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비스님 서장 대강좌 제 1-4 강
조칙으로 쌍경사에 머물게 되었는데 하루는 윈오의 訃音(부음)이 왔다. 은사 스님이 돌아가셨다는 부고가 왔다는 말입니다. 선사는 스스로 제문을 지어 제사를 지내고 그렇지요. 꼭 거기까지 안 가도 스승이 돌아가셨다면 스스로 자기 있는 자리에서 제사를 지내는 겁니다. 小參法門(소참법문)이지요. 저녁에 법문을 하는데, 자기도 한 회상을 가지고 있고, 또 제자들도 많은데 자기 법사 스님이 열반 하셨다는데 한 마디 없을 수가 없지요.
불교는 이 生死解脫(생사해탈)의 문제가 제일 과제입니다. 생사해탈이 제일 과제라고요. 깨달음도 생사해탈을 위한 깨달음이거든요. 깨달음과 생사해탈은 같은 겁니다. 그래서 一大事因緣(일대사인연) 이 일. 그냥 이 일이라고 그래요. 이 일하면 깨달음. 생사해탈. 이 문제가 다 포함 되어요. 그래서 여기서 이 중요한 문제를 이 기회에 말 아니할 수가 없습니다. 이것 정말 양지해서 들으시기 바래요. 어떤 스님이 장사 스님이라는 분이 있었어요. 장사 스님에게 묻되 ‘남전 스님이 돌아가심에 남전 스님도 훌륭한 스님입니다. 개인 인적사항은 여러분들이 알아서 공부하시고... 어디를 향하여 갔습니까?’ 중요한 문제지요.
남전 스님 가신 것은 놔두고 석가모니 부처님은 어디를 향하여 갔습니까? 경전에 혹시 나와 있는 이야기 없어요? 우리의 제일조사 석가모니 부처님은 돌아가서 어디를 향해 갔는가? 이것을 누가 대답하는 사람이 없어요. 장사가 대답하기를 여기 대답이 나옵니다. ‘동쪽 마을에서 노새가 되고 서쪽 마을에서 말이 되었다.’고 했다. 이것은 도 잘 닦은 사람이 그냥 보통 사람으로 태어난 것도 아니고, 축생이 되었다는 말입니다. 축생이 되었다는 표현이지요. 그 스님이 묻기를 ‘그 뜻이 뭡니까?’ 하니까 장사 스님이 대답하기를 축생이 되었으니까 ‘타고 싶으면 타고 내리고 싶으면 내린다’고 하였다. 축생은 그렇지요. 타고 싶으면 타고, 내리고 싶으면 내리고... 축생의 삶이란 그런 거예요.
그 다음에 한꺼번에 묶어서 이야기합시다. 이것은 죽음과 삶의 문제입니다. 아주 중요한 문제를 행장에서 짚고 있어요. 네 가지 인데... 경산 같으면 곧 그렇지 않겠다. 경산은 대혜 스님 자신이죠. 만약 어떤 스님이 묻되 자기 법사스님. ‘원오 선사가돌아가심에 어느 곳을 향하여 갔는가?’ 사찰에서는 이런 식이 관례입니다. 누가 죽으면 그 죽음의 근본을 들춰서 제대로 알든 모르든 관계없이 이야기를 합니다. 거기서 한수 더 뜹니다.
‘아비지옥을 향하여 갔다.’ 자기 법사스님이 아비지옥을 향하여 갔다고 말합니다. 법제자가 그렇게 말합니다. ‘그 뜻이 무엇입니까?’ 라고 물으면 아비지옥에 갔으니까 ‘배고프면 구리를 먹고 목마르면 쇳물을 마신다.’고 하겠다. 지옥 생활이 그거니까요. 지옥에는 쌀로 밥하는 것 필요 없어요. 그것이 안 통해요. 지옥에서는 이것이 밥입니다. 끓는 구리물. 끓는 쇳물이 식사라고요. 당연지사입니다. 너무 평범한 일이라고요. 또 저 앞에서 축생이 됐다. 소나 말이 되었을 때 타게 되면 타고, 짐을 싣게 되면 싣고, 그냥 가게 되면 그냥 가는 이것이 보통 축생의 삶입니다. 축생의 당연짓입니다. 하나도 이상할 것이 없어요. 똑 같습니다.
