)요, 이를 염하기 전이 화두(話頭)입니다. 이른바 화두란 곧 '한 생각이 일어나기 전(一念未生前之際)'이니, 한 생각이라도 일어나면 이미 화미(話尾, 말꼬리)를 이루게 됩니다.
이 '한 생각이 일어나기 전'을 '나지 않음(不生)'이라고 하는데, 이 상태는 들뜨지도 않고, 혼침에 빠지지도 않으며, 고요함에 탐착하지도 않고, 공(空)에 떨어지지도 않습니다. 또 이를 '없어지지 않음(不滅)'이라고 부르는데, 시시각각 또렷또렷하게 일념으로 (마음) 빛을 돌이켜 비춥니다. 이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음(不生不滅)'이 바로 '화두를 본다(看話頭)' 혹은 '화두를 비춘다(照顧話頭)'고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화두를 보려면 먼저 의정(疑情)을 일으켜야 합니다. 이것이 화두를 보는 길잡이 입니다. 어떤 것을 의정이라 하는가? 가령 '염불하는 것은 누구인가(念佛是誰)' 할 때, 사람들은 모두 그것이 자기가 한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러면 입으로써 염불하는 것입니까, 아니면 마음으로써 염불하는 것입니까? 만약 입으로써 염불한다면, 잠들었을 때 입은 그대로 있는데 왜 염불할 줄 모릅니까? 만약 마음으로써 염불한다면 또 그 마음은 어떻게 생긴 물건인지 도무지 알 수가 없습니다. 이처럼 '누구인가?'에 가볍게 의심을 일으켜야 하며, 거칠게 의심을 일으켜서는 안됩니다. 미세하면 미세할수록 더 좋습니다.
그리하여 어느 때 어느 곳에서나 이 의념(疑念)을 붙들고 또렷하게 비추어 보되 마치 물이 땅 위로 끊임없이 흘러가듯이 볼 것이며 딴 생각을 일으켜서는 안 됩니다. 만약 의념(疑情)이 있으면 달리 마음을 움직일 필요가 없고, 만약 의념이 없으면 가볍게 다시 의심을 일으켜야 합니다.
처음 마음을 쓸 때에는(공부할 때에는) 반드시 고요한 곳(靜中)에서 마음을 안정시키는 것이 움직임 가운데서(動中) 하는 것보다 힘을 얻기가 더 낫습니다. 다만 절대로 분별심은 내지 말아야 합니다. 힘을 얻든 힘을 얻지 못하든 상관하지 말아야 하며, 그것이 동중이든 정중이든 상관하지 말아야 합니다. 오로지 한마음 한뜻으로 공부해 나가기만 하면 되는 것입니다.
'염불시수(念佛是誰)'라는 네 글자 중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수(誰, 누구인가?)'자이며, 나머지 세 글자는 그것을 늘려 말한 것에 지나지 않습니다. 옷을 입고 밥을 먹는 것은 누구인가, 똥 누고 오줌 누는 것은 누구인가라든가, 무명을 타파하는 것이 누구인가, 혹은 능히 알고 느끼는 이것은 누구인가 해도 마찬가지입니다.
행주좌와를 막론하고 이 '누구인가(誰)?' 하나를 들면 곧 쉽게 의념이 일어날 것입니다. 말을 뒤집어서 생각하고 헤아릴(思量卜度) 것이 없으니, 이 '누구인가?' 화두야말로 실로 참선의 묘법(妙法)이라 하겠습니다. 다만 "누구인가?' 혹은 '염불시수?' 네 글자를 가지고 의심하되, 부처님 명호(名號) 부르듯이 한다든지(의심 없이 염불하듯 하는 것), 이리저리 생각하거나 헤아리지 않고 오직 '염불하는 것은 누구인가?' 하고 찾는 것을 일러서 의정이라 하는 것입니다.
어떤 이는 '염불시수' 넉 자를 염불하면서 입에 붙이고 다니지만, 그것은 아미타불을 염불하는 것보다 공덕이 더 크지는 않습니다. 또 어떤 이는 터무니없는 생각을 하면서 이리저리 찾고 궁리하는 것을 의정이라고 하기도 하지만 생각하면 할수록 망상이 더 많아진다는 것을 어찌 알겠습니까? 이는 위로 올라가려고 하면서 도로 밑으로 떨어지는 격이니, 올바로 알아두지 않으면 안 되는 것입니다.
초심인이 일으키는 의념은 아주 거칠어서, 문득 끊어졌다가 문득 이어지며, 금방 익은 듯하다가 금방 설어지니, 의정이라고 할 수도 없습니다. 그저 생각이라고나 할 것입니다. 그러나 점차 날뛰던 마음을 거두어들이면 염두(念頭)에 어떤 덩어리가 잡혀서 머물러 있게 되니, 비로소 참구한다고 말할 수 있습니다.
