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碧巖錄)

제100칙 파릉의 취모검〔巴陵吹毛〕

通達無我法者 2008. 3. 3. 14:26
 

 

 

 

제100칙 파릉의 취모검〔巴陵吹毛〕


(수시)

인(因)과 과(果)를 거두어 묶어두고 처음과 끝을 다하였으니, 마주함에 사사로움이 없어 원래 일찍이 말한 적이 없다.

홀연히 한 사람이 나오며 말하였다.

“한여름 결제 동안 법문을 하셨는데 무슨 까닭에 ‘일찍이 말하지 않았다’고 하십니까?”

“그대가 깨달을 때 말해주리라.”

말해보라, 이는 그 눈앞에서 숨긴 것인가, 아니면 따로이 뭐 특별한 것이 있는가를. 거량해보리라.


(본칙)

스님이 파릉스님에게 물었다.

“어떤 것이 취모검(吹毛劍)입니까?”

-베었다. 준험하군.


파릉스님이 말하였다.

“산호의 가지 끝마다 달이 달려 있구나.”

-광채가 만상(萬像)을 비추는군. 4해 9주(四海九州)에 광명이 있다.


(평창)

파릉스님이 창칼을 쓰지 않았는데도 온 세상 적잖은 사람들의 혓바닥이 땅에 떨어졌다. 운문스님이 사람을 제접하는 법이 이와 같은데, 그(파릉스님)는 운문스님의 적자였으며, 또한 각기 책략을 갖추고 있기에 “나는 소양(韶陽 : 운문스님)의 신정기(新定機)를 좋아한다. 그는 일생 동안 사람이 못과 쐐기를 뽑아주었다”라고 하였는데, 이 화두가 바로 이러한 경지였다. 이 한구절에 자연 세 구절 즉, 하늘과 땅을 뒤덮는 구절〔函蓋乾坤〕, 모든 사량분별을 끊는 구절〔截斷衆流〕, 상황에 맞추어 설명하는 구절〔隨波逐浪〕을 갖추고 있다. 대답 또한 기특하였다.

부산(浮山)의 원록공(遠錄公)이 말하였다.

“깨치지 못한 사람이 어구〔句〕를 참구하는 것은 뜻〔意〕을 참구하는 것만 못하나, 깨친 사람은 뜻을 참구하는 것이 어구를 참구하는 것만 못하다.”

운문스님 회하의 세 큰 스님은 무두 취모검에 대하여, “요〔了〕!”라고 하였는데, 파릉스님의 대답은 ‘요(了)’자를 능가하니, 이것이 바로 훌륭한 어구이다.

말해보라, ‘요(了)’자와 ‘산호의 가지마다 달이 달려 있다’는 말은 같이 것인지, 아닌지를.

앞(제27칙)에서 “삼구(三句)를 분별하고 한 화살촉이 허공을 끼고 돈다”고 말한 바 있다. 이 화두를 알고자 한다면 반드시 알음알이〔情塵〕와 의식〔意想〕을 말끔히 끊어 없애야만이 비로소 산호의 가지 끝에 매달린 달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만일 이러쿵저러쿵 말을 한다면 더더욱 찾으려 해도 찾을 수 없을 것이다.

이 구절은 선월(禪月)스님이 벗을 그리며 읊은 시에서 나온 말이다.


두껍기로는 철위산 위의 무쇠와 같고

얇기로는 쌍성선(雙成仙)의 몸에 걸친 비단 같아라.

촉 지방의 비단 위에 수놓은 봉황 무늬, 사르르 움직이고

산호의 가지마다 달이 달려 있구나.

왕개(王凱) 집안 숨긴 보물 찾기 어렵고

굶주린 안회(顔回)는 눈이 올까 걱정하네.

고회(古檜)의 곧은 붓은 우레에도 꺾이지 않고

설의석녀(雪衣石女)는 하늘 복숭아 반쪽을 쪼개어서

반쪽 복숭아 몸에 차고 느릿느릿 용궁 가니

비단 주렴 은 자리는 왜 그리도 들쑥날쑥

모르겠구나.

검은 용이 여의주 잃은 것을 아는지 모르는지.


