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문승행록(緇門崇行錄)
1. 청정하고 소박한 수행(淸素行) 제회(齊會)를 하지 않다(不作齊會)
송나라 때 민(旻)이라는 스님은 일곱살에 출가하여 수행하였으나 성실론(成實論) 반야경, 승만경, 십지경둥의 경의(經義)에 밝아 나라에서 으뜸이었으므로 세상에서는 그를 민법사(旻法師)라 하여 존경하였다.
일찌기 철의 당우(堂宇)를 수리 보수하고 경전과 불상을 조성하여 모시는 등 방생과 보시를 널리 행하여 일찌기 이러한 일들을 정성스럽게 행하였다.
하루는 어떤 사람이 와서“화상께서는 일찌기 닦으신 공덕이 많읍니다만 많은 대중을 청하여 음식을 베푸는 대제회(大齊會)를 세웠다는 말은 듣지 못하였으니 아직 복을 짓는 일이 원만하지 못할까 염려스럽습니다” 하니
민스님이 다음같이 말씀하셨다.
“대재(大齊)는 이치를 다 갖추기가 어렵읍니다. 우선 쌀, 채소, 소금, 초, 땔감, 끊은 물, 숯을 소비해야 하는데 이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밟고 씻고 찌지느라고 작은 벌레를 죽이기도 하고 상하게 하기 때문에 하지 않읍니다.
또한 이것을 준비하느라 왕궁과 관청이나 세력있는 집안에 의지하고 구할 경우에는 그 본래의 뜻을 다하기가 더 어렵읍니다. 그러므로 차라리 그만 두는 것만 같지 못합니다.”
운서주 굉스님은 이에 다음같이 찬탄하였다.“요즈음 사람들은 조그만 복된 일을 하는데도 반드시 사람을 모우고 제를 짓느라 번거롭게 하면서 이를 일러 원만한 복이라고 한다. 그럴 뿐 아니라 결사(結社)를 정해 문을 닫아걸고 죽기를 작정하고 참선하는 스님들까지도 이런 일에 나서고 결제 중에도 이런 일이 없나 하고 결제 회향할 것을 주야로 궁리하면서 미리 재회를 준비하느라고 다시 바른 생각이 없다. 아! 민법사의 말씀은 참으로 만세의 귀감이로다.”
2. 시주를 받는 데로 흩어버리다
양(梁)나라 때 혜개(慧開)스님은 오군(吳郡)의 해염(海鹽) 사람이다. 일찌기 장(藏)법사와 민(旻)법사 두분에게서 경론을 차례로 듣고서 강연(講演) 잘 하기로 당대의 명성을 날렸다.
예장(豫章)의 군수인 사혜(謝慧)가 스님께 경전을 강설해 주시기를 청하면서 후하게 예물로 사례금을 드렸다. 그러나 스님께서는 예장군 읍에 도착하지도 않아서 다 흩어주고 말았다.
어느 때 진안(晋安)의 군수인 유업(劉業)도 시주금 일만관을 보내 주었는데 스님은 즉시 가난하고 측은한 사람을 도와 주느라 하루가 다 지나지 않았다.
이렇듯 스님의 성정(性情)은 소탈하고 너그러워서 외형적인 모양 꾸미기를 싫어하였는데 의복에 때가 끼었어도 일찍기 빨래할 생각을 내지 않았다.
후학 운서주 굉은 찬탄하여 말한다.“법을 강론하면서 돈을 보내도 받지 않으니 이것이 바로 법시(法施)로다”
아! 어찌하여 사람 사람이 법보시를 혜개처럼 할 수 있을까!
3. 벌레 울고 티끌 쌓이다(蟲嗚塵積)
양나라의 도초(道超)스님은 영기사(靈基寺)의 민법사를 따라 수학하였다.
스님은 방에 홀로 계시면서 손님은 물론 도반까지도 물리쳤다. 청소하지 않아서 티끌은 방안에 가득하고 귀뚜라미는 벽에서 울었다.
중서랑(中書郞)인 장솔(張率)은 말하기를
“벌레 우는 소리는 귀가 따갑고 먼지는 쌓여 무릎이 묻힐 지경입니다. 어찌 이것을 마주하고도 마음에 거슬림이 없읍니까?” 하니 스님이 답하였다.
“때로 벌레 우는 소리를 들으면 피리소리를 대신하기에 충분하고 티끌이 바람 따라 날아와도 나는 아직 청소할 겨를이 없었소. 다만 그대의 마음을 거슬리게 하였다니 부끄러울 뿐이오”
이에 장솔이 크게 탄복하였다.
