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보감(人天寶鑑)

22. 전생의 원 (願) 을 이어 / 변재 원정 (辯才元淨) 법사

通達無我法者 2008. 2. 20. 11:27
 

22. 전생의 원 (願) 을 이어 / 변재 원정 (辯才元淨) 법사



변재 원정 (辯才元淨) 법사는 항주 (杭州)  어잠 (練潛)  사람이었다. 태어나면서부터 왼쪽

어깨살이 가사의 매듭같이 솟아올라 있었다가 81일 만에 없어지니 그의 아버지가 감탄하여

말했다.

ꡒ이 아이는 전생에 사문이었으니 그 원 (願) 을 빼앗지 말고 자라면 부처님을 모시게 하겠

다."

법사가 세상을 떠난 그 해가 실로 81세였으니 아마도 이는 숙명인 것 같다. 출가한 후에는

법좌를 볼 때마다 감탄하며, 저기에 올라 설법을 해서 사람들을 제도하는 것이 자신의 원이

라고 하였다.

처음에는 자운 (慈雲遵式) 스님을 찾아가서 밤낮으로 열심히 정진하였다. 배움과 실천이 함

께 향상하여 몇해 안 가서 자운스님의 상좌들과 나란히 앉게 되었는데, 자운스님이 죽고 난

뒤에는 다시 사명산 (四明山) 의 조소 (祖韶) 스님을 모셨다. 조소스님이 천태지관 (天台缺

觀) 을 가르치다가 ꡒ한끼의 밥으로 일체에게 보시하며 모든 불보살에게 공양한 다음에야

먹을 수 있다" 하신 방편오연 (方便五緣) 에 나오는 유마거사의 말씀까지를 이야기하니, 원

정스님은 그 말 끝에 깨닫고는 ꡒ오늘에야 색, 소리, 냄새, 맛이 본래 제일의제 (第一義諦)

를 갖추고 있음을 알게 되었습니다. 앞으로는 사물을 대할 때 마음 속에 의심이 없을 것입

니다" 하였다.

당시 심숙재 (沈叔才) 가 항주 (杭州) 를 다스리고 있었는데, 그는 관음도량 (觀踵道場) 은

경 공부와 참회로 불사를 하는 곳이니 선수행자들이 살 곳은 아니라고 생각하여 마침내 스

님에게 교학하던 곳을 선도량으로 바꾸라고 명하였다. 스님이 그곳에 도착하자 오월 (吳越) 

사람들은 마치 부처님이 세상에 나오시기라도 한 것처럼 귀의하고 부모를 공양하듯 스님을

모셨다. 돈, 베, 비단 등의 보시가 구하지 않아도 저절로 들어왔다. 그러다가 천축사 (天竺

寺) 에 머문 지 14년 되던 해, 그 절의 부 (富) 를 탐내는 사람이 스님을 협박하여 쫓아내

니, 스님은 기꺼이 떠나면서 그것을 마음에 품지 않았다. 이 일로 천축사 대중들이 사방으로

흩어지자 사건이 조정에 알려져 다음 해에 스님이 다시 옛자리로 돌아오게 되었다. 스님은

마지 못해 돌아오는 듯하였고, 대중들은 다시 크게 모였다. 스님과 세속을 벗어난 도반이었

던 조청헌 (趙淸龜) 은 이 일을 보고 찬 (讚) 하였다.



스님께서 천축사를 떠나니 산은 비고 귀신이 울었는데

천축사에 스님께서 돌아오니 도량에는 빛이 찬란하도다.

師去天竺山空鬼哭  天竺師歸道場光輝



스님은 그곳에 다시 2년을 머물다가 하루는 대중에게 말씀하셨다.

ꡒ성인이었던 우리 조사 지자 (智者) 대사도 중생교화를 더 급하게 여겨 자기 수행에는 해

가 되었기에 수행위로는 철륜왕 (鐵輪王) *이 되어야 하는데도 오품위 (五品位) *까지밖

에 증득하지 못하셨는데, 하물며 범부야…" 하고는 그곳을 떠나서 종남산 (終南山)  용정

(龍井) 에서 노년을 보냈다. 갈대와 대나무로 지붕을 덮고, 문 닫고 좌선하여 종일 아무소리

가 없었다. 이는 나뭇잎이 떨어지고 뿌리가 자라는 겨울의 마른 나무와 같은 경지며, 바람이

자고 파도가 가라앉은 옛우물과도 같은 경지였다. 그리하여 사람들은 스님을 「눌 (訥:말더

듬이) '이라고 불렀다.

스님은 계율을 엄격히 지켰으며 밤낮을 가리지 않고 설법을 하였는데 한번은 이렇게 말하였

다.

ꡒ귀신의 힘으로는 두렵게 할 수 없다. 낮에는 말을 해도 여기까지 오지 않는 수가 있고 밤

에 사람들이 조용해야 들릴 정도이기 때문이다."

한번은 손가락을 태워 부처님께 공양을 했다. 그래서 오른손가락 2개와 왼손가락 3개로 겨

우겨우 물건을 잡았는데 그 문도들 중에 따라하려는 자가 있으면 번번히 못하게 하면서, 동

파 (蘇東坡) 라야 나처럼 할 수 있다고 하였다.

하루는 누군가가 와서 북산 (北山) 에 스님과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는 사람이 몇 있다고 하

니 스님은 밀행 (密行) 하는 승려들의 경계는 내가 추측할 수 없다고 하였다.

「용정잡비 (龍井雜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