經典/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증일아함경 제17권

通達無我法者 2008. 1. 26. 13:54
[432 / 1393] 쪽
  
증일아함경 제17권
  
  동진 계빈삼장 구담 승가제바 한역
  
25. 사제품(四諦品)
  [ 1 ]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마땅히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四聖諦]를 닦고 실천해야 한다. 어떤 것이 그 네 가지인가? 첫째는 괴로움에 대한 진리이니, 그 이치는 다할 수 없는 것이어서 생각으로도 다할 수 없고 말로도 다할 수 없다. 둘째는 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진리이니, 그 이치는 다할 수 없는 것이어서 말로는 이루 다할 수 없다. 셋째는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이니, 그 이치는 다할 수 없는 것이어서 생각으로도 다할 수 없고 말로도 다할 수 없다. 넷째는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진리이니, 그 이치는 다할 수 없어서 생각으로도 다할 수 없고 말로도 다할 수 없느니라.
  어떤 것이 괴로움의 진리인가? 이른바 괴로움에 대한 진리란, 나는 괴로움[生苦]·늙는 괴로움[老苦]·병듦의 괴로움[病苦]·죽는 괴로움[死苦]과·근심·슬픔·번민의 괴로움[憂悲惱苦]과 미워하는 이와 만나는 괴로움[怨憎會苦]·사랑하는 이와 이별하는 괴로움[恩愛別苦], 구하고자 하나 얻지 못하는 괴로움[求不得苦]이니, 통틀어 말하면 5음성고(陰盛苦)라고 한다. 이것을 괴로움에 대한 진리라고 하느니라.
  
[433 / 1393] 쪽
  어떤 것이 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진리인가? 이른바 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진리라는 것은 애정이 탐욕과 서로 호응하여 마음이 항상 더러워지고 집착하는 것이니, 이것을 괴로움의 발생에 대한 진리라고 하느니라.
  어떤 것이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인가? 이른바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라는 것은 저 애욕이 아주 다 없어져서 남은 것이 없고 다시는 새로 일어나지 않는 것이니, 이것을 괴로움의 소멸에 대한 진리라고 하느니라.
  어떤 것이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진리인가? 이른바 괴로움의 소멸에 이르는 길에 대한 진리라는 것은, 곧 현성의 8품도(品道)이니, 말하자면 바른 소견[正見]·바른 다스림[正治]·바른 말[正語]·바른 행[正行]·바른 생활[正命]·바른 방편[正方便]·바른 생각[正念]·바른 삼매[正三昧]이다. 이것을 일러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방법에 대한 진리라고 하느니라.
  비구들아, 이와 같이 이 네 가지 진리는 진실한 것이어서 허망하지 않으며, 세존께서 말씀하신 것이기 때문에 진리라고 한다. 모든 중생인, 두 발 달린 중생·세 발 달린 중생·네 발 달린 중생·욕계(欲界)·색계(色界)·무색계(無色界)·생각이 있기도 하고 없기도 한 세계의 온갖 중생들 중에서 여래(如來)가 최상(最上)이신 데, 그 분이 곧 이 네 가지 진리를 성취하셨기 때문에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라고 하느니라.
  비구들아, 이것을 일러 네 가지 성스러운 진리라고 말한다. 그러나 이것을 깨달아 알지 못하면 언제나 나고 죽음 속에 있으면서 다섯 갈래 세계[五道]를 윤전(輪轉)하게 된다. 이제 나는 이 네 가지 진리를 얻었기 때문에 이 언덕에서부터 저 언덕에 이르고 이 이치를 성취하여 나고 죽는 근본을 끊음으로 인하여, 다시는 후생에 몸을 받지 않는다는 것을 사실 그대로 알았느니라."
  그 때 세존께서 곧 이런 게송을 말씀하셨다.
  
  이제 이 네 가지 진리의 법을
  사실 그대로 알지 못하면
  나고 죽는 속에서 윤회하면서
  
[434 / 1393] 쪽
  끝내 거기에서 해탈하지 못한다.
  
  만일 이제 이 네 가지 진리를
  이미 밝게 깨달아 환히 알면
  나고 죽는 뿌리를 끊음으로써
  다시는 후생에 몸을 받지 않으리.
  
  "만일 사부대중들이 이 진리를 얻지 못하고 깨달아 알지 못하면 곧 다섯 갈래 세계에 떨어지게 될 것이다. 그런 까닭에 모든 비구들아, 마땅히 방편을 써서 이 네 가지 진리를 성취하도록 해야 한다.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 2 ]1)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러한 네 가지 법이 있어 사람들을 많이 유익하게 한다. 어떤 것이 그 네 가지인가? 첫 번째 법은 선지식(善知識)을 친근(親近)히 하는 것이요, 두 번째 법은 법을 듣는 것[聞法]이며, 세 번째 법은 법을 아는 것[知法]이요, 네 번째 법은 법마다 그 현상을 밝히는 것[法法相明]이다. 비구들아, 이것을 일러 '네 가지 법이 있어 사람들을 많이 유익하게 한다'고 하는 것이니라.
  그러므로 모든 비구들아, 마땅히 방편을 구해 이 네 가지 법을 성취하도록 해야 한다.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1) 이 소경과 비슷한 내용의 경으로는 『잡아함경』 제30권 843번째 소경인 「사리불경(舍利弗經)」과 『잡아함경』 제41권 1225번째 소경인 「수다원경(須陀洹經)」이 있다.
[435 / 1393] 쪽
  [ 3 ]2)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여래께서 세상에 출현하실 때에는 곧 일찍이 없었던 네 가지 법이 세상에 나타난다. 어떤 것이 그 네 가지인가?
  이 중생들은 대부분 집착이 많다. 만일 그것에 더러워지거나 집착하지 않는 법을 설명하면, 또한 그들은 그것을 받들어 가져 생각하고 수행하면서 마음이 거기에서 멀리 떠나지 않는다. 만약 여래께서 세상에 출현하실 때에는 일찍이 없었던 네 가지 법이 세상에 나타나나니, 이것을 일러 '첫 번째의 일찍이 없었던 법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것이니라.
  또 아난(阿難)아, 중생들은 윤회하여 머무르지 않고, 항상 다섯 갈래 세계에 머물고 있다. 만일 그들을 위해 법을 설명하면, 그들은 그것을 받들어 가져서 마음이 거기에서 멀리 떠나지 않는다. 만약 여래가 세상에 출현하실 때에는 이 두 번째의 일찍이 없었던 법이 세상에 나타나느니라.
  또 아난아, 이 중생들은 항상 교만함을 품어 마음에서 버리지 않는다. 혹 그들로 하여금 설법(說法)을 시키더라도 그들은 또 그것을 받들어 가져 마음이 거기에서 멀리 떠나지 않는다. 그러나 아난아, 이 중생들이 항상 교만함을 품어 잠깐도 버리지 않을 때, 만일 그들을 위해 설법하면 그들은 그것을 받들어 가진다. 이것을 일러 '세 번째의 일찍이 없었던 법이 세상에 나타난다'고 하는 것이니라.
  또 아난아, 이 중생들은 무명(無明)에 덮여있다. 만일 또 그들을 위해 유명(有明)의 법을 설명하면, 그 때 그들은 그것을 받들어 가져 잃어버리지 않는다. 그리고 또 아난아, 이 유명과 무명의 법을 설명할 때에는 그들은 마음이 부드러워져서 항상 기쁜 마음으로 수행(修行)한다. 아난아, 이것을 일러 '여래가 세상에 출현할 때에는 곧 이 네 가지 일찍이 없었던 법이 세상에 나타
  
