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문경훈(緇門警訓)

설두명각선사벽간유문 雪竇明覺禪師壁間遺文

通達無我法者 2008. 3. 17. 13:58
 



설두명각선사벽간유문 雪竇明覺禪師壁間遺文[1]

 

夫傳持祖燈,[2] 嗣續佛壽, 此非小任, 宜景前修, 肅爾威儀, 尊其瞻視,[3] 懲忿窒慾, 治氣養心. 無以名利動於情, 無以得失介於意, 無隨世之上下, 無逐人之是非, 黑白置之于胸, 喜怒不形於色. 樂人之樂, 猶己之樂, 憂人之憂, 若己之憂. 容衆尊賢, 克己復禮,[4] 無因小隙, 失素所善, 無背公議, 棄素所踈. 能不可矜, 勢不可恃, 無護己短, 無掩人長, 見德不可忘身, 在貴不可忘賤. 且夫學本修性, 豈慍人之不知? 道貴全生, 無蘄世之爲用. 人或慕義, 理固推餘, 必也篤爾心誠, 誨以規矩, 博授群籍, 深示妙宗. 慈室忍衣, 不可須臾而離,[5] 大方寶所, 欲其造次必是. 動息有常, 嫌疑必愼. 人不可侮, 天不可欺. 衆之去來, 無追無拒,[6] 人之毁譽, 無恚無貪, 內無所慙, 外無所恤. 或若聲華溢美, 利養豊多, 畏四趣之果因, 愼三寶之交互. 死生未脫, 業苦難逃, 方其得志, 亟思利正. 身如行厠, 利稱軟賊, 百年非久, 三界無安, 可惜寸陰, 當求解脫. 古先諸祖, 擧有懿範: 杖錫, 一味喫土; 丹霞, 只箇布裘; 趙州, 靑灰滿首; 朗師, 編草爲氈; 或深禪久修; 或優詔不就. 大都[7]約則尠失, 奢則招譏, 謙則有光, 退則無忌. 去佛逾遠, 行道有艱, 觀時進止, 無自辱也.

무릇 조사의 법등法燈을 전하여 가짐으로써 부처님의 혜명慧命을 잇는 것은 작은 임무가 아니니, 마땅히 앞으로의 수행을 원대히 하고 위의를 엄숙히 하며 굽어보는 눈매를 존귀하게 가지고 성냄과 욕심을 막으며 기운을 다스리고 마음을 길러야 한다. 명예와 이익으로 감정을 움직이는 일이 없어야 하고 이득과 손실이 뜻에 개입되는 일이 없어야 하며, 세상의 위아래를 따르는 일이 없어야 하고 사람들의 시비를 쫓는 일이 없어야 하며, 검고 흰 것은 가슴속에 묻어 두고 기쁨과 분노를 얼굴빛에 드러내지 말라. 남의 즐거움을 즐거워함에 마치 자신의 즐거움처럼 하고, 남의 근심을 근심스러워 함에 흡사 자신의 근심처럼 하라. 대중을 포용하고 현인을 존중하며 자신을 극복하여 예禮로 돌아갈 것이며, 조그마한 틈으로 인하여 평소에 선하다고 여겼던 바를 잃는 일이 없어야 하며, 대중의 공론을 등져 가면서까지 평소에 성글었던 바를 버리는 일이 없어야 한다. 능력은 자랑할 것이 못되고 권세는 믿을 것이 못되며, 자신의 단점을 보호하는 일이 없어야 하고 남의 장점을 숨기는 일이 없어야 하며, 덕망 있는 자를 보면 자기 자신은 어떤지를 잊지 말아야 하고 부귀한 곳에 있을 때는 빈천한 곳에 있을 때를 잊지 말아야 한다.

