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보설 (普說)
스님께서는 법좌에 올라 한참을 잠자코 있다가 말씀하셨다.
"알겠는가. 사부대중이 함께 모여 일심으로 굳이 설법을 청하므로 산승이 이 자리에 올라왔다. 대중은 잠자코 이 설법을 들으라. 이 눈앞에 분명하고 역력하여 설법을 듣는 자는 그 누구며, 합장하고 묻는 이는 그 누구며, 머리 숙여 절하는 이는 그 누구인가. 여러분은 각자 점검해 보라.
여러분은 `설법을 듣고 아는 것은 바로 나 주인공이다'라고 말하지 말아라. 그러면 나는 여러분에게 묻겠다. 만일 그것이 주인공이라면 그것은 긴가 짧은가, 아니면 큰가 작은가. 그 면목은 어떠며 그 모양은 어떠며 그것은 어디서 안신입명 (安身立命) 하고 있는가. 여러분이 분명히 알고 분명히 보며 분명히 말한다고 한다면, 나는 다시 여러분에게 묻겠다. 알아내고
보아내는 그 주인공이란 무엇인가? 그러므로 조사님네도, `그것은 마음도 아니요 부처도 아니며 물건도 아니다'라고 하였다. 그러면 그대들은 말해 보라. 마음도 아니요 부처도 아니며 물건도 아니라면 결국 그것은 무엇인가. 여기서 만일 깨치지 못한다면 어떻게 이 산에서 1만 2천 담무갈 (曇無竭:항상 般若波羅蜜多經을 설하였다는 보살) 의 진면목을 볼 수 있으며, 어떻게 1만 2천 보살이 항상 말하는 반야를 들을 수 있겠는가. 다만 높이 솟은 기이한 바위와 우거진 소나무·잣나무들만을 볼 것이니, 우리 임제 (臨濟) 의 정통종지와 무슨 관계가 있겠으며 그것에 무슨 도움이 되겠는가. 여러분은 부디 물러서지 말아라. 임제도 눈은 가로 찢어지고 코는 섰으며, 여러분도 눈은 가로 찢어지고 코는 우뚝하여 털끝만큼도 다르다거니 같다거니 하는 모양을 찾을 수 없다. 이미 우리 문중의 종자라면 같든지 다르든지 정법안장을 없애버리고 임제의 정통종지를 붙들어 일으키든지 누가 상관하겠는가.
그러면 임제의 정통종지를 어떻게 붙들어 일으키겠는가. 3현 (三玄) ·3요 (三要) 를 붙들어 일으키겠는가. 4료간 (四料揀) ·4빈주 (四賓主) ·4할 (四喝) 인가. 그런데 그 할은 죽 먹은 기운으로 하는 것이니, 누가 그것을 몰라 임제의 정통종지라 하겠는가. 비록 `한 번의 할에 빈주 (賓主) 를 나누고 조용 (照用) 을 한꺼번에 행한다. 그 속의 뜻을 알면 한낮에 삼경을 치리라'고 말했지만, 그 말로 여러분은 속일 수 있지만 이 산승은 속이지 못한다. 여러분, 자세히 점검해 보아라."
한참을 잠자코 있다가 한 번 할 (喝) 한 뒤에 말씀하셨다.
"형상이 생기기 전에도 빈주와 조용이 있었던가 없었던가. 이 할이 사라진 뒤에도 조용과 빈주가 있을 것인가 없을 것인가. 할을 하는 그 순간에는 빈주와 조용이 할 속에 있는가 할 밖에 있는가. 아니면 그 속에도 있지 않고 바깥에도 있지 않은가."
또 한 번 할하고 말씀하셨다.
"도리어 그 가운데의 뜻을 한꺼번에 말해버렸다. 산승의 이런 판결이 과연 임제의 정통종지를 붙들어 일으켰는가. 임제의 정통종지를 붙들어 일으키지 못했다면, 그것은 결코 조용과 4료간·4빈주·4할·3현·3요에 있는 것이 아니다. 이미 아무 데도 있지 않다면 도대체 그것은 어디 있는가. 그것은 오직 여러분 당사자에게 있다.
여러분은 알아야 한다. 자기에게 있다는 그 하나 〔一着子〕 는 하늘에 두루하고 땅에 가득하지마는, 3세의 모든 부처도 역대의 조사도 천하의 선지식들도 감히 바른 눈으로 보지 못하니 중요한 것은 그 당사자가 그 자리에서 당장 깨닫는 길뿐이다.
그러므로 선배 큰 스님네들은 그대들이 그대로 당장 깨달으려 하지 않기 때문에, 부득이하게 방편을 드리워 그대들에게 아무 의미도 없는 그 화두를 참구하게 한 것이다. 가령 예를 들면 어떤 스님이 조주스님에게 `개에도 불성이 있습니까?'하고 물었을 때 조주스님은 `없다 〔無〕 ' 하였으니, 그것은 벌써 있는 그대로 드러낸 〔和槃托出〕 것이다. 그대들이 깨닫지 못하기 때문에 부득이 죽은 말을 고치는 의사처럼 그대들에게 구구하게 무 (無) 라는 것을 가르치되, 먼저 4대·5온·6근·6진과 나아가서는 눈앞에 보이는 산하대지와 밝음과 어두움·색과 공·삼라만상과 유정무정 등 모두를 하나의 `무'자로 만들어 한결같이 그것을 들게 한 것이다. 그리하여 다니면서도 그것을 들고, 앉거나 눕거나 자거나 밥을 먹는 등 어디서나 그것을 들되, 끊임없이 빈틈없이 한 덩이로 만들게 한 것이다. 바늘도 갈구리도 들어가지 않고 은산철벽 (銀山鐵璧) 과 같아 모르는 결에 한 번 부딪쳐 자기에게 있는 그 하나를 뚫으면, 깨닫기를 기다리지 않고 저절로 환히 알게 되는 것이다.
그리하여 부모가 낳아주기 전의 면목도 알게 되고 4대가 흩어져 어디로 가는지도 알게 된다. 또한 이 산승이 여러분들을 속인 곳도 알게 되고, 지금까지 조사님네들이 천차만별로 틀린 곳도 알게 될 것이니, 이렇게 모두들 환히 아는 것이 바로 임제의 정통종지를 붙들어 일으키는 경계일 것이다.
그때가 되면 세상법과 불법에 조금도 틈이 없어 3현·3요·4료간·4빈주·4할과 4대·5온·
6근·6진·산하대지·삼라만상 등 모든 법이 다 임제의 정통종지임을 그대로 볼 것이다. 그렇게 되면 어떤 법도 임제의 정통종지 아닌 것이 없어 붙들지 않아도 스스로 일어날 것이다. 그런 뒤에는 버려도 되고 세워도 되며 내가 법왕이 되어 모든 법에 자재할 것이다."
그리고는 자리에서 내려오셨다.
'나옹록(懶翁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 결제에 상당하여 (0) | 2008.03.19 |
---|---|
10. 욕불*상당 (浴佛上堂) (0) | 2008.03.19 |
8. 자자일 (自恣日) 에 조상서 (趙尙書) 가 보설을 청하다 (0) | 2008.03.19 |
7. 제야 (除夜) 에 소참하다 (0) | 2008.03.19 |
6. 소참 (小參) (0) | 2008.03.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