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화스님

[마음] 계율만큼 합리적인 도덕률,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아

通達無我法者 2007. 12. 26. 16:42

    계율만큼 합리적인 도덕률, 이 세상에 존재하지 않아


    불교를 말할 때, 우리는 그 교리가 주로 한문으로 표현되고 내용도 이래저래 갈래가 많아서 굉장히 난해하고 들어가기가 어렵다고들 합니다. 그러나 오랫동안 불문에 몸 담아온 나는 불교가 어렵다고 생각한 적이 한 번도 없습니다.
    왜 그런가 하면, 부처님 법의 요체(要諦)는 불자 여러분들이 대체로 아는 바와 같이 청정한 계율, 참선염불하는 선정, 인간의 본질과 우주만유의 근본 성품인 본체를 아는 지혜, 이 세 가지입니다. 이 세 가지야말로 우리 마음과 몸을 편하게 하고, 사람과의 관계나 모든 것을 순탄하게 합니다.

    계율은 꼭 지켜야 할 우주의 질서
    우리 인간이 지켜야 할 도덕률(道德律) 가운데 부처님이 설하신 계율같이 합리적인 것은 없습니다. 계율은 우리 사회생활에서 꼭 지켜야 할 우주의 질서입니다. 유교의 인의예지신(仁義禮智信)이나, 기독교와 이슬람교의 십계명(十誡命) 등 세계 종교의 우수한 도덕률도 다 불교의 계율에 들어 있습니다.
    계율만 제대로 지키면 자연적으로 우리의 마음도 편해지고 주위도 편해집니다. 우리가 참선염불을 해서 깊은 명상에 들어가려 하더라도 계율이 전제되지 않고서는 명상에 들어갈 수 없습니다. 흉내만 낼 뿐이지 마음이 정화(淨化)되지 않습니다. 명상이라는 것은 마음의 정화를 도모하는 것인데, 계율이 밑받침되지 않으면 명상을 해서 이루는 마음 정화는 올 수가 없지요.
    참다운 지혜는 반야(般若)의 지혜입니다. 세속적인 분별지혜, 차별적인 지혜, 이런 것은 우리 인간 의식의 범위 내에서 분별하는 것이지 초월적인 모든 존재 본질의 지혜는 못 됩니다. 따라서 좀 재주가 있고 학문적인 수련이 깊어서 분별적인 지혜는 어느 정도 익힌다 하더라도 이른바 분별을 떠난 현상적인 문제라든가 초월적인 문제를 통틀어서 제일의 것은 부처님께서 설하신 반야바라밀(般若波羅蜜)입니다.
    부처님의 가르침은 이른바 무위법(無爲法)입니다. 또는 무루법(無漏法)이라고도 합니다. 무위법은 인연 사이의 모양이 아닌, 그 모양을 지양(止揚)한 생명 자체의 가르침입니다. 이러한 것을 다른 종교의 교조가 전혀 모른 것은 아니라 할지라도, 부처님처럼 명확히 구분을 하지는 못했습니다.
    가령, 우리가 어느 누구에게 물질이라든가 여러 가지 것을 보시도 하고, 봉사활동도 한다고 합시다. 하지만 유위법의 범위 내에서는 '나'라는 관념과 '너'라는 관념을 떠날 수가 없고, 내가 물질을 많이 보시한다, 적게 보시한다는 그러한 상(相)을 떠날 수가 없습니다. 해탈(解脫)이라는 불교의 궁극적인 도리, 동시에 우리 인간의 본래적인 도리에 대해서는 상당히 미흡합니다.
    상을 떠나는 행위, 이것은 그 생각으로나 행위로나 참다운 자유를 보장하는 것입니다. 아무리 많은 재물을 보시한다 하더라도 상을 떠나서 행해야 그것이 도업(道業)이 됩니다.
    우리 불자들은 도업과 세간에서 착한 일을 해서 쌓는 선업(善業)에 대한 개념을 알아야 합니다. 중생이 하는 것은 아무리 좋은 것이라도 선업입니다. 욕계, 색계, 무색계와 같은 곳에 가는 것은 선업으로 가능합니다. 그러나 선업만으로는 우리의 번뇌를 모조리 소멸시켜서 영생해탈로 나아가게 할 수 없습니다.
    욕계를 초월하고, 색계를 초월하고, 또 무색계를 초월하고, 천상도 다 초월해서 정말로 대자유인, 참다운 자기인 대아(大我), 진아(眞我)의 존재까지 올라가기 위해서는 도업을 쌓아야 합니다.
    부처님 가르침은 참다운 해탈을 이루는 데 있습니다. 그러나 해탈은커녕, 아직 선업도 못 닦은 이가 많은 것을 볼 때 어림도 없는 일이라고 생각하기 쉽습니다. 그렇더라도 절대로 비관할 것이 없습니다.

