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성을 보지 못하면 禪이 아니다
본성 보는 것은 일자무식도 가능
故云經 凡所有相
고운경 범소유상
皆是虛妄 都無定實
개시허망 도무정실
幻無定相 是無常法
환무정상 시무상법
但不取相 合他聖意故
단불취상 합타성의고
經云 離一切相 卽名諸佛
경운 이일체상 즉명제불
그러므로 경에 말하기를 ‘무릇 형상이 있는 것은 모두가 허망하다.’ 했으니, 도무지 일정한 형상이란 없는 것이니 이것이 무상의 법이다. 다만 형상을 취하지 않으면 거룩한 뜻에 부합될 것이다. 그러므로 경에서 ‘온갖 형상을 떠나면 곧 부처라 한다.’ 하였다.”
問曰 因何不得禮佛菩薩等
문왈 인하부득예불보살등
물었다. “어째서 부처님과 보살들에게 절을 하지 말라고 하십니까.”
答曰 天魔波旬 阿修羅
답왈 천마파순 아수라
示現神通 皆作得菩薩相貌
시현신통 개시득보살상모
種種變化 是外道 摠不是佛
종종변화 시외도 총불시불
佛是自心 莫錯禮拜
불시자심 막착예배
佛是西國語 此土云覺性
불시서국어 차토운각성
覺者是靈覺 應機接物
각자시영각 응기접물
揚眉瞬目 運手動足
양미순목 운수동족
皆是自己靈覺之性
개시자기영각지성
性卽是心 心卽是佛
성즉시심 심즉시불
佛卽是道 道卽是禪
불즉시도 도즉시선
禪之一字 非凡夫所測
선지일자 비범부소측
대답했다. “하늘의 마귀인 파순과 아수라 등이 신통을 나타내어 보살의 모습을 짓는 것은 갖가지로 변화해서 그런 것이니, 이는 외도의 짓이지 부처는 아니다. 부처란 자기 마음이니, 부처에게 잘못 예배하지 말라. 부처란 인도어이고, 우리 말로는 각성(覺性)이라 하는데 상대의 근기에 따라 방편을 써서 교화하며, 눈섭을 치켜올리고 눈을 깜박이거나, 손발을 움직이는 것이 다 자기가 본래 갖추고 있는 신령스러운 깨달음(靈覺)의 성품 때문이다. 성품은 곧 마음이고, 마음이 곧 부처이고, 부처가 곧 도(道)이며, 도가 곧 선(禪)이다. ‘선’이라는 한 글자는 범부가 헤아릴 수는 없다.
又云見本性爲禪
우운견본성위선
若不見本性 卽非禪也
약불견본성 즉비선야
假使說得千經萬論
가사설득천경만론
若不見本性 只是凡夫
약불견본성 지시범부
非是佛法 至道幽深
비시불법 지도유심
不可話會 典敎憑何所及
불가화회 전교빙하소급
但見本性 一字不識亦得
단견본성 일자불식역득
見性卽是佛 聖體本來淸淨
견성즉시불 성체본래청정
無有雜濊 所有言說 皆是聖人
무유잡예 소유언설 개시성인
從心起用 用體本來空
종심기용 용체본래공
名言尙不及 十二部經
명언상불급 십이부경
憑何得及
빙하득급
또 ‘본성을 보는 것이 선(禪)이다’ 했으니 본성을 보지 못하면 선이 아니다. 설사 많은 경론을 설한다 해도 본성을 못 보면 범부일뿐 부처의 법은 아니다. 지극한 도는 깊고 멀어서 말로는 이해할 수 없는데, 어찌 경전으로 미칠 수 있겠는가. 그러나 본성을 보는 것은 일자 무식자도 가능하다. 견성하면 곧 부처이고 그 성체(聖體)는 청정하므로 더러움이 없다. 모든 말씀이 다 성인의 마음에서 일어난 작용이지만 작용의 바탕이 본래 비었으므로 명칭이나 말로는 미칠 수가 없는데 12부 경이 어찌 미칠 수 있겠는가.
'달마어록(達磨語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달마 혈맥론(血脈論). 11 (0) | 2008.03.28 |
---|---|
달마 혈맥론(血脈論). 10 (0) | 2008.03.26 |
달마 혈맥론(血脈論). 8 (0) | 2008.03.24 |
달마 혈맥론(血脈論). 7 (0) | 2008.03.24 |
달마 혈맥론(血脈論). 6 (0) | 2008.03.24 |