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碧巖錄)

제87칙 운문의 자기〔雲門自己〕

通達無我法者 2008. 3. 3. 13:48
 

 

 

제87칙 운문의 자기〔雲門自己〕


(수시)

눈 밝은 사람은 구태의연한 틀〔窠臼〕에 빠지지 않는다. 때로는 고봉정상(孤峰頂上)에서 자욱하게 교화하기도 하고 때로는 저자 속에 살면서도 발가벗은 듯이 반연을 털어버리기도 한다.

홀연히 성난 아수라처럼 세 머리에 여섯 개의 팔을 나타내기도 하고, 갑자가 일면불 월면불(日面佛月面佛)처럼 두루 자비의 광명을 놓아 포섭하며, 한 티끌에서 일체의 몸을 나타내어 갖가지의 인간들이 수준에 맞추어주느라 흙투성이가 되기도 한다.

홀연히 향상의 구멍을 열어젖히면 부처님의 눈으로도 엿보지 못하며, 설령 많은 성인이 출현해도 반드시 3천 리 정도나 거리가 멀다.

이를 함께 얻고 함께 깨친 자가 있느냐? 거량해보리라.


(본칙)

운문스님이 대중 법문을 하였다.

“약과 병이 서로 딱딱 맞으니〔相治〕

-딱 붙어 하나가 된 것은 어찌할 수가 없다.


온 대지가 약이다.

-쓴 외는 뿌리까지 쓰다. 반쪽만 열었다.


어느 것이 자기이겠느냐.”

-단 외는 꼭지까지 달다. 어디에서 이런 (훌륭한) 소식을 얻었을까?


(평창)

운문스님이 말하기를 “약과 병이 서로 딱딱 맞으니, 온 대지가 약이다. 어느 것이 자기이겠느냐”고 하였는데, 여러분은 이 말에서 벗어날 수 있는가? 하루종일 확실하게 천 길 벼랑 위에서 있는 것처럼 하라.

덕산스님이 비오듯 방망이로 쳤고, 임제스님이 우레처럼 일갈(一喝)을 질렀던 것은 그만두기로 하자. 석가는 본래 석가이고, 미륵은 본래 미륵이다. 이의 귀착점을 모르는 자는 늘상 약과 병이 서로 딱 들어맞는 것으로 알고 있다.

세존께서 49년간 3백여 회 당면한 문제에 따라 설교하셨다. 이는 모두가 병에 따라 약을 베푼 것이다. 이는 꿀처럼 단 과일을 쓴 외와 바꾸는 것처럼, 그대의 업근(業根)을 없애주어 말끔하고 고고하게 한 것이다.

“온 대지가 약이다”라고 하였는데 여러분은 어느 곳에 입을 대겠는가? 입을 댈 수 있다면 그대들에게 몸을 비껴 숨을 쉴 수 있어 운문스님을 친견했다고 인정하겠노라. 그대가 두리번거리거나 주저한다면 입을 대려 해도 댈 수 없고 운문스님이 그대의 발밑에 있을 것이다.

“약과 병이 서로 딱딱 들어맞는다”는 말은 일상적으로 쓰는 이야기이다. 그대들이 ‘유(有)’에 집착하면 ‘무(無)’를 말해주며, ‘무(無)’에 집착하면 ‘유(有)’를 말해주며, 여러분이 ‘유’도 아니고 ‘무’도 아니라는 데에 집착하면 그대에게 똥더미 위의 장육금신(丈六金身)으로 출현하신다. (그대들을 위해) 자유롭게 나타나시느니라.

이제 온 대지의 삼라만상과 자신까지 동시에 모두 약이다. 이러할 경우에 무엇을 자기라 하겠느냐? 그대가 그저 약인 줄만 알았다가는 미륵불이 하생한다 한들 꿈속에서도 운문스님을 알지 못할 것이다. 결국은 어떻게 해야지만 취지를 파악하여 저울 눈금을 잘못 계산하지 않을까?

하루는 문수보살이 선재(善財)에게 약을 캐러 보내면서 말하였다.

“약이 아닌 것을 캐어 오너라.”

선재를 두루 돌아다녔지만 모두가 약이었다. 다시 되돌아와 아뢰었다.

“약 아닌 것이 없더이다.”

“약을 캐어 오너라.”

선재가 한 줄기 풀을 집어 문수보살에게 건네주자, 문수보살은 이를 대중에게 들어 보이면서 말하였다.

“이 약은 사람을 죽일 수도, 살릴 수도 있다.”