무릇 배움이란 본디 자성自性을 닦는데 있으니 어찌 다른 사람이 알아주지 않는다고 화낼 것인가. 도道는 삶을 온전히 하는 것을 귀하게 여기는 것이니 세상의 쓰임이 되기를 바라는 일이 없도록 하라. 사람들이 혹 의리를 흠모하면 이치에 마땅히 다른 이에게 미루어야 할 것이니, 반드시 마음과 정성을 돈독히 하고 규범으로써 가르치며 여러 서적들을 널리 주어서 현묘한 종지를 깊이 보여 주어라. 자비의 방(慈室)과 인욕의 옷(忍衣)은 잠시라도 떼 놓을 수 없으며 큰 법이 있는 곳과 보배가 있는 장소는 잠깐만이라도 반드시 그 자리에 도달하고자 해야 할 것이다.

움직이고 쉼에 있어 항상성이 있어야 하고 의심스러운 것은 반드시 삼가야 할 것이다. 사람은 업신여길 수 없으며 하늘은 속일 수 없다. 대중이 가고 옴에 좇지도 말고 거절하지도 말며 사람들이 헐뜯거나 칭찬함에 성내지도 말고 탐내지도 말 것이니, 안으로는 부끄러운 바가 없도록 하고 밖으로는 동정 받는 바가 없도록 하라. 혹은 만약 화려한 명성이 지나치게 아름다워져서 이익과 그 즐거움이 풍족하고 많아지더라도 사취四趣의 인과를 두려워하고 삼보三寶의 물건을 바꿔 쓰는 것을 삼가라. 생사를 벗어나지 못하면 업의 고통을 피하기 어려우니 바야흐로 해보아야겠다는 뜻을 얻었으면 빨리 날카롭고도 바르게 되기를 생각하라. 몸뚱이는 돌아다니는 변소와 같고 이익은 부드러운 도적이라 일컬으며, 백년이라도 오랜 것이 아니며 삼계 또한 편안한 바가 없으므로 한 순간을 아껴서 의당 해탈을 구해야 할 것이다.

예전의 앞선 여러 조사들은 모두 훌륭한 모범을 보였으니, 장석은 한결같은 맛으로 거친 음식을 먹었고, 단하는 단지 한 벌의 베옷뿐이었으며, 조주는 푸른 먼지가 머리에 가득하였고, 낭사는 풀을 엮어 이불을 삼았으며, 어떤 이는 심오한 선禪을 오래도록 닦았고, 어떤 이는 넉넉한 조서詔書에도 나아가지 않았다. 대개 검약하면 잃는 것이 적고 사치하면 비방을 초래하며 겸손하면 빛이 있고 물러서면 시기함이 없을 것이다. 부처님 가신지 더욱 멀어져 도를 행함에 어려움이 있으니 시기를 관찰하여 나아가고 머물러서 스스로 욕됨이 없도록 하라.

【1】雪竇山重顯禪師, 遂州李氏子, 嗣北塔.

【2】代代相承曰傳, 眷眷執守曰持. 祖燈, 祖師心燈也.

【3】《冠禮》曰: 「整其衣冠, 尊其瞻視, 儼然人望而畏之.」

【4】《論語》「顔回問仁. 子曰: 克己復禮爲仁.」 克‧勝也, 己‧身之私慾也, 復‧反也, 禮‧天理之節文也, 言爲仁者, 勝私慾而反乎理之節文也.

【5】《法華》云: 「入如來室者, 於一切衆生, 大慈悲心, 是也; 着如來衣者, 柔和忍辱心, 是也.」 今謂慈悲, 如人之有堂室, 不可須臾而離也; 柔忍, 如人之有衣服, 不可須臾而棄也.

【6】《四行論》云: 「物若欲來, 住之莫逆, 物之欲去, 放去勿追.」

【7】《書記》註云, 大都猶云大略也.

【1】설두산 중현선사는 수주 이씨의 아들로서 북탑의 법을 이었다.

【2】대대로 이어져 전해 내려오는 것을 傳이라 하고, 가지고서 돌보며 지켜 가는 것을 持라 한다. 祖燈은 조사의 마음의 등불이다.