  
2) 이 소경과 비슷한 내용의 경으로는 『중아함경』 제8권 32번째 소경인 「미증유법경(未曾有法經)」이 있다.
[436 / 1393] 쪽
  난다'고 하는 것이니라.
  만일 다살아갈(多薩阿竭 : 如來)이 세상에 출현하실 때에는 곧 이 네 가지 일찍이 없었던 법이 세상에 나타난다. 그런 까닭에 아난아, 마땅히 여래에 대해 기뻐하는 마음을 내도록 해야 하느니라. 아난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아난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 4 ]3)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나는 지금 무거운 짐[擔]에 대하여 설명하고, 또 그 짐을 진 사람에 대하여 설명하며, 또 짐의 인연에 대하여 설명하고 또 짐을 버리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리라. 너희 비구들은 자세히 듣고 자세히 들은 다음 잘 생각하고 기억하도록 하라. 내가 지금 설명해 주리라."
  모든 비구들이 대답하였다.
  "그렇게 하겠습니다, 세존이시여."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가르침을 들었다.
  세존께서 말씀하셨다.
  "저 어떤 것을 짐이라고 하는가? 5성음(盛陰)을 이르는 말이다. 어떤 것을 5성음이라고 하는가? 말하자면 색음(色陰)·통음(痛陰 : 受陰)·상음(想陰)·행음(行陰)·식음(識陰)이니, 이것을 짐이라고 하느니라.
  어떤 것을 짐을 진 사람이라고 하는가? 짐을 진 사람이라고 하는 것은 사람의 몸이 바로 그것이다. 즉 '자(字)는 아무개이고 이름은 아무개이며, 이와 같이 태어났고 이와 같은 음식을 먹으며, 이와 같은 괴로움과 즐거움을 받고, 그리고 어떤 수명(壽命)을 받았는가?' 하는 것이니, 이것을 일러 짐을 진 사
  
  
3) 이 소경과 그 내용이 비슷한 경으로는 『잡아함경』 제3권 73번째 소경인 「중담경(重擔經)」이 있다.
[437 / 1393] 쪽
  람이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것을 짐의 인연이라고 하는가? 짐의 인연이라고 하는 것은 애착(愛着)하는 인연이 바로 그것이니, 그것은 탐욕과 어울려 마음이 거기에서 멀리 떠나지 않는 것이다. 이것을 일러 짐의 인연이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것을 짐을 버리는 것이라고 하는가? 짐을 버린다는 말은 애욕(愛欲)을 아주 없애버려서 남음이 없게 하는 것을 이르는 말이다. 이미 다 제거해 없애고 이미 다 토해 버린 것을 말한다. 비구들아, 이것을 일러 짐을 버린다고 하는 것이니라.
  비구들아, 나는 이제 이미 이와 같이 짐을 말하였고 짐의 인연을 이미 말하였으며, 짐을 진 사람에 대하여 이미 말하였고 짐을 버리는 것에 대하여 이미 말하였다. 그리고 모든 여래들께서 행하셨던 일을 나는 이제 다 마쳤다. 그러므로 만약 나무 밑이나 텅 비어 아무도 없는 곳이나 드러난 데에서 항상 좌선(坐禪)하기를 생각하고 방일(放逸)하게 행동하지 말라."
  그 때 세존께서 곧 이 게송을 말씀하셨다.
  
  마땅히 무거운 짐 버리기를 생각하고
  다시는 새로운 짐을 만들지 말라.
  짐이란 곧 세간의 병(病)이니
  짐을 버리는 것이 제일 즐거우니라.
  
  그리고 또한 애욕의 결박 끊고
  법답지 않은 모든 행을 버려라.
  그것들을 모두 버리고 여의면
  다시는 후생에 몸을 받지 않으리.
  
  "그러므로 모든 비구들아, 마땅히 방편을 구해 무거운 짐을 버리고 여의도록 하라.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438 / 1393] 쪽
  [ 5 ]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네 가지 생(生)이 있다. 어떤 것이 그 네 가지인가? 이른바 난생(卵生)·태생(胎生)·습생(濕生)·화생(化生)이 그것이니라.
  어떤 것을 난생이라고 하는가? 이른바 난생이란, 닭·참새·까마귀·까치·공작(孔雀)·뱀·물고기[魚]·개미 따위의 종류가 모두 난생이다. 이것을 일러 난생이라고 한다.
  어떤 것을 태생이라고 하는가? 이른바 사람·축생(畜生), 그리고 두 발 달린 곤충이니, 이것을 일러 태생이라고 하느니라.
  어떤 것을 습생이라고 하는가? 이른바 썩은 고기 속에 생긴 벌레와 뒷간 속에 있는 벌레, 그리고 송장 속에 생긴 벌레 따위이니, 이와 같은 것을 다 습생이라고 하느니라.
  어떤 것을 화생이라고 하는가? 이른바 모든 하늘·큰 지옥·아귀(餓鬼)·사람·축생 따위이니, 이것을 일러 화생이라고 한다. 비구들아, 이것을 일러 네 가지 생이라고 말하느니라.
  그러므로 모든 비구들아, 너희들은 마땅히 방편을 구해 이 네 가지 생을 버리고 네 가지 진리의 법을 성취해야 하느니라.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 6 ]4)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존자(尊者) 사리불(舍利弗)과 존자 목건련(目揵連)은 왕사성(王舍城) 가란다죽원(迦蘭陀竹園)에 있었다.
  
