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돈오문(頓悟門)의 종지(宗旨)와 체용(體用) | ||
1. 종지와 체용 "이미 무념으로 종취를 삼는다고 말씀할진댄 무념이란 어떤 생각이 없는 것 입니까?" "어떤 것이 삿된 생각이며 어떤 것이 바른 생각 입니까?" "어떤 것이 바른 생각 입니까?" "보리는 얻을 수 있습니까?" "이미 얻을 수 없을진댄 어떻게 오직 보리만 생각 합니까?" "어떤 것이 보는 바 없음을 보는 것이라 합니까?"
2. 이성공(二性空)
|
'돈오입도요문론(頓悟入道要門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11.삼학(三學)을 함께 쓰다. (0) | 2007.12.05 |
---|---|
10.돈오(頓悟)는 단바라밀(檀波蘿蜜)로 부터 (0) | 2007.12.05 |
8.무소견(無所見) (0) | 2007.12.05 |
7.불견유무[不見有無]가 진해탈[眞解脫] (0) | 2007.12.05 |
6.열반경(涅槃經)의 이구(二句) (0) | 2007.1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