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마어록(達磨語錄)

달마 관심론(觀心論). 8

通達無我法者 2008. 3. 2. 14:54

 

 

달마 관심론(觀心論). 8

 

 

 

몸 가운데 진여불성 녹여서
계율의 틀에 넣으면 ‘眞容의 모습’


 

以大慈悲憐憫一切故 於淸淨法體中
이대자비연민일체고 어청정법체중
流出如是三聚淨戒 六波羅密
유출여시삼취정계 육바라밀
微妙法乳 乳養一切求解脫者
마묘법유 유양일체구해탈자
飮如是淸淨之牛 淸淨之乳
음여시청정지우 청정지유
非獨如來飮之成道 一切衆生
비독여래음지성도 일체중생
若能飮者 皆得成阿뇩多羅三먁三普提
약능음자 개득성아뇩다라삼먁삼보리
又問曰 佛說經中 令衆生修造伽藍
우문왈 불설경중 영중생수조가람
鑄寫形像 燒香散花 燃長明燈
주사형상 소향산화 연장명등
日夜六時行道 持齋禮拜
일야육시행도 지재예배
種種功德 皆成佛道 若唯觀心
종종공덕 개성불도 약유관심
摠攝諸行 說如是事 應虛妄也
총섭제행 설여시사 응허망야


 

대자비로 모든 중생을 가엾이 여겨 청정한 법체에서

이러한 삼취정계와 육바라밀의 미묘한 법유(法乳)를 흘려내리게 해서

해탈을 구하는 이들을 법유로 기르시니,

이와 같은 청정한 소의 청정한 우유를 마시면 비단 부처님만 그걸 드시고 성도(成道)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중생도 마시기만 하면 위없이 바르고 참된 도를 얻게 된다.”

 

다시 물었다.

“경전에는 ‘중생이 절을 짓고 성상(聖像)을 세우고,

향을 사르고,

꽃을 뿌리고,

장명등을 켜고,

밤낮으로 여섯 차례나 행도(行道)하고,

재계(齋戒)를 지키며,

예배를 올리는 등 여러 가지의 공덕을 닦으면 불도를 이룬다’ 하셨는데,

오직 관심법(觀心法)에 모든 수행이 포함된다 하시니 이건 전혀 허망한 말 같습니다.”

 

答曰 佛所說經 有無量方便
답왈 불소설경 유무량방편
以一切衆生 鈍根狹劣
이일체중생 둔근협열
不悟甚深之義 所以假有爲事
불오심심지의 소이가유위사
喩無爲理 若復不修內行 唯只外求
유무위리 약부불수내행 유지외구
希望獲福 無有是處 言伽藍者梵音
희망획복 무유시처 언가람자범음
此言淸淨處也 若永除三毒 常淨六根
차언청정처야 약영제삼독 상정육근
身心湛然 內外淸淨 是則修伽藍也
신심담연 내외청정 시즉수가람야
又鑄寫形像者 卽一切衆生
우주사형상자 즉일체중생
求佛道也 所謂修諸覺行 假像如來眞
구불도야 소위수제각행 가상여래진
容妙相 豈道鑄金銅之所作也
용묘상 기도주금동지소작야
是故求解脫者 以身爲爐 以法爲火
시고구해탈자 이신위로 이법위화
以智慧爲工匠 三聚淨戒 六波羅密
이지혜위공장 삼취정계 육바라밀
以爲模樣 鎔鍊身中眞如佛性
이위모양 용련신중진여불성
遍入一切戒律摸中 如敎奉行
변입일체계율모중 여교봉행
一無缺漏 自然成就眞容之相
일무결루 자연성취진용지상
所謂 究竟常住微妙法身
소위 구경상주미묘법신
非是有爲敗壞之法 若人求道
비시유위패괴지법 약인구도
不解鑄寫眞容 憑何輒言成功德也
불해주사진용 빙하첩언성공덕야


 

대답했다.

“경전은 무수한 방편으로 되어 있다.

중생들은 근기가 둔하고 지혜가 부족하여 깊은 뜻을 알지 못하므로

유위(有爲)의 일로 무위(無爲)의 이치를 나타낸 것이다.

 

만약 안으로 수행하지 않고 밖에서 복을 얻으려 한다면 옳은 처사가 아니다.

가람이란 범어의 음략(音略)인데 청정처란 뜻이다.

만약 삼독을 영원히 없애고 항상 육근이 깨끗하며,

몸과 마음이 편안하고 고요하여 안팎이 청정하다면 이것이 가람을 짓는 것이다.

 

또한 불상을 조성하는 것은 중생들이 불도를 구할 때,

말하자면 각행(覺行 : 自覺·覺他하는 행법)을 닦을 때에 여래의 참되고 묘한 모습을 허상으로 반영한 것이지 어찌 법을 금동(金銅)으로 주조할 수 있겠는가.

 

그러므로 해탈을 바라는 자는 몸으로 불가마를 삼고,

법으로 불을 삼고,

지혜로 공장(工匠)을 삼고,

삼취정계와 육바라밀로 모양을 삼아 몸 가운데 있는 진여불성(眞如佛性)을 녹여서 계율의 틀에 넣어 하나도 빠뜨림 없이 가르침대로 행하면 절로 진용(眞容)의 모습을 이루게 될 것이다.

 

이것이 말하자면 허물어지는 유위법이 아니라 영원히 상주하는 절대진리의 미묘법신이다.

만약 어떤 사람이 도를 구하면서도 이러한 참된 진용(眞容)을 조성하고 그리는 의미를

이해하지 못한다면 무엇으로 공덕을 이룬다 하겠는가.

 

'달마어록(達磨語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마 관심론(觀心論). 10  (0) 2008.03.06
달마 관심론(觀心論). 9  (0) 2008.03.06
달마 관심론(觀心論). 7  (0) 2008.03.02
달마 관심론(觀心論). 6  (0) 2008.03.02
달마 관심론(觀心論). 5  (0) 2008.03.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