【3】《관례》에 말하였다. 「의관을 단정히 하고 굽어보는 눈매를 존귀하게 가지면 엄숙하여 사람들이 바라보며 두려워한다.」

【4】《논어》에 「안회가 仁에 대해 묻자 공자가 말하기를, 자신을 극복하고 예를 회복하면 어짊을 이룰 것이라 하였다」 하였다. 克은 이기는 것이요, 己는 자신 몸의 사사로운 욕망이요, 復는 돌이킴이요, 禮는 하늘의 이치를 적절히 함축한 것이니, 어짊을 이룬다 함은 사사로운 욕망을 이기고 이치의 적절한 자리에 돌아감을 말한다.

【5】《법화경》에 이르기를 「여래의 방에 들어온다는 것은 일체 중생에 대해 큰 자비심을 베푼다는 바로 그것이요, 여래의 옷을 입는다는 것은 부드러운 화합의 마음과 인욕의 마음을 가지는 바로 그것이다」라 하였다.

【6】《사행론》에 말하였다. 「사물이 만약 오고자 하면 와서 머물게 하되 거역하지 말 것이며, 사물이 가고자 하면 놓아주어 가게 하되 뒤쫓지 말 것이다.」

【7】《서기》의 주석에 말하기를 大都는 大略이라고도 말한다고 하였다.

???? 天台圓法師自戒

三界悠悠一囹圄,[1]覊鎖生靈受酸楚,

本來面目久沈埋,野馬無韁恣飄鼓.

欲火燒殘功德林,逝波傾入無明塢,

紛紛萬類器中蚊,啾啾鳴亂沈還擧.

亦曾天帝殿中遊,[2]也向閻公鍋裏煮,[3]

循環又撞入胞胎,[4]交搆腥臊[5]成沫聚.

一包膿血暫扶持,數莖白骨權撑拄,

七情[6]馳騎不知歸,六賊[7]爭鋒誰作主.

春風不改昔時波,依舊貪嗔若狼虎.

改頭換面弄機關,[8]忍氣呑聲受辛苦.

貴賤賢愚我與人,是非榮辱今猶古.

金烏[9]玉兎[10]自磨空,雪鬢朱顔盡成土.

我嗟瞥地一何晩,隨波逐浪空流轉.

追思古聖與先賢,掩袂令人獨羞赧.

而今捉住主人翁,生死魔來我誰管.

昔時伎倆莫施呈,今日生涯須自勉.

是非窟裏莫回頭,聲利門前高着眼.

但於自己覓愆尤,肯與時流較長短.

一點靈光直照西,萬端塵事任舒卷.

不於蝸角竊虛名,獨向金臺預高選.

從[11]他病死與生老,只此一回相括惱.

修行惟有下梢難,[12]竪起脊梁休放倒.

莫敎錯認定盤星,[13]自家牢守衣中寶.[14]

願同法界寃與親,共駕白牛遊直道.

삼계는 끝없는 하나의 감옥,

생령生靈을 재갈 물리고 사슬 씌워 혹독한 고통을 받게 하니,

본래면목이 오래도록 잠기고 묻혀서,

아지랑이는 고삐 없이 제멋대로 뛰놀도다.

욕심의 불길은 공덕의 숲을 모두 태우고,

흐르는 물결은 무명의 언덕으로 기울어져 들어가니,

어지럽고 어지러운 만류萬類는 그릇 가운데 모기라,

웅웅거리며 우는 소리 어지럽게 잠겼다가 다시 들려온다.

일찍이 천상 제왕의 뜰 가운데 노닐다가,

또한 염라대왕의 가마 속으로 들어가 삶기니,

돌고 돌다가 다시 포태胞胎로 들어가게 되는지라,

비린내 누린내 서로 엉겨서 거품덩이를 이루었다.

한 보따리 고름과 피로 잠시 붙들어 지니고,

두어 줄기 백골로 임시 버티고 있으니,

칠정七情은 치달림에 돌아올 줄을 모르고,

육적六賊이 선봉을 다투나 어느 누가 주인이 될까.

봄바람은 옛 시절의 물결을 고치지 않기에,

예와 다름없이 탐내고 성냄이 이리와 호랑이 같도다.