    상을 떠나 우주만유의 본체인 불심을 깨달아야...
    비록 우리가 지금 세속적인 생활을 하고 있고, 인간의 몸으로 욕계의 굴레 가운데 있더라도 우리의 불성 자체는 조금도 오염되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석가모니부처님이나 달마대사 같은 도인들과 비교하더라도 우리 마음자리만은 조금도 차이가 없습니다. 똑같습니다.
    불지(佛地)에 오른 유마거사의 말씀을 모은『유마경(維摩經)』가운데 입불이법문(入不二法門)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부처님 상수제자(上首弟子)인 사리불, 목건련을 위시해서 32아라한에게 유마거사가 설한 법문입니다.
    둘이 아닌 그런 수승한 법에 들어가는 법문입니다. 그것은 모든 존재가 둘이나 셋이나, 이원론도 삼원론도 아니고 오직 일원론이라는 말입니다. 일원론은 나나 너나 달마, 석가, 우리 모두가 본체에 있어서는 아무 차이도 없다는 것이지요. 다만 현상에서 차이가 날 뿐입니다.
    '아니, 나 같은 중생과 대자대비하신 부처님이 왜 차이가 없다는 것인가' 하고 의심을 품는 분도 계시겠지요. 차이가 있는 모양에서 의심을 품을 수는 있습니다. 그러나 불교말로 구체화하여 나라는 상, 너라는 상, 중생이라는 상, 또는 우리 수명이나 시간이 짧다고 하는 상을 다 떠나버린 경지에서 본다면 조금도 차이가 없습니다.
    그렇다면 상을 어떻게 여읠 것인가? 상을 여의는 법문이 바로 유마거사의 입불이법문입니다. 천지우주 모두가 다 하나라는 것입니다. 중생과 성자의 차이는 무엇일까요? 성자는 모든 것을 하나의 생명으로 보는데, 중생들은 모든 것을 업장이라는 안경을 쓰고 천차만별로 본다는 데 있습니다. 따라서 중생은 평생 분별만 합니다.
    요즘같이 정보가 홍수처럼 몰려들 때는 상당히 편리한 점도 있으나, 우리 불자들의 수행에는 걸림이 많습니다. 그렇지 않아도 복잡한데, 정보화시대의 정보라는 것이 얼마나 무시무시합니까? 컴퓨터는 문명의 이기임에는 틀림이 없어 물질적인 편리함을 줄 수는 있어도, 우리 생명 자체에는 아무런 도움을 주지 못합니다.
    인류가 차근차근 발전되어 간다고 사람들이 말합니다. 사는 모양은 좀 발달돼 가겠지요. 그러나 정작 우리 마음으로 봐서는 발달은커녕 점점 퇴화한다고 봐야 합니다. 50억 인구가 사는 이 지구상에 참다운 성자가 몇이나 있을 것인가 생각할 때 참으로 한심스럽습니다.
    불자들은 겉을 꾸미는 데 집착하지 말고, 속절있게 모든 일을 해야 합니다. 상에 끄달려 행하는 모든 것은 부처님 법을 자기 것으로 하는 데 전혀 도움이 안 됩니다. 이른바 상을 떠나 모두를 하나의 생명으로 본다는 것은, 그냥 하나의 생명으로 본다는 것이 아니라 우주만유의 본체인 불심(佛心)을 깨닫는 것을 뜻합니다.
    상으로 봐서는 제아무리 많은 현상이 있다고 하더라도 근본자리에서는 모두가 다 하나입니다. 불교에서는 이러한 근본자리와 현상의 것을 물과 물결의 비유로 설명합니다. 근본자리는 물에, 현상적인 문제는 바람 따라 일어나는 파도에 빗댄 것입니다. 우리는 본질을 보지 못한 채 업장의 현상만 볼 뿐, 나의 본질도 너의 본질도 못 보고 만유의 본질도 보지 못합니다.
    우리 인간뿐 아니라 식물, 동물, 모든 두두물물의 본바탕이 바로 불성이고, 일체 존재의 본질이기에 불성(佛性)이라고 합니다. 법성(法性), 실상(實相), 도(道), 열반(涅槃), 여래장(如來藏) 등도 같은 뜻입니다. 표현은 비록 다르더라도 근본은 똑같습니다.
    모두가 하나라는 것은 불심자리, 불성자리에서 하나라는 것입니다. 성자는 그 자리가 하나된 사람입니다. 그러나 우리 중생은 아직 그 자리가 보이지도 않습니다. 다행히 우리에게는 부처님 같은 성자들의 가르침이 있기에 마음의 본질이 불심임을 믿음으로 아는 것입니다.