  
4) 이 소경과 내용이 비슷한 경으로는 『중아함경』 제22권 87번째 소경인 「예품경(穢品經)」이 있고, 이역경(異譯經)으로는 서진(西晉) 시대 법거(法炬)가 한역한 『불설구욕경(佛說求欲經)』이 있다.
[439 / 1393] 쪽
  그 때 사리불이 모든 비구(比丘)들에게 말하였다.
  "세간(世間)에는 다음과 같은 네 종류의 사람이 있습니다. 어떤 것이 그 네 종류인가? 이른바 첫 번째 사람은 번뇌[結]를 따르지만, 그러나 마음에 번뇌가 있는 줄을 알지 못하며, 혹 어떤 사람은 번뇌를 따르지만, 그러나 마음에 번뇌가 있는 줄을 사실 그대로 안다. 혹 어떤 사람은 번뇌를 따르지 않지만, 그러나 번뇌를 따르지 않으면서도 마음에 번뇌가 없는 줄을 사실 그대로를 알지 못하며, 혹 어떤 사람은 번뇌를 따르지 않지만, 그러나 마음에 번뇌가 없는 줄을 사실 그대로를 압니다.
  여러분,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그 첫 번째 사람은 번뇌를 따르지만, 그러나 마음에 번뇌가 있는 줄을 알지 못하니, 그 사람은 저 번뇌가 있는 두 사람 중에서도 가장 못난 사람이다. 그러나 저 두 번째 사람은 번뇌를 따르면서 마음에 번뇌가 있는 줄을 사실 그대로 아는 사람이니, 그 사람은 매우 훌륭한 사람입니다.
  저 세 번째 사람은 번뇌를 따르지 않지만, 마음에 번뇌가 없는 줄을 사실 그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이니, 그런 사람은 저 번뇌가 없는 두 사람 중에서 가장 못난 사람입니다. 그러나 저 네 번째 사람은 번뇌를 따르지 않으면서 마음에 번뇌가 없는 줄을 사실 그대로 다 아는 사람이니, 그런 사람은 번뇌가 없는 사람 중에서 가장 으뜸 가는 사람입니다. 여러분은 마땅히 알아야만 합니다. 세간에는 이런 네 종류의 사람이 있습니다."
  그 때 존자 목건련이 사리불에게 물었다.
  "무슨 인연(因緣)으로 번뇌가 있어 그 번뇌를 따르는 사람 중에 한 사람은 못나고 한 사람은 훌륭하다고 합니까? 또 무슨 인연으로 번뇌를 따르지 않는 두 사람 중에 한 사람은 못나고 한 사람은 훌륭하다고 합니까?"
  
  사리불이 대답하였다.
  "저 번뇌를 따르면서도 마음에 번뇌가 있는 줄을 모르는 그런 사람은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는 마땅히 깨끗하다고 생각한다.'
  그래서 그는 곧 깨끗하다고 생각합니다. 그가 마땅히 깨끗하다고 생각할 때에 그는 곧 욕심(欲心)을 일으키고, 욕심을 일으키고 나면 곧 탐욕과 성냄
  
[440 / 1393] 쪽
  과 어리석은 마음을 가진 채 목숨을 마칠 것입니다. 그 때 그는 방편(方便)을 구해 이런 욕심을 없애지 못하고, 성냄과 어리석은 마음을 가진 채 목숨을 마치고 마는 것입니다.
  목건련이여, 마땅히 알아야만 합니다.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시장에 가서 구리 그릇[銅器]을 샀는데, 먼지와 때가 잔득 묻어 있어 매우 더러웠습니다. 그런데도 그 사람은 수시(隨時)로 닦지도 않고 씻지도 않았습니다. 그러므로 그 그릇은 갈수록 때가 더욱 끼여 갑절이나 더 더러워지는 것처럼, 이 첫 번째 사람도 그와 같아서 번뇌를 따르면서도 마음에 번뇌가 있는 줄을 사실 그대로 알지 못하고 그는 곧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는 지금 깨끗하다.'
  그는 깨끗하다고 생각하고 나서는 곧 욕심을 내고, 욕심을 내고 나서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가진 채 목숨을 마치면서도 방편을 구해 이 욕심을 없애지 않습니다.
  저 두 번째 사람은 번뇌를 따르지만 마음에 번뇌가 있는 줄을 사실 그대로 알고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는 지금 깨끗하다는 생각을 버리고 깨끗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가지리라.'
  그는 깨끗하다는 생각을 이미 버리고 깨끗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가집니다. 그리고 깨끗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가지고 나서는 곧 욕심을 내지 않습니다. 그리하여 방편을 구해 얻지 못한 것을 얻고, 거두지 못한 것을 거두며, 미치지 못한 것을 미치게 하여 곧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없고, 또한 번뇌가 없이 목숨을 마치고 맙니다.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시장에서 구리 그릇을 샀는데, 그 그릇에 먼지와 때가 묻어 더러웠습니다. 그러므로 그가 수시로 닦고 씻어서 깨끗하게 만든 것처럼, 이 사람도 또한 그와 같아서 번뇌를 따르면서 마음에 번뇌가 있는 줄을 사실 그대로 압니다. 그 사람은 곧 깨끗하다는 생각을 버리고 깨끗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가집니다. 그는 깨끗하지 못하다는 생각을 가지고는 다시 방편을 구해 얻지 못한 것을 얻고 거두지 못한 것을 거두며 증득하지 못한 것을 증득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그래서 이미 욕심이 없고 성냄과 어리석음이
  
