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암록(碧巖錄)

제94칙 능엄경의 보이지 않는 것〔楞嚴不見處〕

通達無我法者 2008. 3. 3. 14:15
 

 

 

제94칙 능엄경의 보이지 않는 것〔楞嚴不見處〕


(수시)

소리 이전의 한 구절은 일천 성인도 전하지 못하고, 면전의 한 실오라기는 긴 시간 끊임이 없다.

청정히 훌훌 벗고 말끔히 비어 있는 노지(露地)의 흰 소〔白牛〕이다. 눈이 오똑하고 귀가 쫑긋한 영리한 황금빛털 사자〔金毛獅子〕는 그만두고, 말해보라, 무엇이 노지의 흰 소인가?


(본칙)

「능엄경」에 이르기를 “내(부처님)가 보지 않을 때에 왜 (그대는) 내가 보지 않는 곳을 보지 못하는가?

-좋은 소식이다. 보아서 무엇 하려고 석가 늙은이도 허물이 적지 않군.


만일 내가 보지 않는 곳을 본다면 자연 저 (여래가) 보지 않는 모습이 아닐 것이다.

-쯧쯧! 무슨 부질없는 수고냐? 산승을 이랬다 저랬다 하게 만들어서는 안된다.


만일 내가 보지 않는 곳을 보지 못한다면

-어느 곳으로 가느냐, 쇠말뚝을 박는 것과 같다. 쯧쯧!


결코 물상(物相) 이 아닐 것이어늘,

-어거지로 소머리를 짓눌러 풀을 먹이는구나. 다시 무슨 언어․경계를 말하는가.


어찌 네가 아니랴.”

-너니 나니 하는 것 모두 관계가 없다. (원오스님은) 치면서 말한다. 석가노인을 보았느냐?  옛사람(아난존자)이 인정하지 않으려는 데야 어찌하랴! (원오스님은 다시) 치면서 말한다.  스스로 발밑을 보아라. 알았느냐!


(평창)

「능엄경」에 이르기를

“내가 보지 않을 때는 어찌하여 (아난 그대는) 내가 보지 않는 곳을 보지 못하는가? 만일 내가 보지 않는 곳을 본다면 자연 저 (여래가) 보지 않는 모습이 아닐 것이다. 만일 내가 보지 않는 곳을 보지 못한다면 결코 물상(物相)이 아닐 것이어늘, 어찌 네가 아니랴.”고 하였다.

설두스님은 본칙에서 「능엄경」을 모두 인용하지 않았는데, 전부를 인용했더라면 그 의미를 알 수 있었을 것이다.

「능엄경」에 이르기를

“보는 것〔見〕이 물상(物相)이라면 그대 또한 내가 보는 것〔見〕을 보아야 하리라. 만일 함께 보는 것〔見〕으로 내가 보는 것을 보노라고 말한다면 내가 보지 않을〔不見〕때는 왜 내가 보지 않는 곳〔不見〕을 보지 못하는가? 내가 보지 않는 곳〔不見〕을 본다면 자연 저 (여래가) 보지 않는〔不見〕 모습이 아니다. 내가 보지 않는 곳〔不見〕이 보이지 않는다면 자연 물상(物相)이 아니거늘, 어찌 그대가 아니랴.”라고 하였다. 문장이 많으므로 모두 기록하지는 않는다.

아난이 말한 뜻은 세상의 모든 등롱(燈籠)과 노주(露柱) 따위에 모두 이름이 있으므로, 세존께서도 이 묘정원명(妙精元明)을 드러내어, 구체적으로 어떤 물건이라고 이름하여, 우리에게 부처님의 뜻을 깨칠 수 있도록 마련하여 주었다는 것이다.

세존께서 말씀하시기를 “나는 향대(香臺)를 보느니라”고 하시자, 아난은 말하였다.

“저도 향대를 봅니다. 바로 이것이 부처님이 보시는 것입니다.”

“내가 향대를 본다는 것은 알겠지만 내가 향대를 보지 않을 때는 그대가 어떻게 보겠느냐?”

“제가 향대를 보지 않을 때가 바로 부처님을 보는 것입니다.”

“내가 보지 않는다 말한 것은 자연히 내 자신이 아는 것이며, 그대가 보지 않는다 말한 것은 자연히 그대 자신이 아는 것이다. 다른 사람이 보지 않는 것을 그대가 어떻게 알 수 있으랴.”

옛사람은 “여기에 이르러 스스로 알아야 하며 남에게 말할 수 없다”고 하였다. 세존의 “내가 보지 않을 때는 어찌하여 내가 보지 않는 곳을 보지 못하느냐? 만일 보지 않는 것을 본다면 자연 저 (여래가) 보지 않는 모습이 아니다. 만일 내가 보지 않는 곳을 보지 못한다면 자연 물상(物相)이 아니거늘, 어찌 네가 아니겠느냐?”라는 말씀과 같다. 만일 인식하는 것으로 사물이 있다 말한다면 자취를 쓸어버리지 못한 것이다.

내가 보지 못할 때는 영양(羚羊 : 산양)이 절벽에 뿔을 걸고 있는 것처럼 소리와 종적과 호흡이 모두 끊어지니, 어디에서 찾을 수 있겠는가. 「능엄경」의 뜻은 처음엔 용서〔縱破〕를 하였으나 뒤에는 비판〔奪破〕을 한 것이다. 설두스님은 교안(敎眼)을 뛰어넘는 송(頌)을 했으니, 물상(物相)을 송하지도 않고 또한 보고〔見〕 보지 않음〔不見〕을 송하지도 않았다. 곧바로 부처를 보고서 송한 것이다.