‘도리어 구원할 사람이 있습니까? 없습니까?’ 대답하기를 ‘구원할 사람이 없다.’ 고 하겠다. ‘왜 그렇습니까?’ ‘이것이 이 늙은이(원오 스님)의 일상에 차 마시고 밥 먹는 일이다.’하겠다.
이것이요. 상당히 의미심장하고 우리 불자가 이 생사문제에 대해서 우리가 이런데서 견해를 확실하게 세울 필요가 있습니다. 제가 그 전에 어느 사찰에서 신도회장님이 불교에 대해서 상당히 관심이 참 많아요. 그런데 보통 상식적으로 알고 있는 질문을 하더라고요. 어떤 큰스님, 어떤 큰스님. 그때 큰스님들이 돌아가시는 것을 많이 봤어요. 그 스님이 돌아가신지가 벌써 몇 십 년이 되었는데, 우리가 알고 있는 바로는 죽어서 다시 태어나서 교화를 한다느니 어쩌느니 그렇게 하는데 그 스님 지금 어디서 태어났느냐? 과거에 수많은 도인들이 지금 한 차례라도 그 사람이 죽어서 태어나서 지금 이렇게 이렇게 내가 교화를 하노라는 사람이 있느냐? 고 묻더라고요.
지금도 대답을 못하고 있습니다. 전생소급 하는 최면술 걸어서 비정상적인 그런 식으로 우리가 견강부회해서 이해하려는 것이 아니고, 지극히 순리적으로 자연스럽게... 선의 7대 정신이 있었지요? 저절로 그러함이에요. 저절로 그러함이 선불교의 특징입니다. 그리고 위대함입니다. 죽어서 없으면 죽어서 없는 대로입니다. 죽어서 어디로 갔는지 무슨 인연으로 어디에 와서 어떻게 있는지 그것을 지금 알 바가 아닙니다. 글쎄 그것을 알면 우리 생활이 조금 달라질까요? 그것을 알아서 생활이 조금 달라지는 것 가지고는 크게 보탬이 안 돼요. 상당히 보탬이 될 것 같은데 그렇지 않아요.
축생이 되고 지옥에 갔으면 어쩌란 말입니까? 도인이 죽어서 축생이 되어 지옥에 갔다. 이대로 있는 액면대로 우리가 봅시다. 축생도 되고 지옥에 갈 수도 있지요. 가서 그렇게 살면 그냥 그 사람의 삶입니다. 축생이 되어서 살아도 그 사람의 삶입니다. 지금 우리는 사람이니까 사람 중심으로 생각해서 아이고 축생이 되면 되느냐고 그렇지요. 축생이 되어 보라고요. 얼마나 좋은지... 그대로 살만합니다. 사람의 기준으로 생각 하니까 그것이 이상하지요. 지옥도 살만합니다. 우리 입장에서 보니까 아주 고통스럽고 힘 드는 것 같지요. 기존의 지옥이라고 하는 관념은 우리들에게 우리를 선도하기 위해서, 경각심을 주기 위해서 별의별 방편의 말이 많지만...
사실은 모든 생명의 근원적인 입장에서 가차 없이 표현 한다면, 지옥의 삶도 그 나름의 삶이요. 축생의 삶도 그 나름의 삶이요. 성인의 삶도 그 나름의 삶입니다. 모든 사람이 다 석가모니 같이 되어야 되는 것도 아니고, 될 필요도 없고 되지도 않고요. 各者(각자)의 그 사람의 모습 을 아는 것이 성불이라고요. 모두가 여기 올라와서 저처럼 강의를 한다면 어떻게 되겠습니까? 그런 이치는 있을 수가 없잖아요? 그냥 여기 앉아서 이런 이야기를 하는 소임을 받았으니 이 소임 다 하는 것이고, 여러분들은 앉아서 들으면 듣는 역할 다 하는 것입니다. 그것으로 완전무결 하지요. 완전무결합니다.