[441 / 1393] 쪽
  없이 목숨을 마칩니다. 목건련이여, 이것을 일러 '번뇌를 따르는 두 사람 중에 한 사람은 못나고 한 사람은 훌륭하다'고 말하는 것입니다."
  목건련이 물었다.
  "그러면 또 무슨 인연(因緣)으로 저 두 사람은 똑같이 번뇌를 따르지 않는데, 한 사람은 못나고 한 사람은 훌륭하다고 하는가?"
  사리불이 대답하였다.
  "저 세 번째 사람은 번뇌와 서로 따르지 않으면서도 마음에 번뇌가 없는 줄을 사실 그대로 알지 못하고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는 방편을 구해 생각하지 않는데도, 얻지 못한 것을 얻었고 거두지 못한 것을 거두었으며 증득하지 못한 것을 증득하였다.'
  그래서 그 사람은 욕심과 성냄과 어리석음이 생겨 거기에 얽매인 채 목숨을 마칩니다.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시장에 가서 구리 그릇을 샀는데, 그 그릇에 티끌과 때가 묻어 매우 더러웠습니다. 그런데도 그는 수시로 씻지도 않고 닦지도 않는 것처럼, 이 세 번째 사람도 또한 그와 같아서 번뇌를 따르지는 않지만 마음에 번뇌가 없는 줄을 사실 그대로 알지 못하고 또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는 마땅히 방편을 구해 온갖 번뇌를 다 없애리라.'
  이렇게 생각하고는 공부를 하지도 않습니다. 그래서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을 가진 채 목숨을 마치고 맙니다.
  저 네 번째 사람은 번뇌를 따르지도 않고, 또 마음에 번뇌가 없는 줄을 사실 그대로 압니다. 그리하여 그 사람은 곧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는 방편을 구해 얻지 못한 것을 얻고 거두지 못한 것을 거두며 증득하지 못한 것을 증득하리라.'
  그래서 그는 이런 번뇌가 없이 목숨을 마칩니다.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시장에 가서 좋은 구리 그릇을 구했는데, 그 그릇이 매우 깨끗하였습니다. 그런데도 그는 또 수시로 닦고 씻어서 그 그릇을 더욱 깨끗하고 곱게 만듭니다. 그 네 번째 사람도 또한 그와 같아서 번뇌를 따르지도 않고, 또한 마음에 번뇌가 없는 줄을 사실 그대로 알면서도 그
  
 
[442 / 1393] 쪽
  사람은 곧 이렇게 생각합니다.
  '나는 방편을 구해 얻지 못한 것을 얻고 거두지 못한 것을 거두며 증득하지 못한 것을 증득하리라.'
  그리하여 그는 탐욕과 성냄과 어리석음의 번뇌가 없이 목숨을 마치고 맙니다.
  목건련이여, 이것을 일러 '번뇌를 따르지 않아 마음에 번뇌가 없는 두 사람 중에 그것을 사실 그대로 아는 사람은 훌륭하고 그것을 사실 그대로 알지 못하는 사람은 못났다'고 하는 것입니다."
  이 때 존자 목건련이 물었다.
  "무슨 까닭에 번뇌라고 부릅니까?"
  사리불이 대답하였다.
  "목건련이여, 마땅히 알아야 합니다. 악하고 착하지 않은 법은 온갖 삿된 소견[邪見]을 일으키기 때문에 번뇌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혹 어떤 사람은 생각하기를 '여래께서는 저에게 이치를 물으신 뒤에 모든 비구들을 위해 설법하시고, 여래께서 다른 비구들에게 그 이치를 물어 그 비구로 하여금 비구들을 위해 설법하시지 않게 했으면 좋겠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세존께서 다른 비구에게 말씀하시어 설법하게 하시고, 그 비구에게는 말씀하시지 않으면 그는 생각하기를 '여래께서 설법하시면서 저 여래께서 나에게는 아무 말씀도 하시지 않는다. 내가 비구들을 위해 설법해야 하겠다'라고 합니다.
  이리하여 착하지도 못한 데다가 탐욕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이미 착하지도 못한데다 또 탐욕(貪欲)까지 갖추고 있으니, 이 두 가지는 다 좋지 않은 것입니다.
  혹 때로 그 비구는 생각하기를 '내가 항상 모든 비구들 앞에 있으면서 마을에 들어가 걸식하고 다른 비구는 비구들 앞에 있으면서 마을에 들어가 걸식하지 못하게 했으면 좋겠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혹 어떤 때는 다른 비구가 비구들 앞에 있으면서 마을에 들어가 걸식하고, 저 비구가 다른 비구들 앞에 있으면서 마을에 들어가 걸식하지 못하게 되면 그는 또 생각하기를 '나는 비구들 앞에 있으면서 마을에 들어가 걸식
  
[443 / 1393] 쪽
  하지 못했다' 라고 합니다.
  이미 착하지도 못한 데다가 탐욕까지 있으니, 이 두 가지는 다 좋지 않은 것입니다.
  목건련이여, 마땅히 알아야만 합니다. 혹 때로 그 비구는 생각하기를 '내가 비구들 앞에 앉아 물과 밥을 다른 이들보다 먼저 받고, 다른 비구는 비구들 앞에 앉아 물과 밥을 다른 이들보다 먼저 받지 못하게 했으면 좋겠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다른 비구가 비구들 앞에 앉아 물과 밥을 다른 이들보다 먼저 받고, 자기 자신은 비구들 앞에 앉아 물과 밥을 다른 이들보다 먼저 받지 못하게 되면 그는 또 생각하기를 '나는 비구들 앞에 앉아 물과 밥을 다른 이들보다 먼저 받지 못했다'라고 합니다.
  이미 착하지도 못한 데다가 탐욕까지 있으니, 이 두 가지는 다 좋지 못한 것입니다.
  또 때로 그 비구는 생각하기를 '내가 밥을 먹은 뒤에 시주(施主)들을 위해 설법하고, 다른 비구는 밥을 먹은 뒤에 시주들을 위해 설법하지 못하게 했으면 좋겠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다른 비구가 공양을 든 뒤에 시주를 위해 설법하고, 자기는 공양을 든 뒤에 시주를 위해 설법하지 못하게 되면 그는 또 생각하기를 '나는 밥을 먹은 뒤에 시주를 위해 설법하지 못하였다'라고 합니다.
  이미 착하지도 못한 데다가 탐욕까지 있으니, 이 두 가지는 다 좋지 못한 것입니다.
  또 때로 그 비구는 생각하기를 '내가 공원으로 가서 장자(長者)나 바라문(婆羅門)을 위해 설법하고, 다른 비구는 공원으로 가서 장자나 바라문을 위해 설법하지 못하게 했으면 좋겠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다른 비구가 공원으로 가서 장자나 바라문을 위해 설법하고, 자기는 공원으로 가서 장자나 바라문을 위해 설법하지 못하게 되면 그는 또 생각하기를 '나를 공원으로 가서 장자나 바라문을 위해 설법하지 못하였다'라고 합니다.
  이미 착하지도 못한 데다가 탐욕까지 있으니, 이 두 가지는 다 좋지 못한
  
