속담에 “제 눈에 안경”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을 두고, “눈에 콩깍지가 씌었다”고 말하는데,
이 표현은 불교적 진실을 극명하게 보여줍니다.
그는 ‘자기 나름의 안목을 통해’ 특정한 대상에게서 ‘아름다움’을 확인합니다.
그것은 객관적이고 투명한 시선이라기보다,
매우 주관적이고 자의적인 이미지에 홀려 있다고 할 수 있습니다.
무주위체(無住爲體)
주관적 안목이 그 사람의 토대(住)입니다.
혜능도 <금강경 구결>의 서문 첫머리에서 “무주위체(無住爲體)”라고 했습니다.
자아의 토대(住)가 어떻게 구성되는지는 앞에서 살펴본 바가 있습니다.
감각과 인식의 ‘기관’, ‘대상’, ‘내용’이 그것인데,
불교는 이들을 각각 육근(六根), 육진(六塵), 육식(六識), 그리고 이들을 뭉뚱그려 18계(界)라 부릅니다.
사물이나 사건의 자극에 의해 감각 기관은 이를 수용하고 또 거기 감정적 의지적으로 반응합니다.
이것이 반복되고 패턴화 되면서 견해(見解)라 부르는 편견(?)이 형성됩니다.
성격 혹은 인격은 이 과정을 통한 강화의 결과인데,
이 자아는 다시 외계에 대한 자극을 선택하고,
거기 반응하는 양상을 결정합니다.
상에는 두 가지 측면이 있습니다.
앞에서 이성계와 무학의 사례를 들면서,
“돼지 눈에는 돼지만 보이고, 부처님 눈에는 부처님만 보인다.”고 했습니다.
돼지 눈, 부처님 눈이 상의 주관적 ‘동인’이라면,
그 눈에 보이는 돼지와 부처님은 그 상관물로서의 ‘이미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임제(臨濟)는 이 둘을 인(人)과 경(境)의 연관 도식으로 진실을 밝히고자 한 적이 있고,
<대승기신론> 또한 견분(見分)과 상분(相分)의 상호 의존과 동시 성립을 말하고 있다는 것만 우선 귀띔해 둡니다.
물고기 집, 지옥의 고름, 천상의 감로수
우리가 보는 세계는 자아의 그림자라고 했습니다.
“여기 물이 있다.
이 물은 모든 사람에게,
나아가 모든 지각 있는 생명체에게 꼭 같이 보일 것인가.
물고기에게는 ‘집’으로 보일 것이고,
지옥에서는 ‘고름’으로 보일 것이며,
천상에서는 ‘감로수’로 보일 것이다.”
물은 목마른 사람에게는 마실 것으로 보이겠지만,
화학자에게는 ‘H2O’로 보일 것이고,
경제학자에게는 공짜라는 뜻에서 ‘비경제재’의 이름을 붙일 것입니다.
우리는 늘 돈이 되는지만 살피고,
제가 좋아하는 것만 쫓아다니며,
저 유리한 대로 세상을 해석하며,
그밖에 관심이 없는 것은 돌아보지 않습니다.
그는 인간에게 있는 우상을 네 가지로 들었습니다.
가장 알기 쉬운 것이
다음은
이것은 개인의 차원뿐만 아니라,
그 사람이 ‘인간’이기 때문에,
그 공통된 생물학적 특성으로 하여 갖게 된 우상을 가리킵니다.
세 번째는
인간의 욕망이 이 세상을 혼란시키고 비참을 증폭시키는 원흉인데,
그 첨병이 바로 언어라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무아는 집단적 개인적 우상들 타파하는 노력
마지막으로
어린 아이가 부모와 교사의 가치관에 반하는 행동을 하면,
곧 제재가 따르고 충실히 지키면 적절한 보상을 받는데,
이런 과정을 거치며 그는 한 사회의 이념을 자신 속에 받아들입니다.
이 우상은 집단과 종족의 오랜 지혜의 소산이지만,
그것을 진리라고 고집해서는 안 되지요.
불교는 이 모든 종류의 ‘우상’을 깨뜨리고 걷어내도록 권합니다.
이들이 똬리 틀고 있는 한,
우리는 차가운 <사실>과 만날 수 없고,
그리고 우리가 바라는 영원의 고요와 평안에 도달하지 못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또한, 우리가 주관적 환상과 우상에 고착되어 있다면,
타자를 용인할 수 없고, 그것은 치유할 수 없는 갈등과 혼란으로 이어질 것이기 때문입니다.
'經典 > 금강경(金剛經)'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형조교수/24강/정념(正念)과 위빠사나 (0) | 2008.08.16 |
---|---|
한형조교수/23강/소승 아비달마의 지혜, 오온(五蘊) (0) | 2008.08.16 |
한형조교수/21강/공(空)이란 자기 이해와 관심으로부터의 해방 (0) | 2008.08.15 |
한형조교수/20강/하나의 사건을 둘러싼 서로 다른 이야기들 (0) | 2008.08.15 |
한형조교수/19강/범소유상(凡所有相) 개시허망(皆是虛妄) (0) | 2008.08.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