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자의 인과(因果)와 청빈(淸貧) 수행자의 인과(因果)와 청빈(淸貧) 인터넷 불교대학/ 혜거 세락후고(世樂後苦) 하탐착재(何貪着哉) 일인장락(一忍長樂) 하불수재(何不修哉) 도인탐(道人貪) 시행자(是行者) 수치(羞恥) 출가부(出家富) 시군자(是君子) 소소(所笑) “세상의 즐거움은 뒤에 고통이 따르는데 어찌하여 탐착하는가, 한번 참..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007.12.07
수행자의 분발(分發) 수행자의 분발(分發) 인터넷 불교대학/ 혜거 사대홀산(四大忽散) 불보구주(不保久住) 금일석의(今日夕矣) 파행조재(頗行朝哉) “사대(四大)가 홀연히 흩어지면 영원히 머무는 것을 보존할 수 없나니, 오늘인 듯하면 저녁이 아침부터 서둘러 행해야 할 것이다.” 사대는 지수화풍, 이 몸뚱어리죠. 이 몸..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007.12.07
수행자의 금욕(禁慾) 수행자의 금욕(禁慾) 인터넷 불교대학/ 혜거 행자심정(行者心淨) 제천공찬(諸天共讚) 도인연색(道人戀色) 선신사리(善神捨離) “수행자가 마음이 깨끗하면 모든 천신들이 칭찬하고, 도인이 여자를 사모하면 착한 신들이 버리고 떠날 것이다.” 탄허 스님께서는 늘 팔부신장이 당신을 옹호한 지 오래됐..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007.12.07
수행자의 자세 수행자의 자세 인터넷 불교대학/ 혜거 망용상덕(望龍象德) 능인장고(能忍長苦) “용상의 큰 덕(龍象德)을 가지기 바라거든 기나긴 고통을 능히 참아야 하며” 우리에게 정말로 원이 있다면 용상의 덕을 원하라는 거죠. 부처님의 덕망. 속가에선 임금이 용상에 앉잖아요. 세속에서 최고의 자리가 용상..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007.12.07
수행자의 지계(持戒) 수행자의 지계(持戒) 인터넷 불교대학/ 혜거 인오미충(人惡尾蟲) 불변정예(不辨淨穢) 성증사문(聖憎沙門) 불변정예(不辨淨穢) “사람들이 미충은 더럽고 깨끗한 것을 가리지 못함을 싫어하듯이 성현께서는 사문(沙門)들이 깨끗하고 더러운 것을 못 가리는 것을 싫어한다.” 원효 스님은 비유를 들었습..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007.12.07
수행자의 염불(念佛) 수행자의 염불(念佛) 인터넷 불교대학/ 혜거 득죽축원(得粥祝願) 불해기의(不解其意) 역불단월(亦不檀越) 응수치호(應羞恥乎) 득식창패(得食唱唄) 부달기취(不達其趣) 역불현성(亦不賢聖) 응참괴호(應?愧乎) “죽을 얻고서 축원하면서도 그 뜻을 이해하지 못하면 그 역시 단월에게 수치스러운 일이 아..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007.12.07
수행자가 머물 곳(處行) 수행자가 머물 곳(處行) 인터넷 불교대학/ 혜거 수유재지(雖有才智) 거읍가자(居邑家者) 제불시인(諸佛是人) 생비우심(生悲憂心) 설무도행(設無道行) 주산실자(住山室者) 중성시인(衆聖是人) 생환희심(生歡喜心) “비록 재주와 지혜가 있지만 수행자가 마을에 나와서 살면 모든 부처님이 그 사람으로 ..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007.12.07
인연(因緣)에 따른 수행 인연(因緣)에 따른 수행 인터넷 불교대학/ 혜거 인수불욕귀산수도(人誰不欲歸山修道) 이위부진(而爲不進) 애욕소전(愛欲所纏) 연이불귀산수수심(然而不歸山藪修心) 수자신력(隨自身力) 불사선행(不捨善行) “사람 가운데 그 어느 누가 산에 가서 수도하고 싶지 않은 사람이 있겠냐만은 그러지 못하는..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007.12.07
천당과 지옥에 가는 者 천당과 지옥에 가는 者 인터넷 불교대학/ 혜거 무방천당(無防天堂) 소왕지자(小往至者) 삼독번뇌(三毒煩惱) 위자가재(爲自家財) 무유악도(無誘惡道) 다왕입자(多往入者) 사사오욕(四蛇五欲) 위망심보(爲妄心寶) “천당으로 향한 문은 막힘이 없는데도 이르는 사람이 적은 까닭은 탐진치 번뇌로 자기 ..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007.12.07
부처와 중생의 차이 부처와 중생의 차이 인터넷 불교대학/ 혜거 부제불제불(夫諸佛諸佛) 장엄적멸궁(莊嚴寂滅宮) 어다겁해(於多劫海) 사욕고행(捨欲苦行) 중생중생(衆生衆生) 윤회화택문(輪廻火宅門) 어무량세(於無量世) 탐욕불사(貪慾不捨) 한문에서 지아비부(夫)자가 처음 나오면 발어사입니다. 말을 시작할 때 한마디.. 발심수행장(發心修行章) 2007.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