金剛經五家解·덕민스님

선현기청분/3/여래가 한 말씀도 꺼내지 않았다

通達無我法者 2008. 9. 28. 15:32

 

 

[冶父]如來 不措一言 須菩提 便興讚歎 具眼勝流 試着眼看
여래가 한 말씀도 꺼내지 않았는데 수보리가 문득 찬탄하니, 눈을 갖춘 수승한 무리는 눈여겨 잘 바라볼지어다.

<보충설명1> 희유하다는 수보리의 찬탄에 대한 야보 스님의 고일착입니다. 진리의 눈을 갖춘 수승한 납자들은 진리의 당처를 잘 살피라는 주문입니다.
<보충설명2> 숭혜(崇慧)선사에게 어느 날, 한 수좌가 와서 물었습니다. “조사가 서쪽에서 오기 전에 불법이 있었습니까?” 숭혜선사는 “萬古長空 一朝風月(만고의 기나긴 허공에 하루 아침의 바람이나 달이니라)” 이라고 답했습니다. 이 것은 달마가 서쪽에서 오기 전에도, 석가가 입을 열어 설법하기 전에도 불법은 있었다는 말입니다. 그리고 석가의 설법이나 달마의 설법은 만고장공(진리)의 일조풍월에 지나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러나 부처님의 설법은 부처님에게는 불필요한 것이지만 범부에 대한 연민이나 과거의 원력이 스며있었기 때문에 행해진 것입니다.

[說]相逢不拈出 擧意便知有 是何境界 同道 方知
서로 만나 의중을 잡아 들어내지 않더라도 뜻을 곧 알아차릴 수 있으니, 이 무슨 경계인가? 도가 같아야 바야흐로 알 것이다.

<보충설명> 수보리와 부처님은 도의 경계가 서로 같기 때문에, 겉으로 드러내지 않더라도 서로 잘 안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희유’라는 大形容이 수보리를 통해 표현될 수 있는 것입니다.

隔檣見角 便知是牛 隔山見煙 便知是火 獨坐巍巍 天上天下 南北東西 鑽龜打瓦 咄
담장 너머 뿔이 보이면 소가 지나감을 알고, 산 너머 연기가 보이면 불이 났음을 알도다. 홀로 우뚝 앉아있는 모습이여, 천상천하에 가득 찼도다! 동서남북에서 거북의 등껍질과 기와 깨진 조각으로 점을 치도다. 돌(咄)!

<보충설명1> 담장 밖으로 뿔이 지나가면 소가 지나가는 줄 알아차려야 하는데 대부분의 사람들은 눈에 보이는 모양만 바라보고 ‘웬 죽순(竹筍)이 움직이는고?’하고 어리석은 생각을 합니다. 그러나 수행에 마음을 기울이는 우리 모두는 부처님 말씀을 보면서 말 밖의 진리를 알아차려야 합니다. ‘희유’라는 말의 당처를 알아차리지 못하고 문자나 지식으로 알려고 하면 진리에서부터 점점 멀어지게 됩니다.
<보충설명2> 鑽龜打瓦: 옛날의 점치는 방법. 희유라는 말의 당처를 모르고 이러쿵저러쿵 군더더기를 붙인다는 뜻.

[說]知火知牛事希奇 知音相見 正如是 獨坐云云 混虛空爲自身 盡大地爲坐具 坐斷千 差 不通凡聖 是可謂天上天下渾漫漫 更無一物爲等倫 若是過量漢 一見 便不疑 若非 過量漢 未免暗思量
불인 줄 알고 소인 줄 아는 일이 드물고 기특한 일이니, 서로 통하는 사람끼리 마주 보는 것도 바로 이와 같다. ‘독좌~’운운은, 허공을 통틀어 자기 몸으로 삼고 대지(大地)를 모두 좌복으로 삼고 앉아서, 온갖 사량분별을 끊고 범부니 성인이니 나누는 것도 용납하지 않는 것을 말한다. 이 것은 가히 천상천하에 원만지혜가 가득 차고 넘실거리는 모습이라 할 수 있으며, 또한 어떤 물건도 동등한 짝이 될 수 없는 모습이라 할 수 있다. 만일 근기가 특출한 사람이라면 한 번만 보고도 문득 의심을 끊을 것이나, 만일 특출한 사람이 아니라면 캄캄한 사량을 면하지 못할 것이다.