파릉스님이 위의 시구 중에서 한 구절을 인용하여 취모검에 대답을 하니 명쾌하구나. 칼날 위에 솜털을 올려놓은 후에 이를 입으로 불어 솜털이 잘리면 이는 매우 예리한 칼이므로 이를 취모검이라 한다. 파릉스님은 그의 물음에 바로 답변하니, 스님의 머리가 떨어졌는데도 그는 몰랐었다. 송은 다음과 같다.


(송)

공평하지 못한 일을 공평하게 하려는

-하루살이〔蚍蜉〕처럼 미세하구나. 대장부라면 반드시 이러해야지.


못난 듯 뛰어난 솜씨여!

-소리와 모습에 (현혹되어) 움직이지 않는다. 몸은 숨겼으나 그림자가 보이는구나.


혹은 손가락에 혹은 손아귀에 나타나

-살펴보라. 과연 이는 옳지 않다.


하늘까지 뻗치는 칼은 서슬이 시퍼렇군.

-베어라. 엿보았다 하면 눈이 먼다.


훌륭한 대장장이라도 갈지 못하고,

-다시 담금질하여 무엇 하려고 간장(干將)의 보검도 상대할 수 없다.


뛰어난 기술자일지라도 털고 닦느라 쉬지 못하네.

-사람들이 지나갈 수 없다. 설령 간장의 보검을 꺼내온다 해도 3천 리는 도망쳐야 한다.


좋구나, 좋구나.

-쯧쯧 ! 뭐 별거 있나. 찬탄할 만하다.


산호의 가지마다 달이 달려 있구나.

-3경(三更)에 달이 지고 쓸쓸한 연못에 그림자 비친다. 말해보라, 어느 곳으로 갔는가? 곧   천하가 태평하겠군. 술취한 뒤에 어설프게 남을 근심시키는군.


(평창)

“공평하지 못한 일을 공평하게 하려 하는 못난 듯한 뛰어난 솜씨여!”라는 것은, 옛날 어느 협객이 길에서 강한 사람이 악한자를 능멸하는 공평하지 못한 일을 보고서 곧바로 칼을 날려 강한 자의 목을 잘라버렸다. 그러므로 종사(宗師)들은 눈썹 속에는 보검을 감춰두고 소맷자락에 무쇠 철퇴를 넣고 다니며 공평하지 못한 일을 결단해준다.

  “못난 듯 뛰어난 솜씨여!”라는 파릉스님의 답은 불공평한 일을 공평하게 하려는 데 있는데 그의 말이 너무나 교묘하여, 도리어 못난 듯한 것이다. 왜냐하면 그 자리에서 바로 휘두르지 않고 외진 곳에서 보이지 않게 사람의 머리를 잘라, 사람들이 미처 느끼지 못하게 했기 때문이다.

“혹은 손가락에 혹은 손아귀에 나타나 하늘까지 뻗치는 칼은 서슬이 시퍼렇군”이라는 말을 안다면 마치 하늘을 기댄 장검에 늠름한 위엄이 서린 것 같다. 옛사람(반산스님)의 말에


마음 달이 호젓이 둥글어

빛이 만상을 비추네.

빛은 경계를 비추지 않고

경계 또한 있지 않다.

빛과 경계를 모두 잊으니

무슨 물건이 있으랴.


라고 하였다. 이 보검이 손가락에 나타나기도 하고 홀연히 손아귀에 나타나기도 한다는 것이다.

옛날 경장주(慶藏主)가 이를 말하다가 손을 세우고서 말하였다.

“보았느냐, 꼭 손과 손가락 위에 있다는 것은 아니다.”

설두스님은 남의 길을 빌려 지나가면서 그대들에게 옛사람의 뜻을 보여준 것이다. 말해보라, 모든 곳이 다 취모검이다. 그러므로 “세 단계로 된 폭포를 뛰어올라 물고기는 용으로 변화했는데 어리석은 사람은 깊은 밤에 연못 물을 퍼낸다”고 하였다.

「조정사원(祖庭事苑)」에 기재된 효자전(孝子傳)에서는 다음과 같이 말하였다.