4. 좌계존자 자취를감추다(左溪遁跳)
당나라 현랑(玄朋)스님은 부대사(傳大士)의 육대 법손이다.
항상 검소하고 겸손하여 언제나 바위에 의지하고 시냇가에 살았으므로 두타행자 좌계존자(左溪尊者)라고 불렀다.
바위에 의지하고도 편안하였으며 스스로 법계가 넓다고 여겼으며 한 별 법복으로 40여년을 입었고 한 개 좌복을 평생토록 바꾸지 않았다. 경전을 독송할 때가 아니면 가벼이 초 한자루도 켜지 않았으며 부처님께 예불하지 않을 때면 한 걸음도 망녕되게 걷지 않았다.
발우를 씻으면 뭇 원승이들이 다투면서 발우를 받들었고 경을 소리내어 얽으면 뭇 새들이 어지럽게 날아와 그 소리를 들었다.
자사(刺史)인 왕정용(王正容)이 누차 성에 들어 오시기를 청하였으나 스님은 가시려 하지 않으시고 끝까지 병을 핑게하고 사양하였다.
찬탄하여 말한다.“요즈음 사람들은 영가스님이 답장한 편지만 읽고서 현랑스님을 멸시하여 편벽할 견해와 같다고 하니 영가스님이 한 때 견책한 말임을 알지 못한 소치다. 좌계존자가 남긴 모범은 참으로 배우는 사람들이 본 받을 만한 일이니 눈을 크게 뜨고 살필 일이다.
5. 돈을 떨어뜨려도 뒤돌아보지 않다(遺錢不顧)
수나라 부상(富上)스님은 익주지방의 정덕사(淨德寺)에 의지하여 머물고 있었다.
스님은 큰 삿갓을 길 옆에 걸어놓고 그 그늘 아래에 앉아서 경전을 읽었다. 사람들이 왕래하여도 시주하라고 권하지도 않았으며 혹 시주자가 있다 해도 특별히 주문을 외우거나 축원해 주지도 않았다. 길에 다니는 사람이 없어 조용하였으므로 여러 해 동안을 지나도 모아 놓은 것이 없었다.
사람들이 말하기를
“성의 서북쪽에는 사람들이 많이 왕래하니 보시가 많을 것인데 어찌하여 여기에 계십니까?”
하니 스님이 답하기를
“한푼 두푼이면 몸과 목숨을 지탱하기에 충분한데 다시 많은 돈이 필요하겠는가?”
능주자사(陸州刺史)인 조중서(趙件舒)라는 자는 삼대째나 내려오는 탐혹한 관리였다. 그는 불심도 없고 신심도 없었기에 스님의 소문을 듣고 일부러 가서 시험하였다.
말을 타고 스님 앞을 지나면서 거짓으로 돈꿰미를 떨어뜨렸으나 부상스님은 보는 척도 하지 않았다. 한참있다가 조중서가 사람을 보내 돈을 가져오게 할 때도 부상스님은 조그만 미동(徵動)도 볼 수 없었다.
조중서가 스님에게 묻기를
“그대는 종일토록 얻는 것이 겨우 한푼인데 땅에 떨어진 돈꾸러미를 보고도 어찌 미동도 하지 않는가" 하니
“그것은 빈도(負道)의 물건이 아닌데 무엇 때문에 망령되이 욕심을 내겠는가”
그러자 조중서는 말에서 내려와 예배하며 사례하고 탄복하며 갔다.
6. 의복과 양식을 축적하지 않다(不畜衣糧)
당나라 통혜(通慧)스님은 나이 삼십에 출가하여 태백산으로 들어가 배고프면 열매를 따먹고 목마르면 흘러가는 시냇물을 마시고 피로하면 나무에 기대고 쉬었다. 앉으나 서나 오직 선을 생각하며 5년을 지냈다.
하루는 나무 토막으로 흙덩이를 쳤는데 흙덩이가 부서지는 것을 보고 활연히 크게 깨달았다.
만년에도 한 벌의 옷과 한 채의 이불 뿐이었으며 삼으로 삼은 신을 이십여 년이나 신었고 베옷 누더기는 겹겹이 기웠으며 겨울이나 여름이나 바꿔 입질 않았다.
