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심론(觀心論)-9. 관심(觀心)의 궁극적 의미 9. 관심(觀心)의 궁극적 의미 가만히 살펴보니, 요즘 식견이 얕은 사람들이 오직 형상 세우는 것으로 공덕을 삼아 재물을 많이 허비하고 물과 뭍의 중생을 많 해쳐서 망령되게 불상과 탑을 조성하며, 헛되이 사람들의 노력을 수고롭게 하여 나무나 진흙을 쌓아올리며, 울긋불긋 단청을 하여 마음과 힘.. 달마어록(達磨語錄) 2008.09.17
관심론(觀心論)-8. 염불의 진정한 의미 8. 염불의 진정한 의미 또 묻기를, "경에 이르기를, '지극한 마음으로 염불(念佛)하면 서방정토(西方淨土)에 왕생(往生)한다'고 하였으니, 이것은 묘문(妙門, 정토문)으로써 성불(成佛)한다는 것인데, 어찌 마음을 관찰하기만 하면 해탈을 기대할 수 있겠습니까?" 답하시기를, "염불하는 이는 반드시 바른.. 달마어록(達磨語錄) 2008.09.07
관심론(觀心論)-7. 목욕시킨다는 진정한 의미 7. 목욕시킨다는 진정한 의미 묻기를, "{온실세욕중승경(溫室洗浴衆僧經)}에 이르기를, '여러 스님들을 목욕시켜 주면 복을 한량없이 얻는다'고 하였으니, 그렇다면 어떤 법을 의지하여야 공덕을 이룰 수 있겠습니까? 마음을 관찰하기만 하여도 상응(相應)할 수 있겠습니까?" 답하시길, "여러 스님들을 .. 달마어록(達磨語錄) 2008.08.23
관심론(觀心論)-6. 참다운 공덕을 지어야 지복(智福)을 받음 6. 참다운 공덕을 지어야 지복(智福)을 받음 또 묻기를, "부처님께서 경에서 설하시기를, '중생으로 하여금 절을 짓거나 불상을 조성하거나 향을 사르고 꽃을 흩거나 장명등(長明燈)을 밝히거나 밤낮으로 여섯 차례 예불을 하거나 재계(齋戒)를 지키고 예배하는 등 갖가지 공덕을 닦게 하면 모두가 불도.. 달마어록(達磨語錄) 2008.08.23
관심론(觀心論)-5. 누구나 법유(法乳)를 먹으면 완전한 깨달음을 이룸 5. 누구나 법유(法乳)를 먹으면 완전한 깨달음을 이룸 또 묻기를, "경문에 설한 바에 의하면 '석가여래께서 보살행을 수행할 때에 일찍이 서말 여섯 되의 젖을 마시고서야 비로소 불도를 이루셨다'고 하시니, 먼저의 인행시에 젖을 잡수신 후에 불과(佛果)를 증득하셨는데, 어찌 마음을 관찰하기만 하면.. 달마어록(達磨語錄) 2008.08.18
관심론(觀心論)-4. 삼취정계(三聚淨戒)는 삼독(三毒)을 멸하는 것이다 4. 삼취정계(三聚淨戒)는 삼독(三毒)을 멸하는 것이다 또 묻기를 "보살마하살이 삼취정계(三聚淨戒)를 받아 가지고 육바라밀을 수행함을 말미암아서 바야흐로 불도를 이루려하거든, 이제 배우는 자로 하여금 오직 관심(觀心)을 수지하고 계행을 수행하지 않으면 무엇으로 성불할 것입니까?" 답하시기.. 달마어록(達磨語錄) 2008.08.15
관심론(觀心論)-3. 삼독(三毒)이 곧 삼아승지겁(三阿僧祗劫)이다 3. 삼독(三毒)이 곧 삼아승지겁(三阿僧祗劫)이다 또 물었다. "저 부처님께서 설한 바에 의할 것 같으면, 나는 저 아승지겁(阿僧祗劫)에 한량없이 부지런히 애써서 바야흐로 불도를 이루었다고 하셨거늘, 어떻게 지금에 말씀하신 것은 오직 삼독을 제거하면 곧 해탈이라 이름한다고 하십니까?" 답하시었.. 달마어록(達磨語錄) 2008.08.15
관심론(觀心論)-2. 일체 고통을 멸하여 해탈하려면 삼독(三毒)을 버려라 2. 일체 고통을 멸하여 해탈하려면 삼독(三毒)을 버려라 또 물었다. "위에서 설한 진여불성(眞如佛性)과 일체공덕은 깨달음으로 인해서 근본을 삼거니와 아직 자세히 알지 못하는 무명(無明)의 마음과 일체 모든 악은 무엇으로써 근본을 삼는 것입니까?" 답하시었다. "무명의 마음이 비록 팔만사천 번뇌.. 달마어록(達磨語錄) 2008.08.15
관심론(觀心論)-1. 깨닫고자 하면 마음을 관(觀)하라 1. 깨닫고자 하면 마음을 관(觀)하라 혜가(慧可)가 무었다. "만약 어떤 사람이 뜻으로 불도(佛道)를 구하려 한다면 마땅히 어떤 법을 닦아야 가장 간략한 요점이 됩니까?" 스님께서 답하시었다. "오직 '마음을 관하는' 일법(一法)만이 모든 행위를 총괄하여 포섭하는 것이니 이름하여 간략한 요점이라고 .. 달마어록(達磨語錄) 2008.08.15
각성론(覺醒論)-5 그러나 그대의 본성이 드러나기 전에 달마는 그대가 명심해야 할 한 가지 경험을 제시하고 있다. 만일 그대가 태양보다 더 밝은 빛을 본다면 그대 속에 남아 있던 집착은 갑자기 끝나 버릴 것이다. 그리고 실체의 본성이 드러날 것이다. 깨달음의 시작은 그렇게 나타난다. 그것은 깨달음의 전부가 아니.. 달마어록(達磨語錄) 2008.08.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