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제록(臨濟錄)

임제록강설/시중12/무비스님

通達無我法者 2007. 8. 29. 18:10
시중  12


13-1 수처작주(隨處作主)하라

師示衆云, 道流 佛法無用功處 祇是平常無事 屙屎送尿하며 著衣喫飯하며 困來卽臥 愚人笑我 智乃知焉이니라 古人云, 向外作工夫 總是癡頑漢이라하니라

임제스님이 대중들에게 말씀하셨다.

“도를 배우는 벗들이여! 불법은 애써 공을 드려서 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평상대로 아무 일 없는 것이다. 똥 싸고 오줌 누며, 옷 입고 밥 먹으며, 피곤하면 눕는 것이다.

어리석은 사람들은 나를 비웃겠지만 지혜로운 이는 알 것이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자신 밖을 향해서 공부하는 사람은 모두가 어리석고 고집스런 놈들이다.’

라고 하였다.”


강의 ; 우리나라 스님들은 임제가풍을 너무 좋아한 나머지 사람이 죽었을 때 영결사나 조사나 추모사를 하는 자리에서도 “할”을 한다.

임제가풍을 쓰고 싶어 몸살이 난 사람들이다.

몸살이 나지 않고서야 간절히 애도를 해야 하는 자리에서 그 같은 “할”을 할 수 있겠는가.

큰스님들의 영결식에 가서 보면 얼마든지 만나는 광경이다.

그런데 그 외의 불교에는 실로 거품이 너무 많다.

위와 같은 임제스님의 올곧은 가르침은 어디 갔는가.

위의 글에서 불교가 무엇이라고 했는가.

“불교는 애써서 공을 드려가며 공부하는 것이 아니다.

그저 평상대로 일없이 인연 따라 살면 된다.

똥 싸고 오줌 누며, 옷 입고 밥 먹으며, 피곤하면 눕는 것이다.”라고 했다.

이제는 공연히 쉬운 불교를 어렵게 만들지 말고 정통 불교로 돌아가서 이와 같이 쉽게 가르쳐야 한다.

이것이 불교의 지름길이다.

성불의 지름길이다.

옛 사람도 ‘자신 밖을 향해서 공부하는 사람은 모두가 어리석고 고집스런 놈들이다.’라고 하지 않았는가.

이제는 불교의 거품을 모두 걷어내고 바른 불교 쉬운 불교 간단한 불교로 가야한다.

참으로 옛 것이 새로운 것이다.

한국불교가 기왕 임제스님의 법을 이어 받았다면 이 임제록으로써 한국불교 개혁의 선언서로 삼았으면 한다.

기억해 둬야 할 구절이다.

불법무용공처 지시평상무사(佛法無用功處 祇是平常無事).

불교를 아주 쉽고 편안하게 하는 가르침이다.


儞且隨處作主하면 立處皆眞하야 境來回換不得하야 縱有從來習氣五無間業하야도 自爲解脫大海니라 今時學者總不識法하고 猶如觸鼻羊 逢著物安在口裏하야 奴郞不辨하며 賓主不分이라 如是之流 邪心入道하야 鬧處卽入이니 不得名爲眞出家人이요 正是眞俗家人이니라

“그대들이 어디를 가나 주인이 된다면 서 있는 곳마다 그대로가 모두 참된 것이 된다.

어떤 경계가 다가온다 하여도 끄달리지 않을 것이다.

설령 묵은 습기와 무간 지옥에 들어갈 다섯 가지 죄업이 있다 하더라도 저절로 해탈의 큰 바다로 변할 것이다.

요즈음 공부하는 이들은 모두들 법을 모른다.

마치 양이 코를 들이대어 닿는 대로 입안으로 집어넣는 것처럼 종과 주인을 가리지 못하며,

손님인지 주인인지를 구분하지 못한다.

이와 같은 무리들은 삿된 마음으로 도[佛敎]에 들어왔다.

그러므로 이해득실과 시시비비의 번잡스런 일에 곧바로 빠져버리니 진정한 출가인 이라고 이름 할 수 없다.

그야말로 바로 속 된 사람[俗人]이다.”


강의 ; 임제록에서 꼭 기억해 두어야 할 구절이다.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

인생을 살아가면서 꼭 잊지 말아야 할 구절이다.

어떤 경우에도 자신을 잃어버리지 말고 상황에 끄달리지 말고,

주체적 인간으로 살면 무엇을 하든 그 하는 일과 그 있는 자리가 모두 진실한 진리의 삶이다.

상황과 처지에 끌려 다니면서 자신을 잊어버리지 말고,

상황과 처지의 주체적 역할을 하라.

