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1. 올바른 정진의 태도는 어떤 것인가 ? 51. 올바른 정진의 태도는 어떤 것인가 ? 염송(念誦)에 이르기를, "대중들은 머리에 붙은 불을 끄듯이 부지런히 정진해야 한다"고 했다. 이것은 일종의 비유로써 이보다 더 적합한 것은 없다. 머리에 붙은 불을 그대로 둔 채로는, 매우 굶주린 상태에서 음식을 만나더라도 그 불을 끄지 않고는 먹을 겨를.. 동어서화(東語西話) 2008.02.27
50. 출가자도 편안함을 누릴 수 있는가 ? 50. 출가자도 편안함을 누릴 수 있는가 ? 유가(儒家)의 경전에서 이르기를, "하늘이 장차 사람에게 큰 책임을 맡기고자 하면 반드시 그 사람의 심지(心圍)를 먼저 괴롭히고, 그 육신을 고통스럽게 하며, 그 몸뚱이를 주리게 한다" 고 하였다. 그러니 위없는 큰 깨달음에 대해서는 말로 표현해서 무엇 하겠.. 동어서화(東語西話) 2008.02.27
49. 구도의 자세는 무엇인가 ? 49. 구도의 자세는 무엇인가 ? 세상의 풍속을 보면 고용된 노비는 주인의 지배를 받으면서 전신이 피로하고 죽겠어도 감히 게으름을 피우지 못한다. 조금이라도 잘못하거나 꾀를 부리면 주인은 노하여 욕지거리를 하며 채찍질을 한다. 그래도 노비는 조금도 이것을 싫어하지 않고, 주인 곁을 떠나려 하.. 동어서화(東語西話) 2008.02.27
48. 방편에는 해로움이 없는가 ? 48. 방편에는 해로움이 없는가 ? 한 가지 일이 앞서 적중하면 한 법이 뒤따라 풀리는 것이 천하고금의 수행법이다. 이는 마치 앉거나 누우면 피로가 풀리고, 음식을 먹으면 배고픔이 사라지는 이치와 같다. 즉 앞서 적중했던 것은 피곤과 배고픔이며, 뒤따라 풀리는 것은 앉고 눕는 것과 음식이다. 그러.. 동어서화(東語西話) 2008.02.27
47. 어떻게 시비를 벗어날 수 있는가 ? 47. 어떻게 시비를 벗어날 수 있는가 ? 3조 승찬스님은 말하기를, "시비가 분연히 일어나기만 하면 곧바로 마음을 잃어버린다." 고 했고, 또 "생사가 범부이고 열반이 바로 성인이다." 고 했다. 그러자 세상에는 범부는 부정하고 성인을 긍정하는 견해가 온 세상에 꽉 퍼져서 피할 곳이 없?되었다. 그대는 .. 동어서화(東語西話) 2008.02.27
46. 지난날의 업을 어떻게 관찰해야 하는가 ? 46. 지난날의 업을 어떻게 관찰해야 하는가 ? 도인의 일상생활에 나타나는 경계는 모두 지난 날의 업(業)이고 허깨비의 변화로써 끊임 없지만, 그렇다고 순진일여(純眞一如)와도 조금도 다름이 없다. 이와 같이 관찰하는 자라면 영욕을 떨쳐버리고, 갖가지 인연이 얽혀서 시끄러운 곳에서도 모든 시비.. 동어서화(東語西話) 2008.02.27
45. 조사의 화두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합니까 ? 45. 조사의 화두는 어떻게 받아들여야 합니까 ? 마삼근(麻三斤)·간시궐(幹 )·수미산(須邇山)· 백수자(栢樹子) 등등의 화두는 마치 태아(太阿)지방에서 생산되는 보검과 같아, 슬쩍 스치기만 해도 만 겁의 생사가 그 자리에서 끊어져버린다. 그러나 그 작용하는 처소를 찾으려 하면 시방세계가 다하도.. 동어서화(東語西話) 2008.02.27
44. 시절인연 때문에 깨닫기 어려운가 ? 44. 시절인연 때문에 깨닫기 어려운가 ? 소림사의 달마스님은 "마음이 철벽 같아야만 도에 들어갈 수 있다" 고 하였고, 6조 혜능스님은 "그대가 선과 악을 모두 생각하지 않으면 자연히 마음의 본체에 들어가리라" 고 했고, 덕산(德山;782∼863)스님은 "그대는 마음에 아무것도 일삼지 말라. 마음에 일삼음.. 동어서화(東語西話) 2008.02.27
43. 옛 사람의 말에 따라도 되는가 ? 43. 옛 사람의 말에 따라도 되는가 ? 큰 불무더기에도 들어갔다가 나올 수 있고 칼 끝도 오히려 밟을 수 있지만, 이 한소식[一著子]에는 사념(思念)을 내는 순간 벌써 십만팔천리 멀어져버린다. 더구나 알음알이를 홀연히 일으키고 사량불별을 가만히 흥기하는 것에 대해서는 말할 필요도 없다. 불가사.. 동어서화(東語西話) 2008.02.27
42. 도는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 42. 도는 어디서 찾을 수 있는가 ? 이 도는 아주 간결하고도 가깝다. 그러나 그대가 만약 마음을 일으키고 사념을 움직여 이 간결하고도 가까운 도를 찾으려 하면 벌써 도와는 멀어지고, 간결하지도 가깝지도 않게 된다. 게다가 언어·문자로 이리저리 따지고 헤아리며 알음알이로 취사(取舍)하면 도는 .. 동어서화(東語西話) 2008.02.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