머리를 고치고 얼굴을 바꾸어 기관機關을 희롱하며,

기운을 참고 소리를 머금어 괴로움을 받도다.

귀하고 천하고 현명하고 어리석은 나와 더불어 남,

옳고 그르고 영예롭고 수치스러움이 지금도 예전과 같도다.

금가마귀와 옥토끼가 스스로 허공을 갈아 가니,

눈 내린 귀밑머리와 붉은 얼굴이 모두 흙이 되었다.

내 슬퍼하나니 깜빡 사이에 한 번 어쩌다 늦어서,

파도 따라 물결 쫓아 헛되이 흐르고 굴렀네.

옛 성인과 앞선 현인들을 추모하여 생각해 보건대,

소매를 가리고 사람으로 하여금 홀로 부끄러워 붉어지게 하도다.

지금이라도 주인옹을 붙잡아 안주시키면,

삶과 죽음의 마군이가 오더라도 나에게 무슨 관계가 될까.

예전의 잔재주를 베풀어 바치지 말고,

오늘의 삶이나 모름지기 스스로 힘쓸지어다.

시비의 굴속으로 머리를 돌이키지 말고,

명예와 이익의 문 앞에선 더 높은 곳에 눈을 둘지어다.

다만 자기에게서 허물을 찾을지언정,

어찌 시류時流와 더불어 즐겨 장단을 비교하겠는가.

한 가닥 신령스런 광채가 곧장 서쪽으로 비추면,

만 가지의 세속 일을 마음대로 펴고 쥘 것이다.

달팽이 뿔 위에서 헛된 이름을 도적질 말고,

홀로 금대金臺를 향하여 높은 선발選拔에 참예하라.

병들고 죽는 것은 나고 늙는 것과 더불어 내버려두고,

다만 이 한 차례에 과감히 힘써 볼 지어다.

수행은 오직 그 끝에 어려움이 있으니,

척량골脊梁骨을 곧추세울 뿐 놓아서 쓰러뜨리지 말지어다.

정반성定盤星을 그릇되게 인식하지 않도록 하고,

자기 옷 가운데 보배를 굳게 지켜라.

원컨대 온 세계의 원수와 친한 이가 더불어,

다 함께 흰 소를 멍에하고 곧은 길에 다니기를 바라노라.

【1】夏之夏臺, 殷之羑里, 周之圜土, 秦之囹圄, 皆獄名. 囹者, 令之使聆; 圄者, 語之使悟也.

【2】生天.

【3】入獄.

【4】得人身.

【5】生肉曰腥臊, 豕犬曰膏臭. 阿難曰: 「欲氣麤濁, 腥臊交遘.」

【6】卽七識也.

【7】六識.

【8】《華嚴》䟽云: 「機關, 抽之則動, 息之則無.」 鈔: 容物動處, 名爲機; 於中轉者, 說爲關.

【9】《淮南子》「日中有踆烏」, 謂三足烏也.

【10】《西域記》云: 「劫初有兎‧狐‧猿, 異類相悅. 時, 天帝欲試修菩薩行者, 化爲一老夫, 謂三獸曰: ????二三者, 善安穩乎? 老夫故此遠尋, 今正飢乏, 何以饋我????? 曰: ????幸小留.???? 狐得鯉魚, 猿採花菓, 同進老夫, 惟兎空還, 謂猿‧狐曰: ????多聚草木爇火.???? 兎謂老夫曰: ????身雖卑劣, 充此一飡.???? 入火致死. 是時, 老夫復帝釋身, 除燼取骸, 歎謂二獸曰: ????一何至此, 不泯其迹.???? 寄之月輪, 傳于後世.」

【11】任也.

【12】下梢猶云末梢也.

【13】秤上第一星, 以比第八識.

【14】見《法華經》五百弟子授記品.

【1】夏나라 때의 하대, 殷나라 때의 유이, 周나라 때의 환토, 秦나라 때의 영어 등은 모두 감옥 이름이다. 囹은 명령을 내려 듣도록 하는 것이요, 圄는 말하여서 깨닫도록 하는 것이다.