[444 / 1393] 쪽
  것입니다.
  혹 때로 그 비구는 생각하기를 '나는 지금 계(戒)를 범했다. 여러 비구들로 하여금 내가 계를 범한 것을 알지 못하게 하였으면 좋겠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그 비구가 계를 범하였을 적에, 여러 비구들이 그 비구가 계를 범한 것을 압니다.
  이미 착하지도 못한데 게다가 탐욕까지 있으니, 이 두 가지는 다 좋지 못한 것입니다.
  또 때로 그 비구는 생각하기를 '나는 지금 계를 범했다. 다른 비구들로 하여금 계를 범한 것을 나에게 말하지 않게 했으면 좋겠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그 비구가 계를 범하였을 적에, 다른 비구가 그에게 계를 범한 것을 말합니다.
  이미 착하지도 못한 데다가 탐욕까지 있으니, 이 두 가지는 다 좋지 못한 것입니다.
  또 때로 그 비구는 생각하기를 '나는 지금 계를 범했다. 청정한 비구가 내게 말하고, 청정하지 않은 비구로 하여금 내게 말하지 못하게 했으면 좋겠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청정하지 않은 비구가 그에게 '너는 계를 범했다'라고 말합니다.
  이미 착하지도 못한 데다가 탐욕까지 있으니, 이 두 가지는 다 좋지 못한 것입니다.
  또 때로 그 비구는 생각하기를 '나는 계(戒)를 범하였다. 만일 어떤 비구가 내게 말하려면 대중들 앞에서 말하지 말고 아무도 없이 은밀한 곳에서 했으면 좋겠다'라고 합니다.
  그러나 때로는 그 비구가 계를 범했을 때, 대중들 앞에서 말하고, 아무도 없이 은밀한 곳에서 말하지 않으면 비구는 또 생각하기를 '아무도 없이 은밀한 곳에서 말하지 않고, 대중들 앞에서 나에게 말하였다'라고 합니다.
  이미 착하지도 못한 데다가 탐욕까지 있으니, 이 두 가지는 다 좋지 못한 것입니다.
  목건련이여, 마땅히 알아야만 합니다. 이것이 모든 법의 근본으로서, 이런
  
[445 / 1393] 쪽
  행(行)을 일으키기 때문에 번뇌라고 하는 것입니다.
  또 목건련이여, 마땅히 알아야만 합니다. 모든 사부대중들이 이런 행을 범하는 이를 다 함께 듣고 보고 생각해 알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그는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나는 아련야(阿練若)를 행하고, 한가하고 조용한 곳에서 가령 다섯 가지 누더기 옷[五納衣]5)을 입고, 항상 걸식하되 가난하거나 부유함을 가리지 않으며, 행동은 조급하거나 사납지 않으며, 가고 오고 서고 움직임이 조용하고, 말하고 잠자코 있는 것이 법에 꼭 맞다.'
  이와 같이 말하고 나서 또 그 비구는 이렇게 생각합니다.
  '비구·비구니·우바새(優婆塞)·우바이(優婆夷) 등 이런 모든 범행(梵行)을 닦는 이들이 항상 와서 나에게 공양하였으면 좋겠다.'
  그는 이렇게 생각하지만 사부대중들은 또 때를 따라 공양하지 않습니다. 왜냐 하면 그 비구가 악하고 착하지 않은 행을 버리지 못한 것을 그들이 보고 듣고 생각해 알기 때문입니다.
  비유하면 어떤 사람이 아주 깨끗한 구리 그릇에 깨끗하지 못한 것을 가득 담고는 다른 뚜껑을 그 위에 덮고, 그것을 가지고 다른 국경으로 나가면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나서 그 사람에게 물을 것입니다.
  '그대가 가지고 있는 것이 무엇인가? 우리는 그게 무엇인지 보고 싶다.'
  그 때 그 사람들은 본래 매우 굶주리고 있던 터였습니다. 그래서 그 사람들은 '이것은 좋은 음식일 것이다'라고 하면서 이내 그 그릇의 뚜껑을 열었습니다. 그러나 그것은 곧 아주 더러운 것임을 그들 모두는 볼 수 있었습니다. 이 비구도 또한 그와 같아서 아무리 아란야행이 있고 수시로 걸식하며, 다섯 가지 누더기 옷[五衲衣]을 입고 몸과 마음을 바르게 가지며, 생각을 매어 앞에 두고, 또 온갖 범행을 닦는 이로 하여금 수시로 와서 공양하게 해야 하겠다고 생각하더라도 그 범행을 닦는 모든 이들은 수시로 와서 공양하지 않습니다. 왜냐 하면 그 비구는 악하고 착하지 않은 법과 번뇌[結]가 없어지지 않았기
  
  
5) 첫째 길가에 버린 옷, 둘째 쓰레기를 버리는 곳에 있는 옷, 셋째 물가에 버려진 옷, 넷째 벌레들이 구멍을 뚫은 옷, 다섯째 다 떨어져 너덜너덜한 옷을 기워 만든 옷을 말한다.
[446 / 1393] 쪽
  때문입니다.
  목건련이여, 마땅히 알아야만 합니다. 어떤 비구가 악하고 착하지 않은 법이 없고 번뇌[結使]가 이미 없어진 것을 그들이 듣고 보고 생각하고 알면, 그는 비록 성 밖에서 성 주위를 빙빙 돌아다니더라도 오히려 법을 가진 사람으로서 혹은 남의 초청[請]을 받기도 하고, 혹은 장자(長者)의 공양(供養)을 받기도 할 것입니다. 그 비구는 탐욕(貪欲)의 생각이 없기 때문입니다. 그 때에는 사부대중들과 온갖 범행을 닦는 이들이 모두 몰려와서 공양할 것입니다. 왜냐 하면 그 비구는 행(行)이 청정하므로 그들이 모두 그것을 보고 듣고 생각해 알기 때문입니다.
  비유하면 마치 어떤 사람이 좋은 구리 그릇에 아주 맛있고 향기로운 좋은 음식을 담고, 또 다른 물건으로 그 위를 덮고, 그것을 가지고 다른 나라에 가면 사람들은 그것을 보고 물을 것입니다.
  '그것이 무엇이오? 우리들은 그것을 보고 싶소.'
  그러면서 그들은 곧 뚜껑을 열고 그 음식을 보고는 모두 함께 먹을 것입니다. 이 비구도 그와 같아서, 이 비구를 보고 듣고 생각해 알면 그가 비록 성 밖에서 성 주위를 빙빙 돌아다니면서 장자의 공양을 받고 있는 처지인지라, 그는 '여러 범행을 닦는 사람들이 모두 와서 내게 공양하였으면 좋겠다' 하고 생각하지 않을 것입니다. 그가 그렇게 생각하지만, 또 모든 범행을 닦는 이들이 다 몰려와서 공양할 것입니다. 왜냐 하면 그 비구는 악하고 착하지 않은 범행을 모두 버렸기 때문입니다.
  그러므로 목건련이여, 이런 여러 가지 행(行) 때문에 그것을 번뇌라고 말하는 것입니다."
  그러자 존자 목건련이 찬탄하였다.
  "훌륭하고, 훌륭합니다. 사리불이여, 왜냐 하면, 나는 옛날 이 왕사성의 가란다죽원에 살고 있었습니다. 때가 되어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 라열성(羅閱城)에 들어가 걸식하다가 저 수레를 만드는 장인(匠人)의 집에 이르러 그 문 밖에서 아무 말 없이 잠자코 서 있었습니다. 그 때 그 장인은 손에 도끼를 들고 재목을 다듬고 있었습니다. 그 때 또 어떤 늙은 장인이 조그만 일이 있어서 이 장인의 집에 와서 이 장인이 재목을 다듬는 솜씨를 보았습니다.
  