    일체 존재의 본질을 아는 것이 철학이다
    지금 우리 한국은 여러 모로 어려운 시기에 처해 있습니다. 고민도 많이 하고, 더러는 비극적인 일들도 생깁니다. 그 원인이 어디 있는 걸까요?
    경제학자나 철학자들이 나름대로 분석을 내놓겠지만, 가장 근본적인 원인은 사람이 자기의 본바탕을 모르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가도 알 턱이 없습니다. 세속적인 말로 '철학의 빈곤'입니다. 철학이 없습니다. 칸트, 니체 이런 것에 박식하다고 해서 철학이 아닙니다. 일체 존재의 본질이 무엇인가를 아는 것이 철학입니다. 우리가 아무리 불경을 통달할 정도로 외우더라도 그 본질자리를 알지 못하면 소용이 없습니다.
    요즘 나라경제나 개인경제나 모두 거품을 걷으라고들 말합니다. 그렇습니다. 우리 중생 모두가 거품을 가지고 삽니다. 아무리 금붙이를 많이 지녔다 하더라도 그것은 그림자에 그림자를 붙인 것입니다. 마음 찾기에는 하등 도움이 안 됩니다. 일체 물질이 사실은 텅텅 빈 것입니다.『반야심경』에 왜 '색즉시공(色卽是空)'이라 했을까요? 물질 그대로가 공(空)이기 때문입니다.

    과학자같이 물질을 분석해서 아는 것이 아닙니다. 당체즉공(當體卽空)이고, 삼계유심(三界唯心)이라, 중생이 생사윤회하는 모든 세계인 삼계에 오직 마음뿐이란 말입니다. 마음이란 것은 순수생명입니다. 순수생명 외에 다른 것은 모두가 헛것이라는 겁니다.『금강경』에서 말하는 도리가 모두 이런 도리입니다.

    부처님 가르침대로 살면 이 세상이 극락세계
    초월적인 본래의 자리에 가지 않고서는 절대로 해탈되지 않습니다. 그렇기에 부처님께서는 일체법이 모두 '공'이라고 설했습니다. 중생이 보는 모든 것은 꿈이요, 허깨비요, 그림자요, 또는 아지랑이라고 말씀하셨지요. 이렇게 말씀을 드려도 여러분은 여실히 이해가 안 되실 것입니다.
    내 몸뚱이가 모두 비었거니, 내 집이나 재산도 내것이 아니라 잠시 내가 맡아 있을 뿐이라고 생각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하고 죽어서도 가지고 갈 것같이 집착을 보이지요.
    부처님 가르침대로 살아 보세요. 그것처럼 편하고 쉬운 일이 없습니다. 그러면 이 세계가 순식간에 극락세계가 되는 것입니다. 성자의 안목에서 본다면 당체즉공이기 때문에 이 세계 그대로가 모두 공입니다. 공의 알맹이가 무엇인가, 그 실체가 무엇인가, 바로 불성이란 말입니다. 광명 찬란한 불성이 이 우주에 충만해 있습니다.
    지금은 모양으로 살지만 몇억 겁 뒤에는 우주의 법에 따라 모두 파괴, 소멸됩니다. 따라서 그러한 참담한 재해를 입지 않기 위해서 열심히 정진해, 그 전에 해탈의 자리에 올라야 합니다.
    다행히 부처님 법은 대자대비한 법이기 때문에 우리 중생이 차근차근 공부해서 모두 천상에 올라간 후에 파괴가 됩니다. 기독교의 '최후의 심판'과 같이 비극적인 최후가 아니라는 것이지요. 파괴가 된 다음에는 다 텅텅 빈 공무변(空無邊)이라, 거기에는 마음만 있는, 식(識)만 존재하는 중생만이 있습니다. 그리고 우주가 텅 빈 데서 다시 모양이 이루어집니다. 이것은 제 말이 아니라 부처님 말씀입니다.
    위대한 철인도 학자도 결국에는 부처님 법으로 회귀하고 있습니다. 현대물리학도 점차로 증명해 가고 있어요. 불교는 가장 투철한 과학인 동시에 가장 궁극적인 철학, 영생해탈의 종교입니다. 해탈의 길로 가기 위해서 우리는 세간법(世間法)을 지양하고 제법이 비었음을 깨달아야 합니다.
    마음을 가다듬어서 내 행복을 위해서나, 우리 민족의 웅비(雄飛)를 위해서나, 지금 현재 우리가 겪고 있는 경제난국 극복을 위해서나, 어렵고 힘들수록 부처님 가르침을 지극하게 따라야 합니다. 부처님 말씀은 마음법뿐 아니라 우리 몸에도 제일 좋은 묘방입니다. ◈

    [- 불기 2542년 반야사, 특별법회 법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