【2】하늘에 태어남.

【3】지옥에 떨어짐.

【4】사람의 몸을 얻음.

【5】날고기의 역한 냄새를 腥臊라 하고, 돼지나 개의 역한 냄새를 膏臭라 한다. 아난이 말하기를 「욕망의 기운은 거칠고 혼탁하여 비린내와 누린내가 엇갈려 마주친다」라 하였다.

【6】곧 7식이다.

【7】6식이다.

【8】《화엄경》의 踈에 이르기를 「機關은 잡아당기면 곧 움직이고 그만두면 곧 아무런 동작도 없다」라 하고는 그 鈔에, 물건을 받아들여 움직이는 곳을 機라 이름하고 그 가운데 회전하는 것을 關이라 말한다고 하였다.

【9】《회남자》에 「해 가운데 踆烏가 있다」 하였으니, 세발 달린 까마귀를 말한다.

【10】《서유기》에서 말하였다. 「태초에 토끼와 여우와 원숭이가 있었는데 다른 부류였지만 서로 기뻐하며 따랐다. 그 때 천제께서 보살행 닦는 것을 시험해 보고자 한 노인네로 변신하여 세 짐승에게 이르기를 ????너희들 편안히 잘 있었느냐? 이 노인네가 이렇게 멀리 찾아온 까닭에 이제 막 배고프고 피곤한데 무엇으로 나를 대접하겠느냐???? 하니 ????잠시만 기다리십시오???? 한 뒤에, 여우는 잉어를 잡아오고 원숭이는 꽃과 과일을 따와서 함께 노인네에게 올렸는데 오직 토끼만이 빈손으로 돌아와서 원숭이와 여우에게 말하기를 ????풀과 나무를 많이 모아 불을 지펴 달라???? 하고는 토끼가 노인네에게 ????제가 비록 비천하고 용렬하나 이로써 한 끼의 식사로는 충분할 것입니다????라고 말한 뒤 불로 뛰어들어 죽기에 이르렀다. 이 때 노인이 제석의 몸을 회복하고는 깜부기불을 제거하고 해골을 취한 뒤 두 짐승에게 찬탄하며 ????한결 같이 어찌 이러함에 이르렀는가, 그 자취를 없애지 않으리다????라고 말하고는 달에 위탁하여 후세에 전해지게 하였다.」

【11】맡김이다.

【12】下梢는 ‘끄트머리’라고도 말한다고 하였다.

【13】저울의 제일 첫 번째 별자리이니, 그것으로 제8식에 비유한다.

【14】《법화경》의 <오백제자수기품>을 보라.

???? 慈雲式懺主書紳[1]

知白! 汝知日之所爲, 害善之法, 偏宜遠之, 損惡之道, 益其用之. 口無自伐, 心無自欺, 勿抱內蠹, 勿揚外儀. 欲人之譽, 畜己之私, 殺義之始, 陷禍之基. 自恃其德, 必有餘譏, 自矜其達, 必有餘非. 眷屬集樹,[2] 汝宜遠之, 利養[3]毛繩,[4] 汝宜畏之, 擇而思之. 懲惡之餘, 何則是宜? 淸香一炷, 紅蓮數枝, 口勿輟誦, 意勿他思. 安禪禮像, 其則勿虧, 量衣節食, 其志勿移. 造世文筆, 如佛戒之, 說人長短, 如法愼之. 縱對賓侶, 口勿多辭, 頻驚光影, 坐勿消時. 芭蕉虛質, 非汝久期,[5] 蓮花淨土, 是汝眞歸, 俾夜作晝, 勤而行之.[6]

