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문경훈(緇門警訓)

서학로권동행근학문 徐學老勸童行勤學文

通達無我法者 2008. 3. 17. 14:36

 

 

 

 

서학로권동행근학문 徐學老勸童行勤學文

 

玉不琢, 不成器, 人不學, 不知道. 出家兒, 幸得身離塵網, 居於廣堂大厦, 切不可以溫飽自滿其志. 少壯之時, 不勤學問, 不究義理, 不正呼吸, 對聖前如何可以宣白? 士大夫前如何可以談吐? 不學一筆字, 文䟽如何寫? 士大夫往來書尺[1]如何回? 出家人胸中貫古今, 筆下起雲烟, 方可了身[2]‧了性,[3] 以至於了命,[4] 若自懶惰, 託言「所禀, 無受道之資」, 是自壞了一生也. 且如猿猴, 獸類也, 尙可敎以藝解; 鴝鵒, 禽鳥也, 尙可敎以歌唱.[5] 人爲萬物之靈, 如不學, 視禽獸之不若也. 爲人師者, 自當尙嚴, 師嚴而後道尊.[6] 與其初年失於寬, 而招異時之怨, 不若過於嚴, 招異時之感. 人家子弟, 捨父事師, 師却不嚴而縱其懶, 及其時過失學也, 談吐又訥, 宣白又鈍, 發遣又踈, 寫染又拙, 覺時事事無能, 方始自悔而歸咎於其師, 何謂至感. 初年脫白從師, 師長訓導, 極其嚴緊, 於公事畢然後, 敢治私事, 禁妄出. 讀書要背, 寫字要楷, 義理要通, 道念要正. 日漸月磨, 復還固有之天, 得造洞然之妙. 由是, 性海淸澄, 心珠瑩澈, 學仙者着脚蓬萊,[7] 學佛者安身樂國. 到恁麽時, 却感師長嚴訓之功也.

옥은 쪼지 않으면 그릇을 이룰 수 없고 사람은 배우지 않으면 도를 알지 못한다. 출가한 남아로서 다행히 사람의 몸을 얻고 티끌의 그물을 벗어나 넓고도 큰집에 거처하였으니 절대 따뜻하고 배부른 것으로써 스스로 그 뜻을 만족하게 여겨서는 안된다. 젊고 건장할 때 학문에 힘쓰지 않고 의리義理를 깊이 연구하지 않으며 호흡呼吸을 바르게 하지 않으면 성인을 앞에 마주하여 어찌 생각을 펴서 말할 수 있을 것이며, 사대부 앞에서 어찌 담론을 토해 낼 수 있을 것인가. 한 글자도 배우지 않는다면 문장을 어떻게 쓸 것이며, 사대부와 오가는 서찰에 어떻게 답할 것인가. 출가한 사람은 가슴속으로 고금을 꿰뚫고 붓 아래로는 구름과 연기를 일으켜야 비로소 입신立身을 깨닫고 천성天性을 깨달으며 천명天命을 깨닫기까지 이를 수 있을 것인데, 만일 자신이 게으르면서도 핑계하여 「품성으로 보아 도를 받을 만한 자질이 없다」고 말한다면 이는 스스로 일생을 무너뜨리는 것이다. 또한 예컨대 원숭이는 짐승의 부류지만 그래도 기예와 지식으로써 가르칠 수 있고 구욕새는 날짐승이지만 그래도 노래로써 가르칠 수 있는데, 사람은 만물의 영장이 되어 만약 배우지 않으면 금수를 보는 것만 같지 않을 것이다.

다른 이의 스승이 되는 자는 스스로 마땅히 엄격함을 숭상해야 할 것이니, 스승이 엄격하고서야 도가 높아지는 것이다. 초년에 관대함에 빠졌다가 다른 때에 원망을 불러들이는 것은 지나치게 엄격하였다가 다른 때에 감사히 여기는 마음을 불러일으킴만 같지 못하다. 여염집 사람의 자제가 에비를 버리고 스승을 섬김에 스승이 도리어 엄하지 않아 그 게으름을 방종함으로써 시기가 지나서 배움을 놓치기에 이르러, 담론을 토해 냄에 또한 더듬거리고 생각을 펴서 말함에 또한 우둔하며 편지를 보냄에 또한 엉성하고 글씨를 씀에 또한 졸렬하니, 때로 하는 일마다 무능함을 깨닫고는 그제야 비로소 스스로 후회하며 허물을 그 스승에게 돌린다면 어찌 지극히 감사하는 것이라 일컫겠는가.

초년에 흰옷을 벗고 스승을 따름에 스승이 가르치며 이끌되 그 엄하고 긴장함을 지극히 하고 공공적인 일을 마친 연후에야 감히 사사로운 일을 다스릴 것이며 망령되이 외출함을 금해야 한다. 책을 읽을 때는 반드시 모두 외우도록 해야 하고 글자를 쓸 때는 반드시 방정해야 하며, 의리義理는 반드시 능통해야 하고 도를 생각하는 마음은 반드시 발라야 한다. 날로 차츰 나아가고 달로 연마해 가면 고유한 하늘로 돌아감을 회복하고 밝게 확 트인 묘한 자리에 나아감을 얻을 것이다. 이로 말미암아 성품의 바다는 맑고 맑아지며 마음의 진주는 밝디 밝아질 것이니, 선仙을 배우는 자는 봉래산에 발을 들여놓을 것이고 불佛을 배우는 자는 극락세계에 몸을 편안히 할 것이다. 이러한 때에 이르면 스승이 엄하게 훈계한 공을 도리어 감사하게 여길 것이다.

【1】古者裁簡牘, 長咫尺, 故曰書尺.

【2】受之父母曰身, 可以知其立身.

【3】物之所受曰性, 可以知其天性.

【4】天之所賦曰命,《書》曰: 「不知命, 無以爲君子.」

【5】《零陵記》云: 「土人多養鴝鵒. 五月五日, 去其舌尖則能語, 聲尤淸越, 雖鸚鵡不能過也, 號曰八哥.」

【6】《學記》云: 「凡學之道, 師嚴爲難, 師嚴然後道尊, 道尊然後民知敬學矣.」

【7】杜詩: 蓬萊如可到, 衰白問群仙.

【1】옛 사람들이 대쪽에 쓴 편지글을 마름질함에 그 길이가 여덟 치나 한 자가 되었던 까닭에 書尺이라 말하였다.

【2】부모로부터 받은 것을 身이라 하니, 그럼으로써 立身할 줄을 안다.

【3】사물로부터 받은 것을 性이라 하니, 그럼으로써 天性을 아는 것이다.

【4】하늘이 부여한 바를 命이라 하니,《서경》에 이르기를 「命을 알지 못하면 군자라고 여길 만한 것이 없다」 하였다.

【5】《영릉기》에 말하였다. 「그 지방 사람들은 구욕을 많이 기르는데 5월 5일이면 그 혀끝을 잘라 냄에 곧 능히 말을 할 수 있었으니, 소리가 맑고 가락이 높아 비록 앵무새라 하더라도 그에 지나치지 못하였으며 八哥라 불렀다」

【6】《학기》에 말하였다. 「무릇 배움의 도는 스승이 엄하게 됨이 어려우니, 스승이 엄한 연후에 도가 존귀해지고 도가 존귀해진 연후에 백성들이 배움을 공경할 줄 안다.」

【7】두보의 시에, 봉래산에 만일 가 닿는다면 뭇 신선들에게 몸이 쇠퇴하고 머리가 희어짐에 대해 물을 것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