(송)

온전한 코끼리〔全象〕와 온전한 소〔全牛〕를 봤다고 하더라도 눈병〔瞖〕 탓임에는 틀림이 없다.-반쪽은 눈먼 놈이다. 넌지시 일러주는군. 울타리 붙잡으며 벽을 더듬거리며 (길을 가듯 남에 의지해서) 무얼 하느냐. 단칼에 두 동강을 내라.


예로부터 작가 모두가 껍데기만 더듬었네.

-서천의 28대 조사와 중국의 여섯 명의 조사, 천하의 노스님이 삼대처럼, 좁쌀처럼 많다.    그래도 조금은 남아 있구나.


이제 누런 머리의 노인〔黃頭老〕을 보려 하는가?

-쯧쯧! 이 늙은 눈먼 놈아! 오랑캐야, 그 눈먼 놈이 너의 발밑에 있다.


찰찰진진(刹刹塵塵)에서 봤다 해도 반밖에 안된다.

-발 아래에서 빗나갔다. 다시 산승더러 무엇을 말하라는 것이냐! 나귀 해가 되면 꿈에서 볼 수 있을까?


(평창)

“온전한 코끼리와 온전한 소의 경지를 봤다고 하더라도 눈병의 탓임에 틀림이 없다”는 것은 여러 봉사가 코끼리를 더듬으며 각기 다른 부분을 말하는 것인데, 이는 「열반경」에서 나온 말이다.

어떤 스님이 앙산스님에게 물었다.

“스님께서 사람들이 선(禪)과 도를 물으면 문득 일원상을 그리고 그 가운데 소 우〔牛〕자를 쓰시니, 그 뜻은 어디에 있습니까?”

“이는 부질없는 일이다. 만일 이를 안다면 바깥에서 온 것이 아니며, 모른다면 결코 알지 못할 것이다.”

“내가 그대에게 묻고 싶다. 총림의 많은 큰스님들이 그대의 몸 어느 곳을 가리키며 불성(佛性)이라고 말하던가? 말을 하는 것이 옳을까, 묵묵히 있는 것이 옳을까? 아니 말하지도 침묵하지도 않는 것이 옳을까? 또는 모두 옳을까, 모두 옳지 않을까?”

그대가 말하는 것이 옳다고 한다면 이는 봉사가 코끼리 꼬리를 더듬는 격이며, 묵묵히 있는 것이 옳다고 한다면 이는 봉사가 코끼리 귀를 더듬는 격이며, 말하지도 침묵하지도 않는 것이 옳다고 한다면 이는 봉사가 코끼리 코를 더듬는 격이며, 사물마다 모두 옳다고 한다면 이는 봉사가 코끼리의 네 발목을 더듬는 격이며, 모두가 옳지 않다고 한다면 본래의 코끼리는 제쳐놓고 아무것도 없다는 견해에 떨어질 것이다.

이처럼 여러 봉사들이 보는 것은 코끼리의 껍데기를  더듬어 차별이 생긴 것이다. 그대가 간절히 알고저 한다면 결코 코끼리를 더듬어서는 안된다. 보고 느끼는 것이 옳다고 말하지 말며, 또한 옳지 않다고도 말하지 말라.

조사께서는

보리는 본래 나무가 없고

밝은 거울 또한 대가 없도다.

본래 한 물건도 없으니

어찌 티끌 먼지에 더럽히리오.


라고 하셨으며, 또한

“도란 본래 형상이 없고 지혜가 곧 도이다”라고 했으니, 이렇게 생각하는 것을 ‘진실한 반야’라 한다. 눈 밝은 사람은 코끼리를 보면 그 전체를 알아차린다. 부처님의 견성(見性) 또한 이와 같다.

온전한 소〔全牛〕란 「장자(莊子)」에서 나온 말이다. 포정(庖丁)이 소를 잡는데 결코 소 전체를 보는 것이 아니라 살의 결을 본다. 살의 결을 따라 소를 해체하면서 자유로이 칼을 놀리며, 결코 손을 대지 않더라도 보자마자 머리․뿔․발굽․고기가 대뜸 저절로 나뉘어버린다. 이처럼 하기를 19년이나 계속하였는데도 칼날은 숫돌에서 갓 갈아온 것처럼 날카로웠다 한다. 이를 두고 온순한 소〔全牛〕라 말한 것이다.

이처럼 기특하지만 설두스님은 “설령 이처럼 온전한 코끼리와 온전한 소를 봤다고 하더라도 눈병의 탓임에는 틀림이 없다”고 하였다.

“예로부터 작가 모두가 껍데기를 더듬었네”라는 것은 작가라 하여도 ‘그’ 안은 더듬을 수 없다.

가섭으로부터 서천과 중국의 조사와 천하의 노스님에게 이르기까지 모두가 껍데기만을 더듬었다. 그러므로 설두스님은 지금 “이제 누런 머리의 노인을 보려고 하느냐”라고 단도직입적으로 말하였다. 이 때문에 “보려면 바로 보아야지, 찾고 더듬으려 하면 천리 만리 어긋난다”고 하였다. 누런 머리의 노인이란 황면노자(黃面老子 : 부처)를 말한다. 그대들이 이제 그를 보려고 하는가? “찰찰진진(刹刹塵塵)에서 봤다 해도 반밖에 안된다”고 하였다. 평소에 말하기를 “한 티끌이 한 부처의 세계이며, 한 잎이 한 석가이다”라고 하였다. 삼천대천 세계에 있는 미세한 티끌을 한 티끌 속에서 보아도 이러한 때 또한 오히려 중도에 있는 것이다. 어디에 나머지 반쪽이 있을까? 말해보라, 어느 곳에 있는가를.

석가 늙은이도 오히려 모르는데 산승이 어떻게 말할 수 있겠느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