“약과 병이 서로 딱딱 들어맞는다”는 화두는 가장 깨닫기 어렵다. 운문스님은 방장실에서 평소 이를 가지고 사람을 제접하였다.

하루는 금아장로(金鵝長老)가 설두스님을 방문하였다. 그는 영리한 작가로서 임제스님 회하의 존숙이시다. 설두스님과 함께 “약과 병이 서로 딱딱 들어맞는다”는 화두를 가지고 밤새도록 의론하고서야 그 훌륭한 점을 다할 수 있었다. 여기에 이르러 학문으로 이해한다거나 사량한다거나 계교하는 것은 전혀 쓸모없다.

설두스님은 그뒤에 송을 지어 그를 전송하면서 다음과 같이 읊었다.


   가장 알기 어려운 건 약과 병이 딱딱 들어맞는다는 말

   만 겹의 관문 전혀 단서가 없다.

   금아 수행인이 찾아와

   하룻밤을 지새우며 학문바다 말려버렸네.


설두스님은 뒤에 송을 했는데 참으로 훌륭한 솜씨가 있다. 그 송 속에는 빈(賓)에도 있고 주(主)에도 있다. 누구든지 알 수 있다. 송은 다음과 같다.


(송)

온 대지가 약인데

-누구에게 (이 말의) 옳고 그름을 가려내게 할까? 모래를 뿌리고 흙을 뿌린다. 높은 곳에 올려둬라!


예나 제나 왜 이처럼 크게 잘못들 하는지,

-말씀이 심금을 울리는구나. 붓 한 번 그어 처리하는군. 쯧쯧!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들지 마라.

-대단한 설두스님도 대중을 위해 힘을 다했으나 재앙은 자기에게로부터 나온다는 것을 몰   랐군. 말끔하여 실오라기 하나 걸리지 않았다. 누가 부질없이 애를 쓰는가? 귀신의 굴 속에   서 살림살이를 하는구나.


큰길은 원래 드넓어라.

-발밑이 풀 속으로 들어가버렸다. 말을 올라타고서 갈길을 본다. 자유자재하니 참으로 기특하다.


위험, 위험!

-쌍검이 허공을 날아갔다. 한 개의 화살로 한 쌍의 독수리를 떨어뜨렸다.


콧대를 하늘 높이 세웠지만 역시 뚫리고 말았군.

-머리가 떨어졌다. (원오스님은) 치면서 말한다. 뚫려버렸다.


(평창)

“온 대지가 약인데 예나 제나 왜 이처럼 크게 잘못들 하는지”라고 하였는데. 그대들이 이를 약으로 안다면 예로부터 지금까지 모두 잘못된 것이다.

설두스님은 “어떤 녀석은 대매(大梅)스님의 다리를 잘라버릴 줄은 모르고, (대매스님이) 그저 길 떠나기만을 너무나 서둘렀다고 말들 한다”고 하였다. 그(설두스님)가 이처럼 운문스님의 다리를 잘라버린 것은, 운문스님의 이 한 구절이 천하 사람들을 어지럽히기 때문이다. 운문스님은 말했다. “주장자가 (본분의)물결이라면 그대의 종횡무진을 인정하겠으며, 온 대지가 (본분의) 물결이라면 그대의 자유자재로운 출몰을 보리라.”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들지 마라. 큰길은 원래 드넓다”고 하였는데, 설두스님은 그대를 위해 가느다란 (방편의) 의 한 가닥의 길을 터놓았다. 그대가 문을 닫고 수레를 만들어 문 밖에 나아가보니 여늬 수레바퀴와 똑같다면 무슨 일을 할 수 있겠는가? 나는 여기에서 문을 닫고 수레도 만들지 않으므로 문을 나서도 자연 드넓다.

그는 여기에서 약간의 빈틈을 노출시켜 사람들로 하여금 이를 깨닫도록 하였다. 그리고 또한 뒤이어서 허겁지겁 “위험, 위험!”이라고 말하였다. 앞에서도 위험하였고 뒤에서도 위험하였으니, 설두스님이 한 가닥 길을 열어놓았던 것 또한 그것이 설두스님의 잘못임을 어느 누가 알 수 있겠는가? 이미 이처럼 콧대는 하늘을 휘두를 만큼 의기양양한데, 무엇 때문에 콧대가 꺾여버렸을까?

이를 알려고 한다면, 30년은 더 참구하여라. 그대에게 주장자(선승다운 기풍)가 있다면 내가 그대에게 주장자를 주겠지만 없다면 남에게 콧구멍을 뚫리는 것을 면치 못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