다시 점차 공부가 무르익으면 의심하지 않아도 저절로 의심이 일어나고, 자기가 어디 앉아 있는지도 모를 정도가 되며, 몸과 마음과 세상이 존재한다는 것도 느끼지 못하게 됩니다. 한 덩어리 의념이 현전(現前)하여 간단없이 이어지는데, 이때 비로소 의정(疑情)이라고 말할 수 있는 것입니다.
실제로 말할 것 같으면 처음에야 어디 공부한다고 하겠습니까? 그저 망상을 제거한다고나 할 것입니다. 그러나 이 때에 이르면 참의심(眞疑)이 현전하니 비로소 참으로 공부하는 시절이라 하겠습니다. 이 때에 하나의 큰 관문이 있으니, 자칫 잘못하면 다음과 같은 갈림길(샛길)로 들어서게 됩니다.
① 이 때에는 아주 맑고 깨끗하며 한없이 가뿐하여, 만약 조금이라도 각조(覺照)를 놓쳐버리면 곧 가벼운 혼침 상태에 빠지게 됩니다. 만약 눈 밝은 이가 옆에 있다면 바로 이 경계에 걸려 있음을 한 눈에 발견할 것입니다. (이 때가 이른바) '향판(香板)으로 내려치니 즉시 하늘의 운무가 걷힌다(一香板打下 馬上滿天雲霧散)'는 것입니다. 흔히 이 때문에 도를 깨친 것으로 착각하는 경우가 허다합니다.
② 또 이 때에는 아주 맑고 깨끗하며 텅 비어 있어서, 만약 의정이 없으면 곧 무기(無記)에 떨어져 마치 죽은 나무가 바위에 기댄 것 같이 앉아 있게 됩니다. 혹자는 이를 일러 "찬물이 돌에 부딪쳐 거품만 인다(冷水泡石頭)"고 하였습니다. 이 때에는 곧바로 다시 화두를 들어야 하며, 들면 곧 깨어 있어 비추어 보게 됩니다. ('깨어 있다(覺)' 함은 미(迷)하지 않은 것이니 곧 혜(慧)요, '비추어 본다(照)' 함은 어지러움(亂)이 없는 것이니 곧 정(定)입니다.)
또렷하면서도 고요한 이 한 생각은, 맑고 고요하게 비추며 여여하게 움직이지 않고, 신령스러워 어둡지 않으며, 항상 분명하게 지각하니, 찬물에 연기 피어오르듯, 한 줄기로 면면히 이어져 끊이지 않습니다. 공부가 이 경지에 이르면 금강의 눈동자(金剛眼晴)를 갖추어야 하니 다시 화두를 들 필요가 없습니다. 화두를 다시 든다면 이는 머리 위에 다시 머리를 얹는 격입니다.
옛날에 어떤 스님이 조주(趙州) 스님에게 묻기를 "한 물건도 가지고 오지 않았을 때는 어떻습니까?" 하니 스님이 말씀하시되, "놓아 버려라." 하였습니다. 다시 묻기를 "한 물건도 가지고 오지 않았는데 어떻게 놓아 버립니까?" 스님이 말씀하시되, "놓아 버리지 않으면 도로 메고 가라."하였습니다. 이것이 바로 이 때의 경계(風光)을 말한 것입니다.
이 경계는 물을 마셔 본 사람만이 그 차고 따뜻함을 알 수 있는 것과 같아서 언설로 표현할 수가 없습니다. 이 경계에 이른 사람은 저절로 분명하게 알 것이지만, 여기에 이르지 못한 이는 말해 주어도 소용없는 것입니다. 이른바 '길에서 검객을 만나면 검을 바쳐야 하지만, 시인이 아니면 시를 바치지 않는다(路逢劍客須呈劍 不是詩人佛獻詩)'는 것입니다.
4) 조고(照顧)화두와 반문문자성
들음(聞)과 비춤(照)은 바로 흐를(順流) 때에는 소리를 따르고 빛(형상)을 좇아가지만, 들음(聽)은 소리를 넘어서지 못하고 봄(見)은 빛을 넘어서지 못하며 분별이 뚜렷합니다. 그러나 거꾸로 흐를(逆流) 때에는 듣는 자기의 성품을 돌이키게 되어 소리와 빛을 좇지 아니하여, 원래 하나인 정묘한 밝음(一精明)인 것입니다. 들음과 비춤은 별개의 둘이 아닙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이른바 '화두를 비춘다'거나 '듣는 자기의 성품을 돌이켜 듣는다'고 하는 것이 절대로 눈으로 보거나 귀로 듣는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합니다. 만약에 눈으로 본다거나 귀로 듣는다면 이는 소리와 빛을 좇아 사물에게 부림을 당하는 것이어서 순류(順流)라고 부릅니다. 만약 밝고 또렷하게 빛나는 한 생각이 '나지도 않고 없어지지도 않음' 가운데서 소리와 빛을 좇지 아니하면 이를 역류(逆流)라 하며, 화두를 비춘다고도 하고, 돌이켜 자성을 듣는다고도 하는 것입니다.