어떤 일도 주체적 역할을 할 때 그 일은 곧 온전한 내 일이고, 온전한 나의 삶이다.

이것이 철저히 살고 철저히 죽는 전기생 전기사(全機生 全機死)며,

대기대용(大機大用)의 삶이다.

실로 천고의 명언이다.

이 한마디로 임제는 저 넓은 태평양이고, 허공이다.

수미산 꼭대기고, 히말라야 정상이다.

비상비비상천이고, 수 만 광년 저 바깥이다.

그러나 백보 끌어내려서 이렇게 해석하면 어떨까.

“어디에 가건 지금 있는 그 곳이 바로 자신의 자리다. 그러므로 현재의 위치가 아닌,

지금과는 다른 상황에 처해 있기를 바라고 꿈꾸지 말라.

지금 있는 이 자리가 어떤 상황이든 만족하고 행복하라.

자신이 가고 싶은 곳에 초점을 맞추는 대신,

현재 자신이 있는 곳에 초점을 맞추어 행복을 누리라.

자신이 갖고 있지 않은 것에 초점을 맞추어 언제나 배고픈 아귀가 되지 말고,

자신이 갖고 있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만족하고 넉넉하게 부자로 살아라.”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이 되면 설사 옛날에 익힌 업장과 지옥에 들어갈 다섯 가지, 즉 부모를 죽인 일나, 성인을 죽인 일이나, 부처님의 몸을 헤치거나, 청정한 승단의 화합을 깨뜨리거나 하는 따위의 죄를 지었다 하더라도 저절로 해탈의 대해에 노니는 것이 된다.

설사 인간이 저질을 수 없는 극악무도한 일을 저질렀다 하더라도 그대로 해탈이라는 뜻이다.

어떤 상황에 있든 주인이 되라[隨處作主].

는 말은 타인으로부터 어떤 취급을 받든 자신은 거기에 흔들리지 말라는 뜻이기도 하다.

타인이 나를 때리고 욕하고 비방하고 모함하고 저주하고 질투하고 내 것을 빼앗아 가고 큰 손해를 입히고 훼방하여 큰 곤경에 처하게 하더라도

그것은 그 사람이 하는 일이고 자신은 그것에 동요하지 않고 의연히 대처하는 것,

타인이 하는 일에 끌려가지 않고 분노하지 않고 자신의 본심으로 주체자가 되어 있으면

어떤 상황에서도 다 행복하다.

그것이 진정한 수처작주 입처개진(隨處作主 立處皆眞)다.

자신에게 불이익과 손해가 돌아오고 비방이 돌아오고 하더라도

자신은 그것을 다 받아드리고 그것에 따라 반응할 필요는 없다.

예컨대 손님에게 맛난 음식을 잘 차려 대접하더라도[비방과 손해를 가하더라도] 손님이 그 음식을 먹지 않으면

그 음식은 결국 음식을 차려 대접한 사람에게로 되돌아가고 만다.

그런대 요즘 공부하는 이들은 이러한 마음의 법을 알지 못한다.

마치 양이 풀이고 나무고 가시고 간에 닥치는 대로 먹어치우는 것처럼 아무런 말이나 다 받아드린다.

삿된 말과 마군이의 말을 잘도 받아드린다.

비방과 손해와 때리고 욕하는 일들을 잘도 받아드린다.

분별력이 전혀 없다.

방편과 진실을 전혀 가리지 못한다.

정법과 사법을 전혀 모른다.

그 말 많은 불교를 잘 변별해서 이제는 거품을 걷어내고 적확한 불교를 공부할 때다.

진정견해가 참으로 요구되는 때다.

좀 더 부연해서 말한다면 이런 무리들은 삿된 마음으로 불교에 들어와 있다.

이해득실과 시시비비 등등 정치적이거나 불교 외적인 것들에 열을 올리고 빠져들어

가위 박사가 되어 있다.

불교 외적인 일들을 열거하기로 하면 끝이 없다.

정치문제 사회문제, 경제문제 환경문제, 명성과 이익, 학위나 운동이나,

예술이나 문필이나, 먹 거리 마실 거리 등등 종류도 너무 많다.

이런 것들에 정신이 빠져 있으면서 불교를 운위하는 이들이 의외로 많다.

마치 양이 코를 들이대어 닿는 대로 입안으로 집어넣는 것과 같다.

임제스님은 이런 이들을 “참다운 출가인 이라 할 수 없다.

참으로 속된 사람이며 저질이며 속물 그 자체다.”라고 말씀하신다.

아무리 높은 예술의 경지에 올랐다 하더라도,

또는 영웅호걸의 큰 그릇이라 하더라도 불법지견(佛法知見)과는 차원이 다르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