앙산록(仰山錄)

앙산록 4

通達無我法者 2008. 2. 15. 09:56

31.

판사〔侍榮〕 벼슬을 지내는 유(劉)거사가 마음을 깨치는 종지에 대해 물으니 스님께서는 말씀하셨다.

"마음을 깨치려면 무심(無心)해야만 한다. 깨달으려는 마음조차 없는 것이 참된 깨우침이다."

32.

상공(相公) 육희성(陸希聲)이 스님을 배알하려 하면서, 먼저 동그라미〔○〕를 그려 봉투에 봉하여 앙산스님께 보냈다. 앙산스님은 봉투를 열어 동그라미 바로 밑에다 이렇게 쓰셨다.

"생각하지 않고 알아도 두번째에 떨어지며, 그렇다고 생각하여 알면 세번째에 떨어진다."

그리고는 다시 봉해서 되돌려 보냈다. 육상공이 보고 나서 바로 산으로 들어가자 스님은 문에서 맞이하셨다. 상공은 문에 들어서자마자 스님께 물었다.

"3문(三門)이 활짝 열렸는데 어느 문으로 들어가야 할까요?"

"믿음의 문〔信門〕을 따라 들어가시오."

상공이 법당에 이르러 또 여쭈었다.

"마군의 경계를 벗어나지 않은 그대로 부처님의 세계로 들어갈 경우는 어떠합니까?"

스님께서 불자를 거꾸로 들어 세 번 내려치자 상공이 얼른 절을 올리고는 또 여쭈었다.

"스님께서도 계율을 지니십니까?"

"계율을 지니지 않소이다."

"좌선은 하십니까?"

"좌선도 하지 않소이다."

상공이 말 없이 한참 있자 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알았읍니까?"

"모르겠읍니다."

앙산스님께서 말씀하셨다.

"노승의 게송 하나를 들어보시오.

도도하여 계율도 지니지 않고

올올히 좌선도 하지 않네

그저 진한 차 서너 사발에

마음은 저 밭에 가 있도다.

滔滔不持戒 不座禪

茶三兩椀 意在頭邊

게송을 다 읊은 뒤 다시 물으셨다.

"듣자오니 상공께서는 경을 보다가 깨달았다고 하던데 그런지요?"

"제자는 『열반경』에서 `번뇌를 끊지 않고 그대로 열반에 <들어간다>'고 한 귀절을 보고서 편안한 경지를 얻었읍니다."

스님은 불자를 일으켜 세우시면서 말씀하셨다.

"그렇다면 어떻게 들어가겠소?"

"들어간다는 말도 필요치 않습니다."

"들어간다는 한 마디의 말은 상공을 위해 있는 것이 아니오."

이 말을 듣자 상공은 일어나더니 그만 가버렸다.

* 법등(法燈)스님은 말하였다.

"그대들은 말해 보아라. `들어간다'라는 한 마디의 말이 누구에게 소용있는지를."

또 말하였다.

"상공은 무엇보다 번뇌를 일으키지 마소서."

설두 중현스님은 앙산스님이 불자를 들었던 것에 대해 달리 대꾸 하였다.

"불자가 제 손에 들어왔읍니다."

또, 뒷말에 대해서도 이렇게 달리 말하였다.

"나는 그대가 속인이라고 생각했었네."

33.

위주(韋宙)스님이 위산스님께 게송 하나를 써달라고 하자 위산스님께서 말씀하셨다.

"얼굴을 마주하고 전해 주어도 모르는 둔한 놈이거늘, 하물며 종이나 먹으로 설명할 수 있으랴."

이번에는 스님에게 와서 청하니, 스님은 종이 위에 동그라미 하나를 그리고 그 밑에 이렇게 주(註)를 달았다.

"생각하여 알면 두번째에 떨어지고, 생각하지 않고 알면 세번째에 떨어진다."

34.

스님이 사미였을 때, 화안 통(和安通)스님이 스님을 부르며 침상을 가져오라고 하여 가지고 가자 이렇게 말하였다.

"다시 제자리에 갖다 두어라."

스님이 그대로 갖다 두자 화안스님이 "혜적아!"하고 불렀다. 스님이 "예"하고 대답하자 화안스님은 말하였다.

"침상 저쪽은 어떤 물건이더냐?"

"베개입니다."

"베개 이 쪽은 어떤 물건이냐?"

"물건이 없읍니다."

화안스님은 다시 "혜적아"하고 불렀다. 스님이 "예"하고 대답하자 화안스님은 말하였다.

"이것이 무엇이냐?"

35.

스님이 사미였을 때, 어떤 스님이 석상(石霜)스님에게 물었다.

"달마스님께서 서쪽에서 오신 뜻은 무엇입니까?"

석상스님이 대답해 주었다.

"천 길 우물 속에서 한 치의 노끈도 쓰지 않고 빠져나온 사람이 있다면 그 사람이 바로 너에게 달마스님이 서쪽에서 오신 뜻을 대답해 주겠다."

그러자 그 스님은 또 말하였다.

"요즈음 호남지방에는 창(暢)스님이란 분이 나와 사람들이 이런 말 저런 말을 한다던데요."

석상스님은 사미(앙산)를 부르시더니 "이 시체를 끌어내라" 하셨다.

그 후 스님(앙산)은 탐원스님에게 물었다.

"어떻게 해야 우물 속에서 빠져나온 사람이 됩니까?"

탑원스님은 말씀하셨다.

"쯧쯧, 어리석은 놈아! 누가 우물 속에 있다더냐?"

