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색성향미촉법 無色聲香味觸法
여섯가지 감각의 뿌리와 대상
지금까지 설명드린 '안 · 이 · 비 · 설 · 신 · 의'를 6근六根이라고 합니다. 뿌리 근자를 쓰는게 재미있는데, 감각의 제 1선이고 각 기관의 뿌리라 생각하면 수긍이 갑니다. 도표를 하나 만들겠습니다.
6근(6根) |
+ |
6경(6境) |
= |
12처(12處) |
안 |
|
색 |
→ |
눈으로 대상인 물질을 인식 |
이 |
|
성 |
→ |
귀로 대상인 소리를 인식 |
비 |
|
향 |
→ |
코로 대상인 냄새를 인식 |
설 |
|
미 |
→ |
혀로 대상인 맛을 인식 |
신 |
|
촉 |
→ |
몸으로 대상인 감촉을 인식 |
의 |
|
법 |
→ |
생각으로 무형, 유형의 대상을 인식 |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색 · 성 · 향 · 미 · 촉 · 법'은 6경六境이라 하며 경계 경境자를 쓰는 의미는'나'와 생각의 대상인 '바깥의 무엇'이 부딪치는 경계 지점이기 때문이라고 편하게 새기셔도 좋습니다.그러나 선적禪的인 언어로'지금의 경계가 어떠냐?'는'지금 네 마음의 상태가 어떠하냐?'라는 의미가 되기도 합니다.
이제 당면한 문제는 6근六根의 마지막인 의意의 작용을 일으키는 대상을 법法이라 한 것을 이해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반야심경에서는 공중(空中)'무법無法'이라 한 문제도 마찬가지입니다. 여기서부터는 생각을 잘 가다듬을 필요가 있는데, 왜냐하면 지금 말하고자 하는 '법'을 진리의 법, 즉 불법佛法을 지칭하는 말과 혼동하지 말아야 하기 때문입니다.
시각의 대상이 사물이고 청각의 대상이 소리이듯이 그냥 생각을 일으키는 대상을 '법'이라고 부르는 것입니다. 이런 개념으로 이해하면 번뇌도 망상도 그 대상이 법이요 진리라, 생각을 일으키는 대상도 법이 되는 것입니다. 다만 '진리라 생각하는 것을 법이라 한다'는 말과, 그 '법이 곧 진리다' 하고는 전혀 별개의 문제란 말씀인데 좀, 헷갈리실 겁니다.
이럴 땐 적절한 비유를 들어 설명하라고 부처님은 제자들에게 말씀하셨습니다. 저도 어떤 이는 인정 하지 않을는지 몰라도 겉으로는 출가를 했고, 주민등록에도 '중'으로 되어있으니 부처님 제자라 우길 수 있을 터이므로 스승의 가르침을 따라보겠습니다.
몇 년 전인가 민통선 근처에서 집단생활 하는 사이비 종교집단에서 사람이 죽어도 교주말대로 생수인지 무슨 물인지를 뿌리면 썩었던 시신도 부활한다며 그대로 '보관'해서 우리에게 큰 충격을 준 적이 있었습니다. 반야심경과 연관지어 설명하면, 그 사람들의 생각(意)의 대상인 '물 뿌리면 부활'이 바로 이런 의미의 법이 되는 겁니다. 그러니 여기서의 법은 불법이니 진리니 하는 차원의 법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意)의 대상으로서 정신적으로 존재한다고 확신하는 유형, 무형의 '그 무엇'을 법이라 한다는 말씀입니다. 이 부분을 확실히 해두어야 뒤에 불법의 깊이와 깨달음의 단계 등을 설명할 때 지금의 '법'이라는 말과 혼동하지 않습니다.
다시 한번 확인해 두자면 보통 사람들은 경전에서 법이라는 용어를 쓰니, 당연히 불법과 진리의 법을 의미하는 것이겠지 하고 생각하는데 이런 선입관을 버리란 말씀입니다.
반야심경에서의 공중(空中)'무법無法'은 이렇듯 법에도, 다시 말해 생각을 일으키는 눈에 보이지 않는 대상과 관념에도 집착하지 말라는 깊은 뜻이 있는 것입니다.
※ 본 내용은 성법스님 저서인 '마음 깨달음 그리고 반야심경'을 보내드리는 것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