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노사나불과 가섭

通達無我法者 2007. 12. 10. 10:44

대가섭이 불립문자의 이치 깨닫다

〈선문보장록〉은 고려시대 천책(天)스님이 기존의 선에 관련된 찬술서 특히 전등사서(傳燈史書)로부터 금과옥조와 같은 내용만 골라서 엮은 책이다. 특히 선과 교를 대비시켜가면서 선의 특징을 부각시키려는 점에 주안점을 두고 있다. 따라서 상.중.하의 3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가운데 권상에서는 선교대변문(禪敎對辨門)이라는 제목하에 25칙을 수록하고, 권중에서는 제강귀복문(諸講歸伏門)이라는 제목하에 25칙을 수록하였으며, 권하에서는 군신숭신문(君臣崇信門)이라는 제목하에 39칙을 수록하였다. 이들의 내용은 모두 선주교종(禪主敎從)의 입장에서 선과 교의 일체 내지는 합일의 입장을 피력한 것이다. 이로부터 〈선문보장록〉에 수록되어 있는 내용을 중심으로 해설과 더불어 그 진의를 살펴보고자 한다.

 

노사나불이 보리수 아래서 비로소 정각을 성취했을 때 이심전심과 불립문자의 방식으로 모든 대중들로 하여금 돈증(頓證)하고 돈오(頓悟)케 하였다. 그런데 오직 가섭상좌만 그와 같은 비밀스럽고 생각하기 어려운 경지에 들어갔고, 나머지 문수와 보현 등 팔만의 보살대중은 가섭이 들어간 경지를 알지도 못하였다. 

 

이에 대한 출처는 〈본생경〉으로 되어 있다. 배경은 마갈타국의 적멸도량이다. 여기에서 노사나불은 비로자나불로서 법신을 가리킨다. 법신인 비로자나불이 보리수라는 나무 아래서 정각을 성취했을 때는 이미 화신의 몸을 통해서 석가모니불로 등장해 있다. 그러나 비로자나불이 성취한 정각은 자내증(自內證)의 경지이므로 그에 상응하는 사람이 아니라면 엿볼 수도 없고 전할 수도 없으며 언설로 표현할 수도 없다. 때문에 오직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하는 이심전심의 방식일 수밖에 없고 언설의 집착을 초월해 있기 때문에 굳이 불립문자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미 깨침을 터득했던 가섭상좌만이 그것을 이해하고 수긍할 수 있었다.

 

언설 집착한 대중과 달리

마음으로 법을 이어받아

가섭이 불타의 마음과 계합되었다는 것에 대해서는 일찍이 다음과 같은 일화가 있다. 왕사성에서 가까운 마하사라원(摩訶沙羅院)의 마을에 가섭(迦葉)이라는 사람이 있었다. 가섭은 동명이인이 아주 많기 때문에 구별하기 위해서 대가섭이라 불리웠다. 대가섭은 불타가 죽림정사에 계시다는 말을 듣고 그 제자가 되려고 집을 나섰다. 그리고 왕사성 가까이 있는 다자탑(多子塔) 부근에서 한 명의 사문이 정좌하고 있는 모습을 발견하고 곧 불타라는 것을 직감하였다.

“세존이시여, 당신은 저의 스승이시고 저는 당신의 제자입니다.” 불타는 대가섭의 마음을 꿰뚫어보고 있었다.

“그대는 진정으로 내 제자이다. 그리고 나는 그대의 스승이다. 만약 진정한 정각을 터득하지 못한 자가 그대의 스승이 된다면 그 사람의 머리는 일곱 조각으로 파열해버리고 말 것이다. 그대는 인간의 육체가 얼마나 무상한 것인지 잘 알고 있을 것이다.” “그렇습니다. 세존이시여, 알고 있습니다.” “오늘 그대가 나한테 올 줄을 미리 알고 있었다. 왜냐하면 그대의 마음은 나를 찾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처럼 대가섭의 진심은 이미 불타의 진심과 통해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가섭과는 달리 여기에 등장하는 문수와 보현 등은 모두 성문대중을 의미한다. 성문대중의 경우 불타의 마음을 읽어내지도 못하고 더욱이 가섭의 마음조차 꿰뚫어보지 못하는 부류이다. 그러나 가섭의 마음은 불타의 정법안장을 계승한 존재이기 때문에 사자상승의 계기를 엮어가고 있다. 

 

동국대 선학과 교수

현각스님은 동국대 불교대학장, 정각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한국선학회 회장과 동국대 선학과 교수로 활동하고 있다.

'선문보장록(禪門寶藏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교외별전  (0) 2007.12.10
선법의 종류  (0) 2007.12.10
전법의 상승  (0) 2007.12.10
삼매의 바다  (0) 2007.12.10
염화미소  (0) 2007.1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