지백아! 너는 날마다 할 바를 알아야 할 것이니, 선한 것을 해치는 법은 마땅히 그것을 멀리하고 해악을 덜어내는 도는 더욱 그것을 사용토록 하라. 입으로는 스스로 자랑하는 일이 없도록 하고 마음으로는 스스로 기만하는 일이 없도록 하며, 안에 들은 좀벌레는 감싸안지 말고 밖으로 드러난 겉모양은 드날리지 말라. 사람들의 칭찬을 바라고 자기의 사욕만 쌓으면 올바름을 죽이는 시초가 되고 재앙에 빠지는 기초가 된다. 스스로 그 덕을 믿다 보면 반드시 남는 비방이 있고 스스로 그 영달을 자랑하다 보면 반드시 남아 있는 잘못이 있기 마련이다. 권속이 나뭇가지에 새 모이듯 하면 너는 마땅히 그것을 멀리해야 하고 이익과 그 즐거움이 터럭이나 실낱같더라도 너는 마땅히 그것을 두려워해야 할 것이니, 잘 선택하여 그것을 생각하라.

해악을 징계한 나머지에 어떻게 하면 마땅한 것인가? 맑은 향 한 묶음을 사르고 붉은 연꽃 두어 가지를 공양하되 입으로는 경전의 암송을 그치지 말고 뜻으로는 다른 생각을 하지 말라. 편안히 참선하여 불상에 예불하되 그 법칙에 있어 이지러뜨리지 말며, 의복을 가늠하여 쓰고 음식을 절약하여 먹되 그 뜻을 옮기지 말라. 세상의 글월을 지을 때는 부처님처럼 그것을 경계하고, 다른 이의 장단을 말할 때는 법과 같이 그것을 삼가라. 비록 손님과 벗을 대하더라도 입으로는 많은 말을 하지 말 것이며 자주자주 세월의 흐름을 두려워함으로써 앉아서 시간을 소비하지 말라. 파초의 텅 빈 바탕은 네가 오래도록 기약할 바가 아니며 연화정토가 바로 너의 참된 귀의처이니, 밤을 낮 삼아 부지런히 행하라.

【1】師諱遵式, 字知白, 台州.葉氏子. 傳台敎, 以禮懺爲業, 故名.

【2】《遺敎經》云: 「若樂衆者, 卽受衆惱, 譬如大樹衆鳥集之, 則有枯折之患.」

【3】財之所欲曰利, 利之所樂曰養.

【4】言小而不切也.

【5】山谷詩云「芭蕉自觀身」, 又云「忍持芭蕉身」, 注云,《維摩經》云: 「是身如芭蕉, 中無有堅固.」 陸佃云: 「蕉不落葉, 一葉舒則一葉焦故, 謂之蕉.」 俗謂乾物爲巴, 巴亦焦義也.

【6】師臨終, 預期十日, 使徒衆誦《彌陀經》, 以證其終.

【1】선사의 휘는 준식이요 자는 지백으로 태주 엽씨의 아들이다. 台敎를 전하며 禮懺으로써 업을 삼은 까닭에 이름한 것이다.

【2】《유교경》에서 말하였다. 「만약 무리를 좋아하는 자는 곧 온갖 번뇌를 받을 것이니, 비유컨대 큰 나무에 한 무리의 새가 모여들면 곧 가지가 마르고 꺾여지는 근심이 있게 되는 것과 같다.」

【3】재물에 대해 욕심 부리는 바를 利라 하고 그 利를 즐기는 바를 養이라 한다.

【4】작으나 끊어지지 않음을 말한다.

【5】산곡의 시에서 「파초에 비겨 스스로 자신의 몸을 觀한다」 하고 또 「파초 같은 몸을 인내하여 지탱한다」 하고는 주석에서 말하기를,《유마경》에 이르기를 「이 몸은 파초와 같아서 그 속에는 아무런 견고한 것이 없다」라 하였다. 육전이 말하기를 「파초의 잎은 낙엽으로 떨어지지 않고 하나의 잎사귀가 피어오르면 곧 하나의 잎사귀가 시들(焦)기 때문에 그것을 일컬어 蕉라 하는 것이다」 하였다. 물건이 마르는 것을 보통 巴라 일컫는데 巴 역시 焦의 뜻이다.

【6】선사는 임종 때 열흘을 미리 기약하고 문도와 대중들로 하여금《미타경》을 誦하게 함으로써 그 임종을 증명하게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