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인연분(因緣分) The Reasons for Writing
처음은 인연분을 설하다.
묻기를,
“어떤 인연이 있어 이 논을 지었는가?”
대답하기를,
“이 인연에 여덟 가지가 있으니, 무엇이 여덟 가지인가?
첫째는 인연의 총상(總相)이니, 이른바 중생으로 하여금 모든 고통을 여의고 궁극적인 즐거움을 얻게 하기 위함이지, 세속의 명리(名利)와 공경을 구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둘째는 여래의 근본의 뜻을 해석하여 모든 중생으로 하여금 바르게 이해하여 틀리지 않도록 하고자 하기 때문이다.
셋째는 선근(善根)이 성숙한 중생으로 하여금 대승법을 감당하여 신심을 퇴전(退轉)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넷째는 선근이 미세한 중생으로 하여금 신심을 수행하여 익히게 하기 위해서이다.
다섯째는 방편(方便)을 보여서 악업장(惡業障)을 없애서 그 마음을 잘 호위하고, 어리석음과 교만함을 멀리 여의어 사악한 그물에서 벗어나게 하기 위해서이다.
여섯째는 지행(止行)과 관행(觀行)을 수습함을 보이어 범부(凡夫)와 이승(二乘)의 마음의 허물을 대치(對治)하기 위해서이다.
일곱째는 염불(念佛)에 전일(專一)하는 방편을 나타내어 부처님 앞에 왕생(往生)하여 반드시 절대로 신심을 퇴전하지 않게 하기 위해서이다.
여덟째는 이익을 보여 수행을 권고하기 위해서이다.
이러한 여러 가지 인연이 있기 때문에 논을 지은 것이다.”
初說因緣分。問曰:有何因緣而造此論?答曰:是因緣有八種。云何為八?一者、因緣總相,所謂為令眾生離一切苦,得究竟樂,非求世間名利恭敬故。二者、為欲解釋如來根本之義,令諸眾生正解不謬故。三者、為令善根成熟眾生,於摩訶衍法,堪任不退信故。四者、為令善根微少眾生,修習信心故。五者、為示方便,消惡業障,善護其心,遠離癡慢,出邪網故。六者、為示修習止觀,對治凡夫二乘心過故。七者、為示專念方便,生於佛前,必定不退信心故。八者、為示利益,勸修行故。有如是等因緣,所以造論。
Someone may ask the reasons why I was led to write this treatise. I reply: there are eight reasons. The first and the main reason is to cause men to free themselves from all sufferings and to gain the final bliss; it is not that I desire worldly fame, material profit, or respect and honor. The second reason is that I wish to interpret the fundamental meaning of the teachings of the Tathagata so that men may understand them correctly and not be mistaken about them. The third reason is to enable those whose capacity for goodness has attained maturity to keep firm hold upon an unretrogressive faith in the teachings of Mahayana. The fourth reason is to encourage those whose capacity for goodness is still slight to cultivate the faithful mind. The fifth reason is to show them expedient means (upaya) by which they may wipe away the hindrance of evil karma, guard their minds well, free themselves from stupidity and arrogance, and escape from the net of heresy. The sixth reason is to reveal to them the practice of two methods of meditation, cessation of illusions and clear observation (samatha and vipasyana), so that ordinary men and the followers of Hinayana may cure their minds of error. The seventh reason is to explain to them the expedient means of single-minded meditation (smriti) so that they may be born in the presence of the Buddha and keep their minds fixed in an unretrogressive faith. The eighth reason is to point out to them the advantages of studying this treatise and to encourage them to make an effort to attain enlightenment. These are the reasons for which I write this treatise.
묻기를,
“경 가운데 이러한 법이 갖추어 있는데, 어찌하여 거듭 설명해야 하는가?”
답하기를,
“경 가운데에도 이러한 법이 있긴 하나 중생의 근기와 행동이 같지 않으며,
받아서 이해하는 연(緣)도 다르다.
이른바 여래가 세상에 계실 적에는 중생의 근기가 예리하고 설법하는 사람도 색(色)․심(心)의 업이 수승하여 원음(圓音)으로 한 번 연설하매 다른 종류의 중생들이 똑같이 이해하므로 논을 필요로 하지 않았었다.
그러나 여래가 돌아가신 후에는 혹 어떤 중생은 자력으로 널리 듣고서 이해하는 사람이 있고 혹 어떤 중생은 자력으로 적게 듣고 많이 아는 이가 있으며,
혹 어떤 중생은 자심력(自心力)이 없어서 광론(廣論)에 의하여 이해하게 되는 사람도 있으며,
또한 어떤 중생은 다시 광론의 글이 많음을 번거롭게 여겨 마음으로 총지(總持)와 같이 글의 분량이 적으면서 많은 뜻을 가지고 있는 것을 좋아하여 그런 것을 잘 이해하는 사람도 있다.
이처럼 이 논은 여래의 광대하고 깊은 법의 한없는 뜻을 총괄하고자 하기 때문에 이 논을 설명해야 하는 것이다.”
問曰:修多羅中,具有此法,何須重說?答曰:修多羅中,雖有此法,以眾生根行不等,受解緣別。所謂:如來在世,眾生利根,能說之人,色心業勝,圓音一演,異類等解,則不須論。若如來滅後,或有眾生,能以自力,廣聞而取解者。或有眾生,亦以自力,少聞而多解者。或有眾生,無自智力,因於廣論而得解者。亦有眾生,復以廣論文多為煩,心樂總持少文,而攝多義,能取解者。如是此論為欲總攝如來廣大深法無邊義故,應說此論。
Question: What need is there to repeat the explanation of the teaching when it is presented in detail in the sutras? Answer: Though this teaching is presented in the sutras, the capacity and the deeds of men today are no longer the same, nor are the conditions of their acceptance and comprehension. That is to say, in the days when the Tathagata was in the world, people were of high aptitude and the Preacher preached with his perfect voice, different types of people all equally understood; hence, there was no need for this kind of discourse. But after the passing away of the Tathagata, there were some who were able by their own power to listen extensively to others and to reach understanding; there were some who by their own power could listen to very little and yet understand much; there were some who, without any mental power of their own, depended upon the extensive discourses of others to obtain understanding; and naturally there were some who looked upon the wordiness of extensive discourses as troublesome, and who sought after what was comprehensive, terse, and yet contained much meaning, and then were able to understand it. Thus, this discourse is designed to embrace, in a general way, the limitless meaning of the vast and profound teaching of the Tathagata. This discourse, therefore, should be presented.
'經典 > 대승기신론(大乘起信論)' 카테고리의 다른 글
5. 권수이익분(勸修利益分) Encouragement of Practice and the Benefits T (0) | 2008.03.22 |
---|---|
4. 수행신심분(修行信心分) On Faith and Practice (0) | 2008.03.22 |
3. 해석분(解釋分) Interpretation (0) | 2008.03.22 |
2. 입의분(立義分) Outline (0) | 2008.03.22 |
大乘起信論 / 馬鳴菩薩 (0) | 2008.03.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