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스님

4.본성(本性)과 현상(現相) - 1)십법계(十法界)

通達無我法者 2007. 4. 4. 11:45

청화큰스님 법어집/정통선의 향훈 

 


                              십법계(十法界)

 


   진리에 어두운 무명중생(無明衆生)과 진리를 깨달은 성자(聖者)와의 차

이를 어떻게 보는가?

   불교에서는 성상체용(性相體用)이라, 이렇게 말씀합니다. 우리 인간의 안

목으로 볼 수 있는 현상계는 상()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우리 중생이 볼

수 없는, 성자만이 볼 수 있는 본체계(本體界)는 성()에 해당합니다. 범부

는 현상만 보고 본체인 성은 못 봅니다. 그러나 성자는 현상과 본체인 성을

한번에 다 아울러 보는 것입니다. 따라서 그것이 소위 말하는 깨달음 입니

다.

   또는 체용(體用)이라, 체(), 용()도 역시 성(), 상()의 다른말에 지

나지 않습니다. 체()는 본성에 해당하고 용()은 현상적인 활동에 해당 합

니다.

   우리가 공부하는 것은, 우리 눈에 보이는 현상계적인 미혹(迷惑)을 떠나

서 참다운 본성계(本性界)를 깨닫는 데에 수행하는 목적이 있는 것입니다.

   비록, 그 사람이 제아무리 지위가 높고 학문이 깊다 하더라도, 현상계만

아는 것 가지고 따지면은 역시 범부의 무명을 면치 못합니다. 따라서, 그 사

람은 역시 무명중생에 불과합니다. 비록 학문적으로는 그 사람이 전혀 불학

무식(不學無識)해서 아무 것도 모른다 하더라도 본성계(本性界)를 깨달으면

성자인 셈입니다.

   우리가 아는 바와 같이 6조(六祖) 혜능(慧能) 스님은 일자무식(一字無識)

이라고 합니다. 그 분이 출가 입산해서 머리도 안깎고 5조(五祖) 홍인(弘忍

602∼675)대사 밑에서 공부를 했다 하더라도 학문적인 공부는 안하고 그냥

방아만 찧었습니다. 몇 백명 대중이 먹는 식량의 방아를 혼자 찧으니 힘에

겨웠겠지요. 방아가 하도 무거우니까 자기 허리에 큰돌을 짊어지고 방아를

찧었습니다. 그렇게 8개월 동안이나 매일 방아만 찧었지만 마음을 닦았으

니까 척 깨달아서, 5조 홍인 대사 밑에서 몇 십년 공부하던 신수(神秀 ?

∼706)대사보다도 먼저 5조 홍인대사의 법을 받았던 것입니다. 그리고 그

뒤에도 머리 깎고 중이 된 것이 아니라 그냥 머리가 긴 채로, 그때 나이 스

물넷인데, 사냥꾼을 따라다니면서 밥도 해주고 사냥꾼들 시중을 16년간이

나 들었지만 고기는 안 먹었다는 것입니다. 그렇게 해서 39세 때에야 비로

소 인종(印宗)법사란 분을 찾아가 계()를 받고 삭발하고 승려가 되었던 것

입니다. 그러나 뒤늦게 인종법사에게 계를 받았지만 이제 혜능 스님은 도인

(道人)이니까 스승이 되고 계사(戒師)는 제자가 된 것입니다.

   그렇게, 6조 혜능 스님의 예를 본다고 할 때에, 진리라 하는 것은 머리가

있고 없고에 상관이 없습니다. 오직 문제는 본성(本性)을 깨닫는가 못 깨닫

는가에 차이가 있을 뿐입니다.

   본성(本性)이 무엇인가, 하는 것을 보다 더 설명하기 위해서 부처님 법문

에 십법계(十法界)라는 것을 제시하는 것입니다.

   우리들은 '인간은 만물(萬物)의 영장(靈長)이라' 고 말합니다. 허나 실은,

사람밖에 모르는 그런 인본주의적(人本主義的)인 견지에서는 만물의 영장이

될려는가 몰라도 사람보다 더 높은 층계가 많이 있는 것입니다. 인간은 그러

한 섣부른 망상(妄想)을 버려야 합니다. 그것은 한 가지 아만심(我慢心)입니

다. 인간이란 인간의 마음이, 의식(意識)이 발달되어 가는 어느 어정쩡한 한

과정에 불과합니다.

   사람의 몸이란 잠시간 이루어졌다 꺼지는 하나의 물거품이나 구름에 불

과한 것이요, 몇 십년 지나가면 그와 똑같은 모양은 어디에도 없는데, 보통

은 그러한 허깨비같은 모양만 집착하고서 거기에다 충실을 기하는 것입니

다.

   소중한 것은 우리 마음뿐이고 의식뿐인데 마음은 소홀히 하고 모양에 다

만 집착을 합니다. 모양 때문에 이루어진 문화가 소위 물질문명이 되겠지만,

우리는 그러한 것을 떠나서 참다운 주인공(主人公) 곧, 주인공은 우리 마음

이고 의식이니까, 그 주인공에 대해서 얼마나 깊이가 있는가, 얼마나 신비로

운가, 하는 것을 공부하는 것이 불교의 공부가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