[447 / 1393] 쪽
  그 때 그 늙은 장인은 이런 생각을 하였습니다.
  '이 젊은 장인의 재목 다루는 솜씨가 과연 내 생각과 같을까? 나는 지금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리라.'
  그 때 이 늙은 장인이 마음에 맞지 않아 하는 곳을 그 젊은 장인이 모두 베어내었습니다. 이 늙은 장인은 매우 기뻐하면서 이렇게 말하였습니다.
  '훌륭한 솜씨로다. 정말로 훌륭한 솜씨로구나. 그대가 재목을 다루는 것이 모두 내 생각과 같구나.'
  지금 이 자리도 그와 같습니다. 모든 비구들은 마음이 부드럽지 못해서 사문(沙門)의 행(行)을 버리고, 간사하고 거짓된 마음을 품어 사문의 법을 따르지 않습니다. 성품과 행동[性行]이 거칠고 성글어서 부끄러움을 알지 못하고, 두꺼운 얼굴로 욕됨을 참아 비천(卑賤)한 행동을 예사로 하고 용맹(勇猛)이 없으며, 혹은 잊어버리기를 잘 하여 해야 할 일을 기억하지 못하고, 마음과 뜻이 안정되지 못해 하는 일마다 어지럽고, 모든 감각기관[根]이 안정을 찾지 못합니다. 그런데 지금 존자 사리불께서는 그들의 성행(性行)을 관찰하고 나서는 그것을 잘 다스리고 있습니다.
  모든 족성자(族姓子)들은 견고한 믿음으로 출가하여 도를 배워 계를 매우 공경하고, 사문(沙門) 현성(賢聖)의 법을 버리지 않아 허망하거나 거짓이 없으며, 경솔하거나 사납지 않아 마음이 부드럽고 온화하며, 말은 언제나 웃음을 머금어 남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으며, 마음이 항상 안정되어 시비(是非)가 없고 모든 감각기관이 어지럽지 않습니다. 저들은 존자 사리불의 말을 듣고 나서는 스스로 받들어 지녀서 잊지 않을 것입니다.
  비유하면 단정하기 그지없는 어떤 남자와 여자가 금방 목욕을 하고 나서 좋은 새 옷을 갈아입고 향(香)을 몸에 발랐는데, 다시 어떤 사람이 우발화(優鉢華)를 그에게 가져다가 바쳐 올리면, 그 사람은 그것을 머리 위에 꽂고 기뻐 뛰면서 어쩔 줄 몰라 할 것입니다. 이것도 그와 같아서, 만일 어떤 족성자가 견고한 믿음으로 출가하여 도(道)를 배워 계를 공경하고, 사문의 법을 잃지 않아 허망하거나 거짓이 없으며, 행동이 경솔하거나 난폭하지 않으며, 마음이 부드럽고 말할 때는 항상 웃음을 머금으며, 다른 사람의 마음을 상하게 하지 않으며, 마음은 항상 안정되어 시비가 없고 모든 감각기관이 어지럽
  
[448 / 1393] 쪽
  지 않으면 그 사람은 존자 사리불의 말을 듣고 나서 매우 기뻐하며 어쩔 줄을 몰라하면서 그 가르침을 받아 지닐 것입니다."
  이와 같이 두 족성자는 이렇게 설법하였다.
  그 때 모든 어진 이들은 제각기 그 말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 7 ]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이 세상에 네 가지 과일이 있다. 어떤 것이 그 네 가지인가? 혹 어떤 과일은 덜 익었는데도 익은 것 같고, 혹 어떤 과일은 다 익었는데도 덜 익은 것 같으며, 혹 어떤 과일은 완전하게 익어야 익은 것 같고, 혹 어떤 과일은 덜 익으면 덜 익은 것 같다. 비구들아, 이것을 일러 '이 세상에 네 가지 과일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니라.
  이 세간에도 네 종류의 사람이 있는데 그 또한 이 과일과 같다. 어떤 것이 그 네 종류인가? 혹 어떤 사람은 익숙한데도 선 것 같은 형상이 있고, 혹 어떤 사람은 설면서도 익숙한 것 같은 형상이 있으며, 혹 어떤 사람은 설기 때문에 선 것 같은 형상이 있고, 혹 어떤 사람은 익숙하기 때문에 익숙한 것 같은 형상이 있다.
  어떤 사람을 설면서도 익숙한 것 같은 형상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사람은 가고 오는 걸음걸이가 경솔하거나 난폭하지 않고, 눈으로 보는 것이 늘 법에서 가르친 것을 따르며,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 걸어갈 때에도 법을 따라서 다만 땅만 보고 좌우는 돌아보지 않는다. 그런데 그는 또 계를 범하고 바른 행(行)을 따르지 않아, 실은 사문이 아니면서 사문인 체하고, 범행(梵行)을 행하지 않으면서 스스로 범행을 행한다고 말하나니, 그런 사람은 바른 법을 모두 무너뜨리는 나쁜 종류의 사람이다. 이것을 일러 '설면서도 익은 것 같은 사람이다'라고 하는 것이니라.
  어떤 사람을 익숙한데도 선 것 같은 형상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비구는 성질과 행동이 거친 듯하고, 눈길이 단정하지 못하며, 법을 따라 행동하지 않
  