제가 어느 날, 저 혼자라고 생각 하니까 세상 편하더만... 아파도 이 세상 모든 것이 아픈 것이다. 비교 않으니까... 건강할 때도 비교 안하고, 다른 사람들 건강한 사람들 비교 안하고 전부 다 놓아 버리니까요. 놓아 버리면 놓아져요. 전부 다 놓아 버리니까 아주 그렇게 편할 수가 없어요. 그냥 나 혼자. 나 혼자라고 하는 사실. 진짜 혼자는 외롭지 않습니다. 외롭다고 하는 것은 상대적으로 생각했을 때, 혼자라서 외롭다고 하는 것이지 진짜 완전히 혼자. 절대적인 경지에 들어가면 외롭고 그런 것 없어요. 말을 하자니 편하다고 그러지, 편한 것도 아니지요. 안 편한 것은 더욱 아니고요. 그렇습니다. 그러니까 이것이 참 민감한 문제이고, 상당히 중요한 문제이고...
우리가 불교를 접하면서 죽어서 어디로 가느냐? 그것이 상당히 중요한 문제니까 물었을 것 아닙니까? 과거부터 이것이 중요한 문제입니다. 석가모니 부처님이 오는 데로 갔다고 어느 분이 말씀하셨는데 그 온데가 어디냐 하는 것이 문제지요. 전설에 의하면 도솔천 내원궁이라고 그랬지요? 그것은 전설의 이야기고요. 온데로 갔다는 말은 정답은 정답입니다. 그렇지만 모르겠어요. 어디로 가도 상관없어요. 어디로 가도 아무 상관없습니다. 대단히 위험천만한 이야기면서 중요한 이야기이고, 여기 있는 대로는 그대로 이야기입니다. 절대 달리 설명 아니 해요. 그것이 세 번째 문제이고, 그 다음에 귀양살이를 상당히 했어요.
제가 대혜 스님께 부러운 점이 부처님 신도보다도 당시의 지성인들. 정말 최고의 지성인들을 거의 망라해서 대혜 스님 신도가 됐다. 그러다 보니까 정치인들 하고도 휩쓸리게 되고, 그러다 보니까 15년 동안 귀양살이도 했던 이야기가 쭉 있습니다. 15년 동안 귀양살이를 하고나서 돌아왔습니다. 효종원년에 명월당에 있었는데, 하루 저녁에는 대중이 별 하나가 절 서쪽으로 떨어지는데, 그 흐르는 빛이 밝은 것을 보았다. 대혜 스님이 微疾(미질)을 보이다가 8월 9일에 대중에게 일러 말하기를 “내가 내일 갈 것이다.” 하더니, 이날 저녁 五鼓(오고)에 손수 임금께 드리는 글을 쓰고 아울러 대중에게 뒷일을 부탁하였다.
이것 보세요. 당신이 돌아가시며 임금께 글을 써야할 정도로 사회적인 비중이 높았던 분입니다. 그 당시의 사대부들. 최고의 지성들과 교류를 할 수 있었고 그 들을 가르치고 교화 했다고 하는 것 참 누구도 이런 스님은 없었어요. 신수 스님 같은 이가 다섯 명의 천자의 존경을 받았어요. 王師(왕사) 같이 모셨어요. 그런 존경을 받았어도 대혜 스님 같은 이런 신도는 없었어요. 대혜 스님은 대단한 분입니다.
요현 스님이 게송을 청하니 선사가 크게 써서 말씀하시기를 이것은 열반송의 문제입니다. 행장에서 네 가지 문제를 제가 짚었는데 마지막으로 열반송의 문제입니다. 세상에 이런 명 열반송이 없습니다. 生也祇麽(생야지마)며 死也祇麽(사야지마)어늘 有偈無偈(유게무게) 是甚麽熱(시삼마열)고. 사는 것도 그저 그렇고 죽는 것도 그저 그렇다. 게송이 있든 없든 뭘 그리 마음 쓰는가?
熱자는 마음 쓰는걸 말하는 겁니다. 안달 하는 것. 요현이라는 스님이 “아이 스님, 우리 체면도 있지 열반송(임종게) 하나 남기고 돌아가십시오. 그래야 장례식 할 때 써 붙일 것 아닙니까?” 이것이 그 때도 있었는데 지금도 계속 있네요. 지금도... 없으면 조작빼기로 지어서라도 붙여놔요또...
열반송이다 해서 그거 짓느라고 어떤 장례식에 가면 저 보고 지어 달라고 생혼이 나는 수도 있고 그래요.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이때에 8백 몇 십 년 전에 요현 스님이라는 이가 다 죽어가는 스님보고 게송하나 써 내라고, 써 내라고 이러고 있는 겁니다. 대혜 스님 통장이라도 많이 가지고 있었던가?... 통장이라도 가지고 있었고, 밭문서 집문서라도 가지고 있었던가 뭘 그리 얻어 내려고 졸라요? 그 쯤 되면 삶이라는 것도 그저 그렇고, 祇麽라는 것이 그런 뜻입니다.
