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典/법화경(法華經)

묘법연화경 해제(妙法蓮華經 解題)

通達無我法者 2007. 12. 7. 17:51

묘법연화경 해제(妙法蓮華經 解題)

온릉 개원련사 비구 계환

참된 모습의 묘한 법 (實相妙法)을 미묘한 연꽃에 비유하니 안으로는 마음을 가르치고 밖으로는
모든 경계에 두루 통함이라.

꽃이 봉오리를 맺을 때 씨방이 함께 생기며 더러운 데 있어도 항상 맑고 깨끗하니
이는 연꽃의 참모습이요, 중생과 부처님에게도 본래 있으며 끊임없이 나고 죽는 여섯가지
바퀴돌이의 길에 빠져 버리더라도 변하지 아니하니 이는 마음의 참모습이요, 그 모양은 비어있으되
그 밑바탕은 매우 참되니 이것은 경계의 참된 모습이라.

마음과 경계의 삼라만 상을 모두 일컬어 법(法)이라 한다.
정교하거나 아름답고 거친 것이 한 진리이며, 범부와 성인이 한 근원이라.
세간의 모든 경계에 있어서 부딪치는 일마다 참되니 말로써 보이지 못하며 분별로 능히 알지
못하므로 묘(妙)라 하심이다. 미혹하여 끊임없이 나고 죽는 여섯가지 바퀴돌이의 길에 빠지게
되는것은 다 묘법이 모자랐기 때문이요, 모든 부처님께서 닦아 진리를 깨달아 아심도 다
묘법의 진리를 깨달으심이며, 법을 널리 펴시는 수 없는 방편이 다 묘법을 위하심이라.

다만 중생이 번뇌가 무거워 근기가 한 가지로 순수하지 못하므로 먼저 세가지 탈 것을 말씀하시어
방편으로 인도한다 하셨으니 진실이 아니며, 거칠고 오묘하지 않으나 모든 번뇌망상을 제거하고
난 뒤에는 마음을 서로 알고 �게 되어 이에 참모습의 도리를 보이시며, 탈 것을 모아 하나의
큰 탈 것(一乘)에 돌아가게 하니 묘할 뿐 추함이 없다. 모든 부처님은 능히 하실 일을 여기서
마치심이라. 그러나 묘법은 추한 것을 버리고 묘를 취하는 것이 아니라 추한데서 묘함을
나타내시며, 하나의 큰 탈 것은 세가지 탈 것을 떠나서 하나의 큰 탈 것을 설하시는 것이 아니라
세가지 탈 것을 모아 하나의 큰 탈 것에 돌아가게 하시니 연꽃이 맺을 때 연꽃의 열매가 함께 생기는 것과 같아서 법과 비유, 둘을 다 드리내며 이름과 참된 모습을 함께 나타냄으로 이름이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이라.

묘법을 깨달아 알 자는 반드시 근본 지혜로 몸을 삼고 묘행(妙行)으로 그 쓰임을 삼으라 지혜는
씨방에 비유하고 행은 꽃에 비유하니 지혜와 행이 둘 다 온전해야 그 묘법을 다함이라. 그러므로
경문의 빛이 동쪽에서 온 산하를 비추니 지혜와 경계가 온전히 나타났고 사법(四法: 身.口.意.行)을 성취하시니 행문(行門)이 다 갖추어진 것이다.

정종분(正宗分) 처음에 삼주(三周:法說周.譬喩說周.因緣說周)로 보이심은 모두 바탕(體)을
밝히심이요, 촉루품 뒤에 육품으로 펴 드러내심은 모두 쓰임(用)을 밝히심이니 중간의 방편은
지혜와 묘행을 두루 나투어 모양과 쓰임을 겸하여 참된 모습의 전체를 드러내시며 깨달음을
열어보이는(開悟) 진실한 법을 열거하시니 종지와 과덕을 성취하게 하지 않음이 없다.

그러므로 듣는자가 있으면 다 성불할 것이며 깨달으면 곧 수기를 얻으니 일마다 모양마다
묘법 아님이 없음이라. 묘법으로 수행하여 산과 물과 대지, 밝음과 어둠, 색과 공에 확대해 가면
물물(物物)이 등명불(燈明佛)의 슬기로운 몸(智體)요, 행한 즉 걸음걸이는 보현보살의 지음(行)이라,
곧바로 법에서 마음을 밝히고 다시 사물을 떠나서 묘를 관하지 아니한 즉 한 가지 큰 인연이
이 한 제목에 다함이라.

연화경을 펴서 품을 나누어,

줄여서 이제 이 경의 목차를 분별하니 이십 팔품을 크게 셋으로 나누어
첫째는 서분(序分)이니 일품이며, 둘째는 정종분(正宗分)이니 십구품이요,
셋째는 유통분(流通分)이니 팔품이라. 정종분은 둘로 나누어 첫째는 삼주법으로 계시하신 열 품인
방편품으로부터 수학무학 인기품에 이르는 여덟 품은 삼주법을 설하사 삼근기를 수기하시고,
법사품으로부터 견보 탑품에 이르는 두 품은 널리 수기하시며 지난 일을 이해시키고
모든 부처님을 모으시어 모든 법을 두루 깨닫게(圓證) 하심이라. 둘쩨는 현묘권지(顯妙勸持)의
아홉 품은 제바달다품으로부터 안락행품에 이르며, 세 품은 공덕의 묘함을 나타냈으며,
종지용출품으로부터 여래수량품에 이르는 두 품은 본적(本迹)의 묘함을 나타냈으며,
분별공덕품으로부터 상불경보살품에 이르는 네 품은 받아 듣고 지님(聞持)의 묘함을 나타냄이니,

법을 전함으로 비롯되어 깨달음을 열어 보이고(開悟)이에 의지하여 널리 경전을 받아 가슴 깊이
새기어 종지를 잃지 않고 묘법을 원만히 이어지게 하심이라.
유통분인 여덟 품은 신력품으로부터 비롯하여(發起) 촉루품에 부수(付授)하고, 그 나머지 여섯 품은 온전히 법을 전함을 나타내시고 경계를 나타내시어 계합하고 상응하여 크게 쓰는(大用) 문이다.

처음의 서분은 정종(正宗)의 실마리(端緖)를 열어 주는 것이니 그 발단이 둘이라.
사람과 하늘의 대중이 모임으로부터 (무랑의경)을 마치시고 부처님께서 선정에 드시니
하늘이 네 가지의 꽃비를 내리는 지라, 여섯 번의 진동은 무명의 번뇌를 감추고, 한 줄기 밝은 빛은
지혜의 참모습을 나툼이니 이는 부처님께서 중생을 제도하려는 서원을 세워 바램을 일으키시는
것이다. 다음은 미륵보살이 지닌 의문을 문수보살이 풀어주시고 등명부처님의 본디 밝은 빛을
인증하면서 부처님의 상서로움을 증명함이니, 이는 대덕이 묘법을 전하면서 끊어지지 않게
도웁고자 함이라.

 

'經典 > 법화경(法華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제 1 장 서 품(序 品)(4)  (0) 2007.12.07
제 1 장 서 품(序 品)(3)  (0) 2007.12.07
제 1 장 서 품(序 品)(2)  (0) 2007.12.07
제 1 장 서 품(序 品)(1)  (0) 2007.12.07
법화경종요서(法華經宗要書)  (0) 2007.12.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