[449 / 1393] 쪽
  아 좌우를 돌아보기를 좋아한다. 그런데 그는 또 정진(精進)하고 많이 들으며, 착한 법을 닦아 행하고 항상 계를 지켜 위의(威儀)를 잃지 않으며, 조그만 허물을 보고도 곧 두려워한다. 이것을 일러 '익숙한데도 선 것 같은 사람이다'라고 하는 것이니라.
  어떤 사람을 설기 때문에 선 것 같은 형상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비구는 금계(禁戒)를 지키지 않고 행보(行步)에 예절(禮節)을 알지 못하며, 들어가고 나가고 오고 가는 것을 잘 알지 못하고 가사를 입는 것과 발우 지니는 것을 잘 알지 못하며, 모든 감각기관이 뒤섞이고 어지러워 마음이 빛깔[色]·소리[聲]·냄새[香]·맛[味]·섬세하고 매끄러움[細滑]에 집착한다. 그는 또 금계를 범하고 바른 법을 행하지 않으며, 사문이 아니면서 사문인 체하고 범행을 행하지 않으면서 범행을 행하는 체하나니, 근본이 못쓰게 된 사람은 꾸밀 수가 없다. 이것을 일러 '설기 때문에 선 것 같은 사람이다'라고 하느니라.
  어떤 사람을 익숙하기 때문에 익숙한 것 같은 형상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비구는 금계의 한계를 잘 지키고 들어가고 나오고 걸어다니는 일에 때를 잃지 않으며, 보는 눈길도 위의(威儀)를 잃지 않는다. 그리고 또 지극히 정진하여 착한 법을 닦고 행하며, 위의와 예절을 모두 다 성취하였다. 그는 조그만 허물을 보아도 곧 두려워하거늘, 하물며 큰 허물이겠는가? 이것을 일러 '익숙하기 때문에 익숙한 것 같은 사람이다'라고 하느니라.
  비구들아, 이것을 일러 '세간에는 이 네 가지 과일과 같은 사람이 있다'고 하는 것이니, 너희들은 마땅히 익은 과일과 같은 사람이 되도록 배워야 한다.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 8 ]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오늘 공중에서 수람풍(隨嵐風)이 있었다. 만일 허공을 날아다니는 까마
  
[450 / 1393] 쪽
  귀6)·까치·기러기·따오기 같은 새들이 그 바람을 만나면, 두뇌(頭腦)와 날개[羽翼]가 제각기 흩어져 어느 한 곳에 있을 것이다.
  이 세간에 있는 비구들도 또한 그와 같다. 그는 금계를 버리고 나서 속인[白衣]으로 돌아갔다. 그 때 입고 다니던 세 가지 법의와 발우·그릇·침통(鍼筩) 등 여섯 가지 물건이 제각기 흩어져 어느 한 곳에 있는 것이 마치 수람풍이 몰아쳐서 저 새들을 죽인 것과 같다.
  그러므로 모든 비구들아, 너희들은 마땅히 범행을 닦고 행하여야 한다.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 9 ]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비구들아, 마땅히 알아야 한다. 이러한 네 종류의 새가 있다. 어떤 것이 그 네 종류인가? 혹 어떤 새는 울음소리는 매우 좋은데, 생긴 모습은 추한 경우도 있고, 혹 어떤 새는 생긴 모양은 좋은데 울음소리는 듣기 싫은 경우도 있으며, 혹 어떤 새는 울음소리도 듣기 싫고 생긴 모양도 추한 경우도 있고, 혹 어떤 새는 생긴 모양도 좋고 울음소리도 좋은 것이 있다.
  저 어떤 새가 울음소리는 좋은데 생긴 모양이 추한 것인가? 구시라(拘翅羅)라는 새가 그것이다. 이것을 일러 울음소리는 좋은데 생긴 모양이 추한 새라고 한다.
  어떤 새가 생긴 모양은 좋은데 울음소리가 추한 새인가? 새매가 바로 그것이다. 이것을 일러 생긴 모양은 좋은데 울음소리는 추한 새라고 한다.
  어떤 새가 울음소리도 추하고 생긴 모양도 추한 새라고 하는가? 올빼미가 바로 그것이다. 이것을 일러 울음소리도 추하고 생긴 모양도 추한 새라고 한
  
  
6) 고려대장경에는 조(鳥)자로 되어 있다. 신수대장경 각주에 의하면 "송(宋)·원(元)·명(明) 세 본에는 조(鳥)자가 오(烏)자로 되어 있다"고 하므로 글의 문맥에 맞추어 까마귀로 번역하였다.
[451 / 1393] 쪽
  다.
  
  어떤 새가 울음소리도 좋고 생긴 모양도 좋은 새라고 하는가? 공작새가 바로 그것이다. 이것을 일러 울음소리도 좋고 생긴 모양도 좋은 새라고 한다.
  비구들아, 이것을 일러 네 종류의 새가 있다고 하는 것이니, 너희들은 마땅히 모두 그런 줄을 알아야 하느니라.
  이와 같이 이 세간에도 새와 같은 네 종류의 사람이 있으니, 마땅히 모두 그런 줄을 알아야 한다. 어떤 것이 그 네 종류인가? 혹 어떤 비구는 얼굴이 단정하고, 나가고 들어가며 오고 가는 것과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는 것과 굽히고 펴는 것, 구부리고 우러러보는 것에 대하여 위의(威儀)를 성취하였다. 그러나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마지막도 좋은 온갖 법을 외우지 못하고, 법의 가르침을 받들지 못하며, 또한 그것을 잘 읽고 외우지도 못한다. 이것을 일러 생긴 모양은 좋은데 말소리는 좋지 않다고 하는 사람이니라.
  어떤 사람을 말소리는 좋은데 생긴 모양이 추하다고 하는가? 혹 어떤 비구는 나가고 들어가며 오고 가는 것과 굽히고 펴는 것, 구부리고 우러러보는 것과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는 것에 대하여 위의는 성취하지 못하였으나 항상 널리 설법(說法)하기를 좋아한다. 그런데 그 사람은 정진하고 계율을 가지며, 법을 듣고 배운 것을 잘 알며,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마지막도 좋은 법을 많이 들어 깊은 이치를 완전히 알고 범행을 원만하게 닦는다. 그리고 그는 또 법을 잘 가지고 잘 외운다. 이것을 일러 말소리는 좋은데 생긴 모습은 추한 사람이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사람이 말소리도 추하고 생긴 모습도 추한 사람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사람은 계(戒)를 범하고 정진(精進)하지 않으며, 많이 듣지 않고 들으면 곧 잊어버리고 만다. 그는 이 법에 대하여 두루 갖추어 범행을 원만하게 행해야 하련만, 그런 것을 즐겨 받들어 받아들이려고 하지 않는다. 이것을 일러 말소리도 추하고 생긴 모양도 추한 사람이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사람을 말소리도 좋고 생긴 모습도 좋은 사람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비구는 얼굴이 단정하고, 나가고 들어가며 오고 갈 때와 가사를 입고 발우를 가지고는 좌우를 돌아보지 않는다. 그리고 또 정진하여 착한 법을 닦아 행하고 계를 원만하게 갖추었으며, 조그만 잘못된 법을 보아도 오히려 두
  
