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리를 널리 펼치다[演敎] 2
삼승을 위해 차례대로 금 같은 말씀을 설하신 것은
삼세(三世)의 여래가 다 같이 말씀하신 것일세.
처음엔 유(有)와 공(空)을 말하니 사람들이 다 집착하더니
뒤엔 공도 유도 아니라 하니 모두 다 버려버렸네.
三乘次第演金言 三世如來亦共宣
삼승차제연금언 삼세여래역공선
初說有空人盡執 後非空有衆皆捐
초설유공인진집 후비공유중개연
- 동안상찰 선사 「십현담(十玄談)」5~1
불교 공부를 하다보면 아마도 가장 많이 만나는 말 중의 하나가 일승(一乘)이니 삼승(三乘)이니 하는 말이 아닐까 한다. 중생을 교화하여 깨달음의 세계로 이끌기 위해서는 사람에 따라 각기 다른 방법을 써야 한다. 삼승은 이와 같이 각각에게 알맞은 방법을 찾다 보니 자연히 생겨난 방편이다. 삼승이 발전하여 팔만사천 방편문(方便門)이 있다고도 한다. 세존의 팔만사천 법문은 곧 사람들의 팔만사천 근기에 상당하는 방편문인 것이다. 여기에서 승(乘)이란 사람이 타고 다니는 수레와 같은 것으로, 중생을 실어 깨달음으로 향하게 하는 가르침을 의미한다.
일승은 일체 중생이 모두 성불(成佛)한다는 견지에서 이들을 구제하는 교법은 하나뿐이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그에 반해 삼승은 깨달음에 이르는 세 가지 실천법을 말한다. 사람마다 가진 능력이나 소질과 수준에 맞게 셋으로 나누어서 설한 것이다.
삼승에는 성문승(聲聞乘), 연각승(緣覺乘), 보살승(菩薩乘)이 있다. 성문승은 부처님의 교법인 사성제와 팔정도(八正道)를 닦아 아라한의 깨달음을 얻는 교법이다. 연가승은 인연(因緣)의 도리를 관찰하여 깨달음을 얻는 길인데 대개 12인연법에 의지한다. 스승을 찾지 않고 스스로 12인연법을 관(觀)하여 깨달음을 얻는 교법이라는 의미에서 독각승(獨覺乘)이라고도 부른다. 보살승이란 보살들이 행하는 육바라밀이라는 여섯 가지의 실천덕목으로서 많은 사람들을 구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법을 말한다.
이러한 삼승의 가르침을 근기에 따라 차례대로 펼쳐놓은 것은 과거 현재 미래의 모든 부처님들이 다 같이 설하신 것이다. 얼핏 보면 그 가르침이 대단히 복잡하고 어려운 것 같지만 단 세 마디로 요약할 수 있다. 동안상찰 선사의 십현담의 표현대로 보면 ‘있다(有)’, ‘없다(空)’, ‘있고 없음을 모두 버리다[皆捐]’이다.
부처님이 맨 처음에는 “고통도 있고, 그 고통의 원인도 있고, 고통을 소멸한 경지도 있고, 고통을 소멸하는 길도 있다.”고 하였다. 그러다가 “앞서 말한 가르침과 그 사실들은 모두 공하다”고 하였다. 사람들은 이 두 가지 상반된 말에 다 집착하였다. 사람들은 ‘있음’에 집착하는 것은 번뇌요, 망상이요, 병이라는 사실을 쉽게 안다.
그러나 ‘없음’에 집착하는 것도 역시 번뇌요, 망상이요, 병인 줄 모른다. 그것은 ‘있음’에 집착하는 것 이상으로 깊은 병이다. 소금이 음식의 맛을 내는 데 특별한 효과가 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소금만 한 입 가득 먹으면 어떻게 되겠는가. ‘없음’은 ‘있음’에 대한 집착을 치료하는 데 특효약이지만 ‘없음’에 대한 집착 또한 ‘있음’에 대한 집착 이상으로 심한 고통이 된다. 그러한 사실을 모르는 사람들은 줄곧‘없음’에 집착하였다.
그래서 나중에는 세상의 모든 존재의 실상은 ‘없음’도 ‘있음’도 아니라고 설하였다. ‘있음’과 ‘없음’을 다 버리고 나니 ‘있음’과 ’없음‘ 모두에 걸리지 않으면서도 그 둘을 자유롭게 쓰는 중도적(中道的) 삶을 이룰 수 있게 되었다.
'100편의 명구·무비스님'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과 함께 하면서 초연하다[塵異] 2 (0) | 2008.08.13 |
---|---|
세상과 함께 하면서 초연하다[塵異] 1 (0) | 2008.08.13 |
교리를 널리 펼치다[演敎] 1 (0) | 2008.08.13 |
불교 공부하지 말라 (0) | 2008.08.13 |
근본을 깨닫다[達本] (0) | 2008.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