각원상인에게 보이심
참선은 모름지기 조사관을 꿰뚫어야 하는 것이요, 묘하게 깨치는 것은 마음길이 끊어져야 하나니, 조사관을 뚫지 못하고 마음길이 끊어지지 못하면 모 두 풀에 의지하고 나무에 붙은 도깨비일 따름이니라.
승(僧)이 조주께 묻되「개도 불성이 있습니까 없습니까?」하니, 조주가 이르되「무(無)」라 하니, 다못 이 무자(無字)는 종문(宗門) 중의 한 관문 (關門)이니 유심(有心)으로도 뚫을 수가 없고 무심(無心)으로도 뚫을 수가 없으리라.
똑똑하고 영리한 사람이 바로 뒤집어 조주를 옭아 잡거든 내게 화두를 도로 가져오라. 마약 털끝만큼이라도 있으면 문 밖에 있느니라.
각원상좌는 깨달았느냐, 못 깨달았느냐? 묘한 깨달음이 원만히 밝을진대 마땅히 조주는 이 무슨 면목인가를 알아야 하리라. 이 무자(無字)를 이른 뜻 은 무엇인고? 「꿈적거리는 것이 다 불성이 있다.」고 했는데 조주는 어째서「무(無)」라고 했는고? 필경에 이 무자의 뜻이 어디에 있는고?
본각(本覺)을 밝히지 못했으면 낱낱이 의심이 있으리니, 크게 의심하면 곧 깨달음이 있으리라. 문득 마음을 가져 깨달음을 기다리지 말며, 또 뜻으로써 깨달음을 구하지 말며 「유(有)다,무(無)」하는 알음알이를 짓지 말며,「비어 없다」는 알음알이를 짓지 말며,「쇠로 만든 비」라는 생각을 하지 말며, 「나귀 매는 말뚝」이라는 생각을 하지 말지니라.
의단으로 하여금 나날이 치성케 하야 이륙시중과 사위의내에 다만다만 이 무 자를 잡드려서 밀밀이 심광(心光)을 돌이켜 스스로 볼지니라. 보아 오 고 보 아 가며 의심해 오고 의심해 가서 도무지 자미(滋味)없는 때에 조금 자미 가 있으리니 문득 번뇌심을 내지 말지니라.
의심이 깊어지면 화두를 들지 아니해도 자연히 현전하리니, 문득 환희심을 내 지 말지니라. 잘 되든 안 되든 내버려 두고 바로 늙은 쥐가 관재(棺材) 를 쏠듯이 다만 무자를 거각하여 보아라.
만약 앉은 가운데 미묘한 정력(定力)도움을 얻거든 바로 잘 잡드릴지니, 다만 억지로 용을 쓰지 않는 것이 묘함이 되니라. 만약 용을 써서 화두를 들게되면 정(定)의 경계가 흩어지리라.
능히 마음을 잘 써서 홀연히 정(定)에 들게 될 때에는 정을 탐하야 화두를 잊지 말지니라. 만약 화두를 잊어버리면 공(空)에 떨어져서 묘하게 깨치지 못하리라. 정에서 일어날 때에도 또한 정력을 보호할지니, 움직이거나 가만히 있거나 한결같아서 혼침과 잡념이 다 끊어져도 또한 기쁜 마음을 내지 말지어다.
문득 「아!」한 소리에 조주의 관문을 투과(透過)하야 이르는 말마다 바로 맞아서 화살과 화살의 촉이 맞부딪치듯 하면, 조주의 사람에게 미움받은 곳을 감파(勘破)하야 법마다 원만히 통달하야 차별된 기연(機緣)을 낱낱이 밝게 요달할 것이니, 정히 반드시 깨달은 뒤에 생애를 구하여야 하리라.
만약 그렇지 못하면 어찌 법 그릇을 이루리오? 마땅히 옛 성인들의 본보기를 잘 살필지언정 결코 두찬(杜撰)을 말지니라. 알겠느냐?
'話頭·參禪'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참선수행입문] 참선수행의 입문 / 1. 깊이 인과를 믿으라 (0) | 2008.01.04 |
---|---|
[참선수행입문] 참선(參禪)의 개요(槪要) (0) | 2008.01.04 |
[선의지침서] 고원상인에게 보이심 (몽산화상) (0) | 2007.12.12 |
[간화선] 좌선법 (0) | 2007.12.10 |
[간화선] 간화선의 사회적 가치와 역할 (0) | 2007.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