 
[452 / 1393] 쪽
  려운 마음을 가지거늘 하물며 큰 허물이겠느냐? 또 그는 많이 듣고 한 번 들은 것은 잊어버리지 않으며, 처음도 좋고 중간도 좋고 마지막도 좋은 모든 법과 착한 행을 닦으며, 이와 같은 법을 잘 읽고 외운다. 이것을 일러 말소리도 좋고 생긴 모습도 좋은 사람이라고 하느니라.
  이것을 일러 세간에 네 종류의 사람이 있다고 하는 것이다. 세간에 사는 사람들은 마땅히 모두 깨달아 알아야 한다. 그런 까닭에 모든 비구들아, 너희들은 마땅히 말소리도 좋고 생긴 모습도 좋은 그런 것을 배우도록 해야 하느니라.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 10 ]7)
  이와 같이 들었다.
  어느 때 부처님께서는 사위국 기수급고독원에 계셨다.
  그 때 세존께서 모든 비구들에게 말씀하셨다.
  "네 종류의 구름이 있다. 어떤 것이 그 네 종류인가? 혹 어떤 구름은 우레는 치면서 비는 내리지 않고, 혹 어떤 구름은 비는 내리면서도 우레는 치지 않으며, 혹 어떤 구름은 비도 내리지 않고 우레도 치지 않으며, 혹 어떤 구름은 우레도 치지 않고 비도 내리지 않는다. 이것을 네 종류의 구름이라고 하느니라.
  이 세간에도 저 구름과 같은 네 종류의 사람이 있다. 어떤 것이 그 네 종류의 사람인가? 혹 어떤 비구는 우레는 치면서 비는 내리지 않고, 혹 어떤 비구는 비는 내리면서 우레는 치지 않으며, 혹 어떤 비구는 비도 내리지 않고 우레도 치지 않으며, 혹 어떤 비구는 비도 내리고 우레도 친다.
  저 어떤 비구를 우레는 치면서 비는 내리지 않는 것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비구는 소리 높여 외우고 익히는 이가 있다. 이른바 계경(契經)·기야(祇夜)·수결(受決)·게(偈)·본말(本末)·인연(因緣)·기설(己說)·생경(生
  
  
7) 이 소경의 이역경(異譯經)으로는 후한(後漢) 시대 안세고(安世高)가 한역한 『불설칠처삼관경(佛說七處三觀經)』 제10권이 있다.
[453 / 1393] 쪽
  經)·송(頌)·방등(方等)·미증유법(未曾有法)·비유(譬喩) 등 이와 같은 모든 법을 잘 읊고 읽고 외워 그 뜻을 잃어버리지 않는다. 그러나 남을 위해 널리 설법하지는 않는다. 이것을 일러 '우레는 치면서 비는 내리지 않는 사람이다'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사람을 비는 내리면서 우레는 치지 않는 사람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비구는 안색(顔色)이 단정하고, 나가고 들어가며, 오고 가는 것, 나아가고 물러나는 법도를 모두 갖추었고, 온갖 착한 법을 닦고 털끝만큼의 실수도 없다. 그러나 그는 많이 듣지도 않고 또 소리 높여 외우고 익히지도 않으며, 또 계경·기야·본말·수결·게·인연·비유·생경·방등·미증유의 법을 닦고 행하지도 않는다. 그런데 남에게 가르침을 받으면 잊어버리지 않고 선지식(善知識)과 사귀기를 좋아하며, 또 남을 위해 설법하기를 좋아한다. 이것을 일러 '비는 내리면서도 우레는 치지 않는 사람이다'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사람을 비도 내리지 않고 우레도 치지 않는 사람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사람은 안색도 단정하지 않고, 나가고 들어가는 것과 오고 가는 것과 나아가고 물러나는 법도도 모두 갖추지 못하고, 온갖 착한 법도 닦지 않는다. 그리고 또 많이 듣지도 않고 소리 높여 읽고 외우지도 않으며, 계경……(내지)……방등을 닦아 행하지도 않고 또 남을 위해 설법하지도 않는다. 이것을 일러 '비도 내리지 않고 우레도 치지 않는 사람이다'라고 하느니라.
  저 어떤 사람을 비도 내리고 우레도 치는 사람이라고 하는가? 혹 어떤 사람은 안색(顔色)도 단정하고, 나가고 들어가는 것과 오고 가는 것과 나아가고 물러나는 법도도 모두 갖추어 알며, 배우기를 좋아하고 한 번 배운 것은 잊어버리지 않는다. 또 남을 위해 설법하기를 좋아하고, 남에게 권하여 그것을 받들어 가지게 한다. 이것을 일러 '우레도 치고 비도 내리는 사람이다'라고 하느니라.
  비구들아, 이것을 일러 세간에 네 종류의 사람이 있다고 말하는 것이다. 그런 까닭에 모든 비구들아, 꼭 이와 같이 공부해야 하느니라."
  그 때 모든 비구들은 부처님의 말씀을 듣고 기뻐하며 받들어 행하였다.
  
  네 가지 진리·요익(饒益)·아난과
  
[454 / 1393] 쪽
  무거운 짐·네 가지 생(生)·번뇌와
  네 종류의 과일·수람풍에 대해 설하시고
  네 종류의 새와 우레는 맨 뒤에 설하셨다.
 

'經典 > 증일아함경(增一阿含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일아함경 제19권  (0) 2008.01.26
증일아함경 제18권  (0) 2008.01.26
증일아함경 제16권  (0) 2008.01.26
증일아함경 제15권  (0) 2008.01.26
증일아함경 제14권  (0) 2008.01.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