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심신(死心新)스님의 말씀
사심신(死心新)스님의 말씀
1
사심 신(死心新)스님이 말하였다.
법수 원통(法秀圓通)스님이 말하기를
“자신은 올바르지 못하면서 다른 사람을 바로잡으려는 자를 ‘덕(德)이 없다’ 하고, 자신은 공순하지 못하면서 다른 사람을 공순하게 하려는 자를 ‘예(禮)를 모른다’고 한다.” 하였다.
선지식으로서 덕을 잃고 예의에 어긋났다면 무엇으로써 후학에게 모범을 보이겠는가.
2
사심스님이 진형중(陳瑩中)에게 말하였다.
“대도(大道)를 구하고자 한다면 우선적으로 마음을 바로잡아야 합니다. 조금이라도 노한 마음에 막혀 있으면 정도(正道)를 찾기 어렵고, 약간의 기욕(嗜慾)만 있어도 바르게 되지 못합니다.
그러나 자신이 세상에 응해주는 성현 정도가 되지않고서야 어떻게 희노애오가 없을 수 있겠읍니까.
다만 ‘이런 일은 성인이나 하는 것’이라고 멀리 제껴 두어서 정도(正道)를 해치지만 않는다면 이쯤으로 되었다 하겠읍니다.”
3
사심스님이 말하였다.
단속〔節檢〕과 자재〔放下〕가 도에 들어가는 데에 가장 첩경이다.
마음으로 통하려 하나 통하지 못하고 마음으로는 깨우쳤다 하더라도 말이 제대로 트이지 못하는 납자를 많이 보게 된다. 누구라서 옛사람을 계승하고 싶지 않겠는가만 단속과 자재를 놓고 보자면 만에 하나도 없다. 이를 세속에 비하자면 젊은이가 책은 읽으려 하지 않으면서 관리가 되고자 하는 것과도 같으니, 삼척동자라도 반드시 되지 않으리라는 것을 안다.
4
사심스님이 담당(湛堂)스님에게 말하였다.
납자 중에서 재식(才識)과 충신절의(忠信節義)가있는 자가 제일가고, 재주는 높지 못해도 근실하고 도량이 있는 자는 그 다음쯤이다. 혹 삿된 마음으로 기웃거리다가 형편 따라 태도를 바꾸는 이가 있다면 진실로 소인이다. 이런 이를 대중 속에 방치해 둔다면 반드시 총림을 파괴하고 불법 문중을 모독할 것이다.
5
사심스님이 초당(草堂)스님에게 말하였다.
주지하는 직책은 언행의 요점이 성신(誠信)에 있다.
말이 진실하고 믿음이 있으면 느껴지는 바가 반드시 깊을 것이며, 말이 성실하지 못하면 받는 느낌도 따라서 대수롭지 않을 것이다. 진실하지 못한 말과 미덥지 못한 일은 평소 일반 세속에서도 차마 하지 못하는 것이니, 마을 사람들을 기만한다고 보일까 염려되기 때문이다.
더구나 총림의 주지가 되어 불조를 잇고 교화를 선양하면서 말과 행동에 진실과 믿음이 없다면 강호의 납자들 중에 누가 따르겠는가.
6
사심스님이 말하였다.
이익을 구하는 자는 도와 함께 하지 못하고, 도를 구하는 자는 이익과 함께 하지 못한다. 옛사람은 둘다 할 능력이 없었던 것이 아니라 그럴 형편이 못되었기 때문이다.
가령 이익과 도가 함께 되어지는 것이라면 장사치 백정 여염집 행상꾼들도 모두가 도를 구할 수 있었을 텐데, 하필이면 옛사람은 부귀와 공명을 버리고 심산유곡에 들어가 번뇌를 끊고, 시냇물을 마시고 나무 열매를 먹으며 일생을 마쳤겠는가.
‘이익과 도는 상반되는 것이 아니다’고 끝내 말한다면 물이 새는 호로병으로 뜨거운 가마솥을 식히려는 것처럼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7
사심스님이 취암(翠巖)에 머물면서, 각범 (覺範)스님이 남해로 귀양가다가 남창(南昌)을 지난다는 소문을 듣고, 산중으로 일부러 맞이하여 여러날을 대접하고 후한 예의로 전송하였다. 이 일로 어떤 사람이 사심 스님에게 희로의 감정이 일정치 않다고 하자, 스님은 말하였다.
“각범스님은 도덕 있는 납자이다. 지난날 그에게 모난 성미를 버리라고 극언을 했으나 지금 뜻밖의 일에 걸리고 말았다. 이렇게 된 것은 그의 타고난 분수이고 나는 평소 총림의 도의로 그에게 처신하였을 뿐이니, 식견 있는 자라면 내가 다른 사람에게 사사로운 마음이없기 때문에 이렇게 대할 수 있었다고 생각할 것이다.”
8
사심스님이 초당선청(草堂善淸)스님에게 말하였다. 회당선사께서는 이런 말씀을 하셨다.
“사람의 마음이 관대하고 후한 것은 천성이니, 억지로 사납게 하면 반드시 오래가지 못한다. 매섭게 하여 오래가지 못하면 도리어 소인에게 업신여김을 당한다.
그러나 아주 삿되거나 바른 경우와 극악 극선한 경우는 본래부터 그런 것이므로 모두가 변화되기 힘들다. 오직 중간 정도의 성품은 올라가기도 쉽고 내려가기도 쉬우므로 따라서 교화할 만한 것이다."
'성철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철스님] 선림보훈집(禪林寶訓集) - 산당도전(山堂道震)스님의 말씀 (0) | 2007.11.23 |
---|---|
[성철스님] 선림보훈집(禪林寶訓集) - 초당선청(草堂善淸)스님의 말씀 (0) | 2007.11.23 |
[성철스님] 선림보훈집(禪林寶訓集) - 설당도행(雪堂道行) 스님의 말씀 (0) | 2007.11.23 |
[성철스님] 선림보훈집(禪林寶訓集) - 귀운여본 (歸雲如本)스님의 말씀 (0) | 2007.11.23 |
[성철스님] 자기들의 생일을 온 우주가… (0) | 2007.11.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