Ⅱ. 서장(序章)
[3 장]
7. 배다구우(vedagu 靈魂: 영적인 것)에 관하여
왕은 물었다.
"나아가세나 존자여, 베다구우(靈的인 것)가 있습니까?"
장로는 반문했다.
"대왕이여, 베다구우란 대체 무엇입니까?"
왕은 말했다.
"안에 있는 생명 원리(個我)는, 눈에 의하여 형상(色)을 보고,
귀에 의하여 소리를 듣고, 코에 의하여 냄새를 맡고, 혀에 의하여 맛을 보고,
몸(身)에 의하여 촉감을 느끼고, 마음(意)에 의하여 사상(事象 즉 法)을 식별합니다.
마치 여기 궁전에 앉아 있는 우리가 동, 서,남,북,어느 창문으로든
내다보고 싶은 창문으로 내다 볼 수 있는 것처럼,
안에 있는 생명 원리는 내다 보고 싶은 어느 문으로든지 내다 볼 수 있습니다."
장로는 대답했다.
"대왕이여, 5개의 문에 관해서 말씀해 드리겠습니다.
잘 주의해 들어주십시오.
만일 안에 있는 생명원리가 대왕이 말씀하신 것처럼,
창문을 마음대로 고르듯이 눈에 의하여 형상을 볼 수 있다면,
눈에 의해서 뿐만 아니라 그 밖의 5개의 감관의 하나 하나에 의해서도
형상을 볼 수 있지 않겠습니까?
마찬가지로 소리를 듣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맛을 보는 것, 촉감을 느끼는 것,
사상(法)을 식별하는 것에 있어서도 다른 5개의 감관(感官)의 어느 것에 의해서나
가능하지 않겠습니까?
즉 한 경우만이 아니라 모든 경우를 다 지적해 말할 수 있지 않겠습니까?"
"존자여, 그렇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그대가 말한 것(창문과 감관을 비교하는 것)은
앞 뒤가 잘 들어 맞지 않습니다.
여기 궁전에 앉아있는 우리가 창문을 모두 열어 제치고 얼굴을 밖으로 내밀어
큰 허공을 본다면 모든 대상을 보다 분명하게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마찬가지로 눈의 문이 제거(除去)될 때 안에 있는 생명 원리는 모든 대상을
보다 더 명백하게 볼 수 있지 않겠습니까?
그 뿐 아니라 소리를 듣는 것, 냄새를 맡는 것, 맛을 보는 것,
촉감을 느끼는 것, 사상을 식별하는 것 등의 경우에 있어서도
그 문들이 제거될 때 역시 그렇지 않겠습니까"
"존자여, 그렇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그대가 말한 것은 앞 뒤가 잘 들어 맞지 않습니다.
대왕이여, 여기 딘나(사람 이름)가 밖에 나가 문간에 서 있다고 합시다.
대왕은 딘나가 밖에 나가 문간에 서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십니까?"
"그렇습니다. 알고 있습니다."
"이번에는, 딘나가 다시 돌아와 대왕 앞에 서 있다고 합시다.
대왕은 딘나가 다시 돌아와 대왕 앞에 서 있다는 것을 알겠습니까?"
"그렇습니다. 알고 있습니다."
"대왕이여, 마찬가지로 어떤 맛을 지닌 것이 혀 위에 놓여졌을 때,
식별하는 생명 원리(個我)는 그것이 시다던가 짜다든다 쓰다던가
맵다던가 떫다던가 달다든가 하는 사실을 알겠습니까?"
"알겠습니다."
"그러나, 맛을 지닌 것이 위(胃) 속으로 들어갔을 때도
생명 원리(個我)는 맛을 알겠습니까?"
"그렇지 않습니다."
"대왕이여, 그대 말은 앞뒤가 잘 들어맞지 않습니다.
대왕이여, 가령 어떤 사람이 백 개의 꿀 접시를 꿀통에 쏟은 다음,
어떤 사람의 입을 틀어막고 꿀이 가득들어 있는 그 통 속에 던졌다고 합시다.
통속에 던져진 사람은 단맛이 있는지 없는지를 알겠습니까?"
"존자여, 그는 꿀맛을 모릅니다."
"어째서 모릅니까?"
"꿀이 그 사람의 입속으로 들어가지 않기 때문입니다."
"대왕이여, 그대의 말은 앞 뒤가 잘 들어맞지 않습니다."
"존자여, 나는 그대와 같은 논자에게는 대적할 수 없습니다.
그 도리를 말씀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그래서 장로는 아비담마 론으로부터 도출된 이론으로 써 밀린다 왕을 설득시켰다.
"대왕이여, 눈과 형상(色)에 의하여 눈의 식별작용이 생기고
그 밖에 접촉(觸)과 감수(感受 )와 표상(表象態)과 의사(思)와
통일작용(作意 즉 추상)과 생명감과 주의력 등이 함께 생겨납니다.
그리고 이것들과 유사한 인과(因果)의 연속은
감각 기관이 작용하게 될때 일어납니다.
다시 말하면 모든 사상(事象=法)은 연(緣)을 따라 일어납니다.
그러므로, (거기에) 베다구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