그 후에 위산스님께 다시 이것을 여쭈었더니 위산스님께서 "혜적아!" 하고 부르셨다. 스님(앙산)이 "예"하고 대답하자 이렇게 말씀하셨다.

"벌써 빠져나왔구나"

스님이 앙산에 살게 된 뒤로 항상 이 이야기를 대중에게 들려주셨다.

"나는 탐원스님 회상에서 이름〔名〕을 들어 보았고, 위산스님 회상에서 경지〔地〕를 얻었다."

36.

스님이 사미였을 때, 소리 높여 경전을 외우자 유원(乳源)스님이 혀를 차면서 말하였다.

"경전 외우는 소리가 마치 사람 죽었을 때 곡하는 소리같군."

이 말을 듣고 스님이 말하였다.

"저는 이러할 뿐입니다만, 스님께서는 어떠하신지요."

유원스님이 돌아보자 스님은 또 말하였다.

"이렇다면 곡을 하는 것과 무엇이 다르겠읍니까?"

유원스님은 그만두어 버렸다.

37.

스님이 동사 여회(東寺如會:744~823)스님을 찾아뵙자 동사스님이 물었다.

"그대는 어디 사람이냐?"

"광남(廣南) 땅 사람입니다."

"내가 들으니 광남 땅에는 진해(鎭海)의 명주(明珠)가 있다던데, 그런가?"

"그렇습니다."

"그 구슬이 어떠한가?"

"보름 이후는 숨고, 보름 이전엔 나타납니다."

"가져 왔느냐?"

"가지고 왔읍니다."

"왜 나에게 보여주질 않느냐?"

스님이 차수를 하고 앞으로 가까이 나아가 말하였다.

"어제 위산스님께서도 이 구슬을 찾으셨는데 말로 설명할 수 있는 것도 아니고, 그렇다고 이치로 드러낼 것도 아닙니다."

동사스님은 말하였다.

"진짜 사자새끼라서 포효를 잘 하는군."

* 장산 근(張山)스님은 말하였다. "동사스님은 구슬 한 개를 찾았을 뿐이지만 앙산스님은 도리어 한 소쿠리를 모두 얻었다."

38.

스님은 절을 올리고는 태도를 가다듬고 올라가 절을 하였다. 동사스님이 보시더니 이렇게 말씀하셨다.

"이미 보았는데…."

"이렇게 보았으면 되지 않을는지요."

동사스님은 방장실로 되돌아가 문을 닫아 버리셨다. 스님이 돌아와 위산스님께 자초지종을 말씀드리자 위산스님께서 말씀하셨다.

"혜적아, 무슨 심사〔心行〕냐?"

스님은 말하였다.

"이렇게 하지 않았다면 어떻게 그를 알 수 있었겠읍니까?"

* 보복 종전(保福從展:?~928)스님은 말하였다.

"앙산스님이 한 짓은 모기가 무쇠소에 올라탄 꼴이다.."

승천 전종(承天傳宗)스님은 말하였다.

"앙산스님은 동사스님을 알았으니 억지로 도리를 설명해 주면 안된다. 설사 위산스님이 직접 동사스님에게 갔다고 하더라도 보지 못했을 것이다."

39.

스님이 동사스님께 여쭈었다.

"한 길을 빌려 저쪽으로 지나갈 수 있겠읍니까?"

"모름지기 출가사문이라면 단지 한 길〔一路〕이라도 용납해서는 안된다. 달리 무엇이 있느냐?"

스님이 한참 잠자코 있자 이번에는 동사스님께서 물으셨다.

"한 길을 빌려서 저쪽을 지날 수 있느냐?"

"모름지기 출가사문이라면 단지 한 길이라도 용납해서는 안됩니다. 달리 무엇이 있겠읍니까?"

이어서 동사스님이 "다만 `이것'이 있을 뿐이다." 하자 스님은

"이 나라〔唐〕 임금님은 분명히 성(性)이 김씨(金氏)입니다(당나라는 李씨가 세웠다)"하였다.

40.

스님이 중읍 홍은(中邑洪恩)스님의 회상에 있으면서 사계(謝戒:선림에서 사미가 득도수계한 뒤에 스승이 있는 곳으로 가서 절을 올리는 것)하자 중읍스님은 입을 치면서 박자를 맞추었다. 스님이 서쪽에서 동쪽으로 지나가니 또 입을 치면서 박자를 맞추었다. 다시 동쪽에서 서쪽으로 지나가니 또 입을 두드리면서 박자를 맞추었다. 그리고 나서 스님이 중읍스님의 바로 앞에 서서 사계(謝戒)했더니 중읍스님은 말하였다.

"어디에서 이 삼매(三昧)를 얻었느냐?"

"조계(曹溪)스님으로부터 도장〔印子〕을 찍어 내왔읍니다."

"말해 보아라. 조계스님은 이 삼매로 어떤 스님를 지도했는가?"

"일숙각(一宿覺:玄覺)을 지도했읍니다."

스님은 중읍스님에게 말하였다.

"스님께서는 어디에서 이 삼매를 얻으셨읍니까?"

"나는 마조(馬祖)스님의 회상에서 이 삼매를 얻었다네."

* 낭야 혜각스님은 말하였다.

"근심있는 사람은 근심있는 사람에게 말하지 말라."

'앙산록(仰山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앙산록 6  (0) 2008.02.15
앙산록 5  (0) 2008.02.15
앙산록 3  (0) 2008.02.15
앙산록 2  (0) 2008.02.15
앙산록 1  (0) 2008.02.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