5) 생사심(生死心)과 장원심(長遠心)
생사심이 간절하지 않으면 의정(疑情)이 일어나지 않으며 공부가 제대로 향상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장원심이 없으면 마치 하루 볕을 쬐고 열흘 추운 것과 같아서 공부가 조금도 이루어지지 않습니다. 반드시 장원하고도 간절한 마음이 있어야 진정한 의심이 일어나는데, 진정한 의심이 일어날 때에는 번뇌를 쉬려 하지 않아도 저절로 쉬게 됩니다. 그러다가 시절이 한 번 이르면 자연히 물이 흐르는 곳에 도랑은 생기게되는 법입니다.
제가 제 눈으로 직접 목격한 사실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청나라 경자(庚子, 1900)년에 8국의 연합군이 북경에 쳐들어왔습니다. 그 때 저는 광서(光西) 황제, 자희(慈禧) 태후 일행과 함께 피난을 갔는데, 중간에 사정이 생겨서 도보로 섬서 방면으로 도망치게 되었습니다.
날마다 수십 리씩을 도망갔는데, 며칠 동안 밥조차 먹지 못했습니다. 어느 날, 노상에서 한 노인이 고구마 줄기를 쪄서 광서 황제에게 올렸습니다. 황제는 다 먹고 나서 그 노인에게 "이것이 뭔데, 이렇게 맛이 있는가?" 하고 물었습니다. 그 때 저는 이렇게 생각했습니다.
'황제는 평소에 상당히 거드름을 피우고 대단한 위풍을 보이며 살았지만, 어찌 일찍이 멀리 걸어 보았겠으며, 어찌 일찍이 반 끼나마 배를 곯아 보았을 것이며, 어찌 일찍이 고구마 줄기 따위를 자셔 보았을 것인가? 그러나 지금은 거드름도 피우지 못하고 위풍도 과시하지 못하며, 길에서는 뛸 수도 있었고 배고 곯을 수 있었으며 채근도 먹을 수 있었다.
어째서 그가 이처럼 체면 불고하고 행동할 수 있었을까? 연합군이 그를 죽이려고 하니 그는 살겠다는 일념으로 도망칠 생각만 한 것이 아닌가?'고.
그러나 뒤에 강화 협상이 이루어져 어가가 다시 북경으로 돌아가게 되자 거드름도 피우게 되었고, 위풍도 과시하게 되었으며, 길에서 뛰지 않아도 되었고, 배를 곯지 않아도 되어, 조금이라도 맛없는 음식을 먹으면 목구멍으로 넘어가지 않게 되었습니다.
어째서 그가 이 때에는 맛없는 음식이 목구멍으로 안 넘어가게 되었습니까? 연합군이 그를 죽이려고 하지 않으므로 그는 살기 위해 도망칠 생각이 없어졌기 때문 아니겠습니까? 만약 그가 항상 도망칠 때의 마음가짐을 가지고 일을 해 나간다면 안 되는 일이 없었을 것입니다. 그러나 애석하게도 그런 장원심이 없었기 때문에, 순경(順境)을 만나자 예전의 태도가 다시 싹트게 된 것입니다.
여러분은 동참하고 있습니까? 무상살귀(無常殺鬼)가 바로 이 순간에도 우리의 목숨을 노리고 있으며, 더구나 저들은 아주 우리와 협상이라는 것은 하려고 하지도 않습니다. 흔쾌히 장원하고도 간절한 마음을 내어 생사를 요달하여 해탈해야 합니다.
고봉원묘(高峯原妙) 선사가 말씀하시기를 "참선을 함에 있어서 기한을 정해 놓고 공부를 이루려고 한다면, 마치 천 길 우물 밑에 떨어진 것과 같이 하여, 아침부터 저녁까지 천 생각 만 생각이 오직 벗어나려는 마음뿐이어야 하며, 구경에 이르기까지 결코 두 생각이 없어야 한다. 참으로 이렇게 애써서 3일, 5일, 혹은 7일에 사무치지 못한다면 내가 오늘 큰 거짓말을 한 것이니, 길이 발설지옥에 떨어지리라"하였습니다.
저 어르신이 한결같이 자비심이 간절하여 우리가 장원하고도 간절한 마음을 일으키지 않을까 염려하여 이렇게 다짐을 거듭하고 우리를 위해 보증하신 것입니다.
'話頭·參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봉명본-참선의 공덕 (0) | 2007.05.09 |
---|---|
고봉원묘-참선 수행의 요체 (0) | 2007.05.09 |
참선요지 (0) | 2007.03.07 |
화두와 참선 (0) | 2007.02.28 |
참선하는 법 (성철스님) (0) | 2007.0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