죽음 이라고 하는 것도 그저 그런 겁니다. 이 순간에 와서 삶이니 죽음이니 아무 문제없어요. 그런데 거기에 부속품. 그야말로 딸린 부속품 중에서도 눈에 띄지도 않는 부속품. 그 까짓 것 열반송 그것 하나. 게송이 있든 없든 뭘 그리 안달 하느냐? 내가 지금 숨을 거둘 판에... 뭘 그리 내 놔라고 하느냐? 참 근사 하지요? 참 멋집니다.
우리나라에 있었던 아주 재미있는 열반송 하나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아무 말이 없어”라는 열반송이 있어요. 그것이 왜 생겼느냐? 스님이 돌아가신 겁니다. 상좌들이 여럿이 모였어요. 가장 가까운 상좌 보고, 네가 열반송 하나 얻어 내라, 얻어 내라고 옆에서 자꾸 조르니까 지키고 있어요. 뭐 나오기를 기다리며 지키고 있는데, 거의 돌아가실 무렵입니다. 옆에 다른 제자들이 물었어요. “야 뭐라고 했느냐?”하니까 “아무 말이 없어” 그러니까 그 다음 사람이 얼른 외워서 스님 열반송이 “아무 말이 없어” 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하~~~ 근사하지요? 그런 열반송도 있습니다. 게송 써내라니까 지금 죽기 바쁜데 언제 말할 겨를이 있나요? 그래 아무 말이 없거든요. “아무 말이 없어”이러니까 “아무 말이 없어”라고 했는줄 알고는 “아무 말이 없어”라고 했다고... 열반송의 문제 재미있지요? 우리 집안에 아주 특유한 풍속이면서도 재미있고, 또 좋은 일입니다.
저는 아까 죽었다가 살았다고 했으니까 저도 열반송이 있어요. 제가 이것을 보다가 문득 하나 지었어요. 아예 오늘 공개 해 버리지요. 죽는 거야 언제 죽든지 그 까짓것 상관있나요? 육신이라는 장난감. 그 동안 잘 가지고 놀았다. 이제 버리고 간다. 시자야 그만 갖다 태워라. 이것이 저의 열반송입니다. 괜찮지요? 이거요. 죽을 고비 안 넘기면 이런 말 못해요. 나중에 진짜 죽을 때는 제가 정신이 없어서 못 쓰니까하하하하하하하하~~~ 못 쓰니까 지금 미리 이렇게 공개적으로 알려 놨으니까 저의 열반송을 못 찾아서 애 먹지는 않겠지요.
이렇게 하고 75세 법랍 58년에 돌아가셨지요. 임금이 애도를 그치지 아니하였다. 시호를 내리기를 普覺(보각)이라 하고 탑명은 普光(보광)이라고 하였다.
이 스님의 어록이 80권인데 대장경 속에 들어가요. 대장경 속에 들어가서 세상에 유행하게 됐고, 이 서장은 워낙 우리 공부 지침서로 뛰어나기 때문에 살아생전에 출간이 됐고, 당나라를 거쳐서 송나라 때니까 교류가 빈번한 때 이므로 지금부터 불과 8백 4~50년 된 때이니까요.
바로 우리나라에 도입이 되어서, 보조 스님께서 이것을 스승으로 또는 벗으로 삼고, 정혜결사를 하면서 제자들에게 가르쳐서 오늘 이 순간 까지 최고의 선불교! 선불교 지침서의 원조로 이렇게 인기가 높고, 우리는 반드시 이것을 통해서 선불교의 바른 길을 가야된다고 생각하고, 인재개발원에서 이런 것을 아주 시기적절하게 교재로 선택 했습니다.
- 1강 끝 - |
'서장(書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장/대강좌7/무비스님 (0) | 2007.09.12 |
---|---|
서장/대강좌6/무비스님 (0) | 2007.09.12 |
서장/대강좌4/무비스님 (0) | 2007.09.12 |
서장/대강좌3/무비스님 (0) | 2007.09.12 |
서장/대강좌2/무비스님 (0) | 2007.09.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