초왕(楚王)의 부인이 여름에 시원한 곳을 찾아서 쇠기둥을 껴안았는데 이에 교감(交感)된 바 있어 임신을 하였다. 그후 하나의 무쇳덩이를 낳았는데, 초왕은 간장(干將 : 벼슬이름)에게 칼을 만들도록 하였고, 삼년 만에 두 자루의 칼이 완성되니, 하나는 암컷, 하나는 수컷이었다. 간장은 수칼은 몰래 숨겨두고 초왕에게 암칼만을 올렸다. 이에 초왕은 이를 칼집에 잘 넣어두었는데, 항상 슬피우는 울음소리가 들려오자, 왕이 여러 신하들에게 이를 물으니, 어느 신하가 말하였다.

“검에는 암수가 있는 법인데, 우는 이유는 수놈을 그리워해서 그러는 것입니다”고 했다.

왕은 크게 성을 내어 간장을 잡아 죽이려고 하니, 간장은 이를 알고서 칼을 기둥 속에 숨겨두고 아내 막야(莫耶)에게 유언을 남기었다.


해가 북쪽 창에서 떠오르니

남산의 그 소나무라.

소나무는 돌에서 나니

칼은 그 가운데 있다.


그의 아내는 그 뒤 사내아이를 낳고 미간적(眉間赤)이라 이름하였다. 아이의 나이 열다섯이 되자, 어머니에게 물었다.

“아버지는 어디에 계십니까?”

어머니가 지난 일을 말해주자, 오랜 동안 유언을 생각하더니, 기둥 사이에 있는 칼을 찾아내어 밤낮으로 아버지의 원수를 갚으려 하였으며, 초왕 또한 그를 찾고자 “미간적을 잡는 자에겐 후한 상을 내리겠다”는 현상금을 선언하여, 미간적은 마침내 도망을 하였다. 얼마쯤 지나가자 어느 길손이 말하였다.

“그대는 미간적이 아닌가?”

“그렇소만…….”

“나는 증산(甑山) 땅 사람인데, 그대를 위해 아버지의 원수를 갚아줄 수도 있다.”

“아버님은 지난날 허물이 없었는데 억울하게 형벌을 당하였습니다. 그대가 그처럼 은혜로 베풀어준다 하니, 무엇이 필요합니까?”

“그대의 머리와 칼이 있어야 한다.”

미간적이 칼과 머리를 잘라주자, 객은 이를 가지고 초왕에게 올리니, 초왕은 몹시 기뻐하였다. 이에 객이 “그의 머리를 기름에 삶으십시오”라고 하여, 마침내 가마솥에 머리를 던져 넣었는데 객이 거짓〔詒〕으로 “머리가 문드러지지 않는다”고 하니, 왕이 몸소 임하여 살피려 하자, 객이 뒤에서 칼을 들어 왕의 머리를 베어 가마솥에 던지자 이때에 두 개의 머리가 솥 안에서 서로 물어뜯으며〔囓〕싸웠다. 객은 미간적이 이기지 못할까를 염려하여 그를 돕고자 자신의 목을 찔러 솥에 던지니 세 개의 머리가 서로를 물어뜯다가 한참 후에 모두 문드러졌다 한다.

설두스님이 “하늘까지 뻗치는 칼은 서슬이 시퍼렇군”이라 한 것은 흔히 말하는 “하늘을 기댄 장검의 시퍼런 광채가 눈을 비춘다”는 것이다. 이 칼은 비록 훌륭한 대장장이라도 연마하지 못하고, 비록 뛰어난 기술자로서도 털고 닦기를 그만둘 수 없다. 뛰어난 기술자란, 바로 간장(干將)이다. 고사(故事)에 잘 드러나 있다.

설두스님이 송을 끝마치고 맨 끝에서 “좋구나, 좋구나”라고 말하니 참으로 기특하다 하겠다. 참으로 좋다. 평범한 칼과는 다르다. 말해보라, 어떤 곳이 참으로 좋은지를.

“산호의 가지마다 달이 서려 있다.” 이는 이른바 전무후무한 것으로서 짝할 수 없는 독보적인 것이다. 결국은 어떻게 될까? 여러분의 머리가 떨어져버렸다. 노승에게는 다시 작은 게송 하나가 있다.


만 섬 가득히 실은 배 손 가는 대로 이끌어

한 톨 쌀알로 뱀을 항아리 속으로 유인했네.

백칙의 옛 공안을 들어다가

몇 사람의 눈에 모래를 뿌렸을까?

불과원오선사벽암록 권제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