<보충설명> 未免暗思量: 천상천하에 가득찬 지혜를 어리석음으로 덮어서 감각의 추구와 욕망의 노예가 된 하근기 중생은 마치 누에가 고치 속에 들어가서 고치 안의 공간이 넓은 하늘인 것처럼 착각하는 것과 같다는 뜻.


고전 맛보기

論語 八佾篇第三 中에서
子夏問 巧笑倩兮 美目盼兮 素以爲絢兮 何謂也
子曰 繪事後素 曰 禮後乎 子曰 起予者商也 始可與言詩已矣
자하가 묻기를, “아름다운 미소의 예쁜 보조개여. 아름다운 눈의 검은 눈동자여. 흰 바탕이 무늬가 됨이여!”라고 하는데 이 것이 무슨 뜻입니까?”
공자가 이르길, “그림 그리는 일은 흰 바탕의 뒤를 따른다는 뜻이다.”
자하가 이르길, “예도 뒤입니까?”
공자가 이르길, “나를 일으키는 자는 상(商;자하)이로다. 비로소 함께 시경(詩經)을 얘기 할 수 있겠구나!”

<보충설명1> 巧笑倩兮 美目盼兮: 입이 예쁜 사람이라야 웃을 때 생기는 보조개도 예쁘고, 눈이 아름다워야 검은 눈동자도 예뻐 보입니다.
<보충설명2> 素以爲絢兮: 흰 바탕이 있기 때문에 나중에 그 위에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뜻을 子夏가 잘 못 이해하여 ‘흰 바탕이 무늬가 된다’고 말한 것입니다. 자하는 공자의 제자 중에서 문학에 뛰어났습니다.
<보충설명3> 繪事後素: 흰 바탕이 먼저 있고 무늬가 나중에 그려진다는 뜻.
<보충설명4> 禮後乎: 공자의 가르침에서는 정신적인 차원의 충과 신(忠信)이 먼저이고 형식적인 차원의 예(禮)가 그 뒤에 따릅니다. 그래서 子夏가 禮가 뒤냐고 물은 것입니다. 忠과 信이 바탕이 되어야 禮가 살아나는 것이지 忠과 信이 선행하지 않는 禮는 그저 虛行일 뿐입니다. 禮는 周易의 大義이기도 합니다.
<보충설명5> 巧笑倩兮, 美目盼兮, 繪事後素는 모두 기본 틀이 소중하다는 뜻을 내포하고 있습니다. 금강경으로 말하면 眞空이 우선이고 妙有가 그 다음을 따른다는 말입니다. 불법의 이해는 진공의 이해가 우선이듯 승가의 수행은 계율이 우선입니다.

隱求齋(朱子)
晨窓林影開 夜枕山泉響 隱居復何求 無言道心長
새벽 창문은 숲 속에 열리고,
밤이면 산중 샘물 소리로 베개를 삼네.
은둔하고 살면서 다시 무얼 구할까?
말없는 가운데 道의 마음 자라네.

精舍(朱子)
琴書四十年 幾作山中客 一日茅棟成 居然我泉石
거문고와 책으로 벼슬살이 40년,
몇 번이나 산중의 객이 되었던가?
띠집을 짓는데 하루면 족하니,
나도 모르게 나와 샘과 돌이 한 몸이네.

<보충설명> 朱子는 말년에 무위산에 머물면서 무위정사를 짓고 자연을 벗하며 살았습니다. 이 두 편의 시는 티끌인연에 대한 회한과 아울러 자신과 外境이 한 몸을 이루는 진공묘유의 분위기가 물씬 묻어납니다.

출처:법보신문/덕민스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