7 돈을 보시 받고도 기억하지 않다(親施不憶)
당나라 정림(靜琳)스님은 경조군(京兆都) 화원(華原)의 사람이다. 도풍이 이미 알려져서 보시물이 매일같이 도착되었다. 이를 모두 시중드는 사람에게 맡겨버리고는 두번 다시 묻는 일이 없었다.
뒤에 불사를 하려고 하여도 재산이 없음을 한탄하니 시중드는 사람이 그 보시물을 내놓았다.
정림스님은 놀라며 “도무지 이것이 어디에서 생겼소 나에게는 기억조차 없었는데”라고 하였다.
스님은 평생토록 옷이 헤어지면 종이로써 꿰메 입는 철저한 두타행을 실천하셨다.
8. 문을 닫지 않다(門不掩閉)
당나라 지측(智則)스님은 옹주(雍州)의 장안 사람이다. 성품이 소탈하여 얽매이지 않았으며 항상 헤어진 누더기를 입었는데 아래 옷은 무릎 위까지 올라와 있었다. 거처하는 방은 겨우 한 개의 침상뿐이였으며 질그릇 발우와 나무로 깎은 수저 이외에는 다른 물건이 없었다. 방에 거처하면서 문을 닫지 않았으니 대중들은 그를 미치광이라고 하였다.
지측스님은 탄식하여 이렇게 말하였다
“남을 미치광이라고 말하는 사람은 자기가 미치광이임을 알지 못한다. 출가하여 세속을 떠나도 의복과 음식 때문에 가고 머무는데 가리고 막힌다. 문에는 자물쇠를 채우고 상자는 단단히 봉함하느라고 시간을 허비하고 업(業)을 혼란하게 한다. 또한 갖가지를 거두어 모으는 수고로움으로 편안하지 못하다. 이를 두고 미치광이라 하지 않는다면 다시는 미치광이라고 할 사람이 없으리라”
9. 종이라고 의심하다(人疑僕從)
당나라 승원(承遠)스님은 처음 성도(成都)에서 수학하였고 그 후에는 형산(衡山)의 서남쪽 바위굴에서 거처하였다. 사람들이 그에게 음식을 보내주면 먹고 보내주지 않으면 풀이나 나무열매를 먹을 뿐이었다.
그의 높은 도를 흠모하는 사람이 하루는 벼랑의 골짜기로 찾아 갔더니 형체는 파리하고 얼굴에는 때가 끼어 더러웠으며 몸소 땔감을 젊어지고 있었으므로 찾아간 사람은 스님의 이런 모습을 보고 시종하는 사람이라고 여겼다.
대종(代宗)황제가 그의 명성을 듣고, 사는 고을을 반주도량(般冊道場)이라고 이름지어 하사하였다. 세상에서는 그를 염불종의 삼조(三祖)라고 불렀다.
한탄하여 한 마디 부친다.
“띠풀을 얽어매어 지은 요임금의 집촌 집인가 의심하고, 의복이 남루했던 우임금의 자취 야인인가 의심한다. 하물며 부처님 제자로서 발우와 누더기로 몸을 지탱하는 자이겠는가.
요즈음 사람들은 복식이 화려함을 뽑내고 사치하고 종까지 둔다. 또한 사람들이 알아주지 않을까 염려하고 의기양양하게 마을 집을 지나가는 이가 있으니 참으로 가소롭다. 이를 본받아 조금이라도 부끄러워해야 하리라.”
※편집후기
그 동안 연재되었던 “불교의 근본사상”은 l5회로써 끝을 맺고 운서주핑(雲樓洙宏)스님이 지으신 치문승행록(緇門崇行錄)을 큰스님께서 연전에 구술(口述)하신 것을 다시 옮겨서 연재하게 되었읍니다.
이는 옛사람의 행적을 배움으로써 승가생활의 생명인 겸 손과 소박함을 배우고 불자들의 삶이 청정해지도록 하고자 함이니 해인가족 여러분의 많은 성원 있기를 바랍니다.
'성철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철스님] 치문승행록(緇門崇行錄)-어려서 실없는 일과 노는 것을 끊다 (0) | 2007.11.23 |
---|---|
[성철스님] 치문승행록-연잎 옷을 입고 솔잎을 먹다(蓮衣松食) (0) | 2007.11.23 |
[성철스님] 중도(中道)를 바로 깨치자 (0) | 2007.11.23 |
[성철스님] 매이지 않고 여의지 않는 영원한 진리 (0) | 2007.11.23 |
[성철스님] 매이지 않고 여의지 않는 영원한 진리 (0) | 2007.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